황서미 작가
통영 푸른 바다가 내다보이는 카페의 조용한 2층에서 등산모 아저씨와 단발머리 아주머니가 즐거이 대화를 나누고 있다. 성인이 된 딸과 아들 소개를 하는 걸 보니 이 둘은 퍽 오래간만에 만났나 보다. 두 사람의 경상도 말투가 정겹다.
“승희 아나? 승희하고 을마나 친했는데, 승희랑 연락하는 친구가 없더라. 지선이 연락되나? 승래 아나? 애 키우면서 미수동 산단다. 다 보고 싶다.”
보고 싶은 친구가 참 많은, 애교 넘치고 다정한 아주머니다. 아, 이제 내게는 아주머니가 아니라 한두 살 언니뻘 정도 되겠지. 속사포같이 물어 대는 친구들의 근황에 아무 대답도 못 하는 아저씨는 아무래도 학교 졸업하고 동창은 오늘 처음 만나는 것 같았다. 큰딸의 나이를 계산하면 대학 마치고 벌써 30년은 족히 넘었겠다. 누가 이 시간의 화살을 쏘았는지. 그만하면 이것저것 망각하기에도 충분한 시간이건만, 소소한 옛날 친구들 기억을 다 새기고 있는 것도 놀라웠다.
무엇보다 그 시간을 건너오면서 각자에게 무슨 일이 있었을지도 모르는데, 이렇게 반가이 마주 보고 앉은 두 사람도 경이로웠다. 사실 맨 먼저 드는 감정이 주책맞게도 ‘걱정’이었기 때문이다. 아무리 빛나는 이십대를 함께한 대학 동창이라도 지금 어떤 속을 가지고 있을지 어찌 안담. 바로 이 생각이 고개를 쳐들었다. 작년 일면식 없는 이에게 몹시 황당한 일을 당하고 난 후 새로운 사람을 만나면 확실한 나만의 검증 과정을 통과하기 전까지 일단 안전망을 치기 시작했다. 그리고 스스로 위로했다. ‘지금 알고 있는 사람들과도 좋은 관계 다지기 바빠. 여기에 새로운 인연 주렁주렁 더 만들면 뭐에 쓴다고.’
아저씨의 딸 자랑이 이어졌다.
“고등학교까지 그래 공부를 못하더니만, 제 하고 싶은 걸 찾으니 세계대회도 나가고 그런다. 돈 마이 든다.”
“내는 꽃 키운다. 한 3000평 된다.” 역시나 다정한 언니는 꽃을 키우는 분이었다. 꽃과 함께 사는 사람들은 이렇게 꽃과 같은 다정한 성정을 숨기지 못한다. 세상에 화가 난 것 같은 꽃은 없지 않은가. 이 둘은 나의 쓸데없는 걱정도 무색하게 끊임없이 기억 서랍에서 누군가를 꺼내 서로에게 소환시켰다. 환하게 웃기도 하고 또 세상에 없는 친구를 불러낼 때는 함께 탄식도 하며….
요즘 본 영화들의 주제가 모두 우연히 ‘다정함’과 ‘화해’로 수렴됐다. 쇼 비즈니스는 시대의 흐름을 아주 기가 막히게 읽어 내는데, 아마도 세상이 이런 따스함에 목말라 있다는 메시지일 것이다.
몇 개월 전 친하게 지내던 친구에게 정말 오랜만에 연락이 왔다. 연락할 방법을 어렵사리 인터넷으로 찾았던데 굳이 그에 답하지 않았다. 친구와 나 사이에 놓인 시간의 공백이 두려웠던 것이다. 그러나 이날 두 동창의 대화에 슬슬 마음이 흔들렸다. 애써 나를 찾아 준 고마운 친구인데….
오랜만에 만난 사람들 다 그렇듯 이 두 사람도 예외 없다.
“니 대학 때랑 하나도 안 변했다.”
마음이 반가우면 ‘사람 보는 눈’이 없어지는 걸까. 그저 옆 테이블에서 바라보면 알록달록 등산복의 K아줌마, 아저씨들일 뿐이라고. 옛 추억에 정겹다. 시간은 쏜살같다.
2023-04-17 2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