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성국 산업부 차장
무소속 양향자 의원과 처음 통화한 건 윤석열 대통령의 미국 국빈 방문을 한 달여 앞둔 지난 4월 초순이었다. 그는 지역구(광주 서구을) 일정을 마친 뒤 KTX를 타고 서울로 돌아오던 길이었다. “죄송하지만 기차 안이라 긴 통화는 어렵습니다”라는 양해의 말과 달리 반도체 질문을 꺼내니 설명이 끝도 없이 이어졌다.
목소리는 차분했으며 메시지는 또렷했다. 세계 최고의 메모리 기술력을 미중의 ‘먹잇감’으로 둘 게 아니라 양국과의 협상에서 ‘지렛대’로 적극 활용해야 한다는 것이었다. 이른바 K반도체 레버리지론이다.
긴 통화 끝에 남긴 양 의원의 말에서 절박함이 고스란히 전해졌다. “이번 회담은 정치적 레토릭(수사)이 아닌 우리 산업과 경제의 미래가 달린 절체절명의 회담이라는 인식이 필요합니다. 반도체에 관한 사안이라면 언제라도 좋으니 ‘불쑥불쑥’ 전화 주세요.”
국내 재계 소식에 이어 이제는 미국, 중국, 일본, 유럽 반도체 동향에도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는 탓에 정작 내 삶과 직결된 국내 정치, 사회 소식에는 어두운 산업부 소속 기자에게 최근 정가 소식 하나가 눈에 들어왔다. 국민의힘과 더불어민주당 양당 체제의 한계를 느낀 양 의원이 ‘제3지대’ 창당을 선언했다는 것. 그는 그제 ‘한국의 희망’ 창당 발기인대회에서 “대한민국은 이제 새로운 시대로 건너가야 한다. 진영 논리와 부패에 빠진 ‘나쁜 정치’를 ‘좋은 정치’로, 낡고 비효율적인 정치를 과학기술에 기반한 ‘과학 정치’로, 그들만의 특권을 버리고 국민 삶을 바꾸는 실용적 ‘생활 정치’로 건너가겠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2016년 1월 20대 총선 승리를 위해 문재인 당시 민주당 대표가 7호 영입 인사로 모셔 온 이가 양 의원이다. ‘고졸 출신 첫 삼성전자 여성 임원’이라는 그의 이력은 선거철이면 늘 ‘이야기가 되는 인물’ 발굴에 혈안인 정치권에 더없이 안성맞춤이었다.
그러나 애석하게도 국회에서의 ‘양향자 활용법’은 딱 거기까지였다. 고졸 출신 여성이 삼성이라는 굴지의 대기업에 연구보조원 ‘미스 양’으로 입사해 독학으로 갈고 닦은 일본어와 반도체 지식을 통해 ‘양 상무님’으로 성장 혹은 성공한 ‘K노오력’ 스토리 소비에 그쳤다. 그가 가진 최대의 무기인 반도체 지식은 거대 양당의 정쟁에 가려졌다.
“한국 정치는 4류, 행정과 관료는 3류, 기업은 2류”라던 이건희 삼성전자 선대 회장의 베이징 발언이 나온 게 1995년 4월이다. 시대를 앞서간 작은 거인의 통찰은 서글프게도 28년이 지난 지금도 유효한 것 같다.
2023-06-28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