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 화장실? 남자 화장실?
지난 12일 찾은 서울 종로구 창신1동 주민센터 1층 화장실 옆 안내판에는 1층 화장실이 ‘장애인 전용’이라고 쓰여 있지만 화장실 문 앞에는 휠체어 그림과 함께 남성 모양의 표지판이 붙어 있다. 김헌주 기자
지난 12일 찾은 서울 종로구 창신1동 주민센터 1층 화장실 옆 안내판 내용이다. 남자, 여자 화장실은 따로 있는데 장애인 화장실은 성별 구분이 없다. 장애인 전용이라고 써 놓고선 화장실 문 앞에는 휠체어 그림과 함께 남자 모양의 표지판이 붙어 있다. 대체 이곳이 남자 화장실인지, 장애인 화장실인지 헷갈린다. 볼일 급한 남성 민원인이라면 3층 화장실로 올라가는 수고를 하기 전에 1층 화장실 문부터 덜컥 열어 볼 것 같다. 1층 민원실에서 곧장 화장실로 통하는 문 옆에는 커다란 공구함이 놓여 있어 휠체어를 탄 장애인이 과연 이 문을 통과할 수 있을지도 의문이다.
이날 함께한 장애이동권 콘텐츠 제작 협동조합 ‘무의’ 활동가들도 실망감을 금치 못했다. 그래도 이 정도면 장소 접근성 측면에선 합격점이라고 한다. 계단, 턱이 없고 경사가 진 곳도 없어서다.
휠체어 이용 장애인들이 외출할 때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것 중 하나가 화장실이다. 지도에는 장애인 화장실이 있다고 돼 있는데 막상 가 보면 문이 잠겨 있거나, 변기를 못 쓰게 해 놓거나 청소 도구함을 비치해 놓아 이용이 불편한 경우가 많다고 한다.
현장 조사 나선 무의 활동가들
장애이동권 콘텐츠제작 협동조합 ‘무의’ 활동가인 윤지영(왼쪽), 임슬기씨가 서울 지하철 6호선 동묘앞역 주변을 돌아다니며 휠체어 내비게이션 앱 ‘휠비’에 넣을 건물의 접근성 정보를 수집하고 있다. 김헌주 기자
이달 말 정식 출시되는 휠체어 내비게이션 앱 ‘휠비’가 반가운 건 장애인들에게 실질적인 정보를 제공하기 때문이다. 휠비에서 화장실을 선택하면 장애인 화장실 위치, 접근성 정보가 뜬다. 접근성은 4단계로 나뉘는데 초록색은 ‘접근 가능’, 노란색은 ‘접근 가능하지만 사진 확인 필요’, 빨간색은 ‘접근 어려움’, 회색은 ‘정보 없음’을 뜻한다.
이날 무의 활동가 2명이 오후 내내 돌아다니며 모은 정보도 휠비 앱에 올라왔다. 이 앱에선 지하철역 인근 식당·카페의 출입문 유형, 계단·경사로 유무를 사진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 프로젝트는 2021년부터 시작됐는데 활동가들이 발품을 판 덕분에 서울 지하철 50개역 인근 건물의 접근성 정보가 수집돼 있다. 올해는 서울 지하철 90개역까지 늘린다는 계획이다.
무의와 함께 이 프로젝트를 시작한 SK행복나눔재단이 지난해 11~12월 20명을 상대로 한 설문조사에서 ‘휠체어 내비게이션 제공 때 외출을 더 많이 할 의향이 있느냐’는 질문에 17명(85.0%)은 “외출 빈도가 늘어날 것 같다”고 답했다. 활동가 임슬기씨가 땡볕에 휠체어를 타고 돌아다니면서도 “누군가에게 도움이 될 수 있어 뿌듯하다”고 말할 수 있었던 건 휠비 덕에 더 많은 장애인이 외출을 할 수 있게 될 것이란 기대 때문일 것이다.
이렇게 다니기만 해도 장애인을 위한 지도를 만들 수 있는데 휠비가 이제야 세상에 나온 건 비장애인의 책임도 적지 않다. 이제라도 비장애인 시선에서 만들어진 것들을 모두의 시선에서 모두를 위한 것으로 바꿔 나가야 할 때다. 회색, 빨간색, 노란색이 초록색으로 바뀌는 즐거움을 모두가 누려 보면 어떨까.
2023-05-17 2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