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금리 못 견디고 예금 깨는 기업들

고금리 못 견디고 예금 깨는 기업들

김소라 기자
입력 2024-02-22 01:29
수정 2024-02-22 01:2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작년 기업 예금 19년 만에 감소

1년새 -0.9%… 내부 자금 돌려막기
대출 갚거나 경영자금으로 조달
63% “신규 대출 대신 유보금 써”
기업 10곳 중 7곳 대출 상환 압박

경남 지역의 한 선박 기자재 생산 업체는 5%대의 대출이자를 갚는 데 버는 돈의 대부분을 쏟아붓고 있다. 업체 관계자는 “저금리 시기에는 6~7년짜리 장기 대출을 받아 운용할 수 있어 부담이 적었지만 지금은 고금리로 이자 부담이 커 가능하면 내부 자금으로 돌려막기를 하고 있다”고 말했다.

지난해 기업의 예금 잔액이 19년 만에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고금리가 이어지면서 기업이 예적금을 털어 대출 원리금을 갚거나 운전자금을 조달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21일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업의 원화예금 잔액은 637조 5020억원으로 1년 전(5조 8260억원)보다 0.9% 줄어든 것으로 집계됐다. 연간 기업 예금 잔액이 감소한 것은 2004년 말(-2.9%) 이후 처음이며, 한은이 관련 통계를 작성한 1975년 이후 기업 예금이 줄어든 것은 2004년과 지난해 두 차례에 불과할 정도로 이례적인 일이다.

기업 예금은 수시로 입출금하는 요구불예금과 정기예금 등 저축성 예금 모두 줄었다. 지난해 말 기업의 요구불예금 잔액(115조 610억원)과 저축성 예금 잔액(522조 4410억원)은 1년 전 대비 각각 1.1%, 0.9% 줄었다.

기업들이 돈을 빌리러 은행을 찾는 일도 줄고 있다. 대한상공회의소가 매출액 기준 전국 1000대 제조기업 중 300개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자금을 조달하는 수단으로 응답 기업의 63%가 ‘내부 유보자금’을 꼽아 금융권 차입(33.7%)을 앞섰다. 앞서 2022년 조사에선 금융권 차입(48.2%)이 내부 유보자금(27.9%)보다 주된 자금 조달 수단이었다.

지난해 예금은행의 기업 대출리(잔액 기준)가 연 5.31%로 2012년(5.43%) 이후 11년 만에 최고 수준을 기록한 가운데 기업 10곳 중 7곳(72.6%)은 올해 고금리 대출 상환의 압박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이 예금 등 유보금을 털어 쓰는 현상이 심화될 경우 기업의 유동성 위험을 높이고 신용 등급의 하락을 초래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쥐고 있는 현금이 부족한 탓에 투자 기회를 놓칠 수도 있다. 그나마 유보금을 활용할 수 있는 건 재무상 여유가 있는 대기업들로, 중소기업들은 설비 투자를 줄이고 당장 필요한 운전 자금은 고금리 대출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는 게 대한상의의 설명이다.

이날 한은에 따르면 2월 전산업 업황 기업경기실사지수(BSI)는 전월 대비 1포인트 하락한 68로 집계돼 2020년 9월(64) 이후 3년 5개월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김현수 대한상의 경제정책팀장은 “실적이 부진한 기업들은 누적된 이자 부담으로 인해 한계에 다다른 상황으로, 기업 금융비용 부담 완화를 위한 지원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2024-02-22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