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년 전 건립된 오래된 아파트가 최근 지은 신축 아파트보다 에너지 소비량이 23%가량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토교통부는 건물 에너지 통계를 발표했다.
통계에 따르면 단열기준 도입 시점인 1979년 이전 사용승인을 받은 건축물은 최근 10년 이내(2010~2019)에 사용승인을 받은 주거용 건물보다 단위면적당 에너지 사용량이 23%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같은 조건에서 오래된 비주거용 건물의 에너지 사용량은 36% 많았다. 국토부는 신축건축물에 대한 단계적 에너지 허가기준 강화, 노후건축물의 그린리모델링 추진 등 건물에너지효율 향상 정책이 효과로 나타난 것이라고 평가했다.
용도별 건물 에너지 사용량은 공동주택(43.2%), 단독주택(15.9%) 등 주거용이 전체 에너지사용량의 약 60%를 차지했다. 비주거용에서는 근린생활시설(13.9%), 업무시설(5.9%), 교육연구시설(4.8%) 순으로 소비량이 많았다.
지역별로는 서울(22%)과 경기(27%), 인천(6%) 등 수도권 비중이 55%를 차지했다. 서울은 연면적 비중(17%) 대비 에너지사용량 비중(22%)이 높아 다른 지역보다 단위 면적당 에너지사용량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건물에서 사용한 에너지원은 전기(52%), 도시가스(40%), 지역난방(8%) 순이었다.
엄정희 국토부 건축정책관은 “건물에너지 사용량 및 효율 등의 다양한 지표를 분석하고 관련 통계를 고도화해 공공부문 디지털 정보 공유기반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통계에 따르면 단열기준 도입 시점인 1979년 이전 사용승인을 받은 건축물은 최근 10년 이내(2010~2019)에 사용승인을 받은 주거용 건물보다 단위면적당 에너지 사용량이 23%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같은 조건에서 오래된 비주거용 건물의 에너지 사용량은 36% 많았다. 국토부는 신축건축물에 대한 단계적 에너지 허가기준 강화, 노후건축물의 그린리모델링 추진 등 건물에너지효율 향상 정책이 효과로 나타난 것이라고 평가했다.
용도별 건물 에너지 사용량은 공동주택(43.2%), 단독주택(15.9%) 등 주거용이 전체 에너지사용량의 약 60%를 차지했다. 비주거용에서는 근린생활시설(13.9%), 업무시설(5.9%), 교육연구시설(4.8%) 순으로 소비량이 많았다.
지역별로는 서울(22%)과 경기(27%), 인천(6%) 등 수도권 비중이 55%를 차지했다. 서울은 연면적 비중(17%) 대비 에너지사용량 비중(22%)이 높아 다른 지역보다 단위 면적당 에너지사용량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건물에서 사용한 에너지원은 전기(52%), 도시가스(40%), 지역난방(8%) 순이었다.
엄정희 국토부 건축정책관은 “건물에너지 사용량 및 효율 등의 다양한 지표를 분석하고 관련 통계를 고도화해 공공부문 디지털 정보 공유기반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