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국립현대미술관이 남쪽으로 가야 하는 까닭

[기고] 국립현대미술관이 남쪽으로 가야 하는 까닭

입력 2020-12-23 17:54
수정 2020-12-23 17:5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황무현 국립현대미술관 창원관 유치 공동위원장, 마산대학교 교수

국립현대미술관 창원관 조감도. 창원시청 제공
국립현대미술관 창원관 조감도. 창원시청 제공
마치 남의 나라 이야기 같다. 수도권에서 들려오는 각종 문화행사들, 부동산 관련 소식들은 지방에 사는 사람들에겐 심한 이질감을 넘어 자괴감마저 들게 한다. 지방분권이니 균형개발이니 하는 말들은 정치인들의 수사 속에서나 존재할 뿐 현실은 전혀 딴판으로 움직인다.

‘지방소멸’이 화두가 된 것은 어제오늘 일이 아니다. 서울로의 집중은 갈수록 심해지고 있고, 이른바 블랙홀처럼 모든 걸 집어삼킨다.

다산 정약용 선생도 유배지에서 아들에게 편지를 보내 ‘오직 서울의 10리 안에서만 살아야 한다’고 신신당부했다고 한다. “혹여 집안의 힘이 쇠락하여 서울 한복판으로 깊이 들어갈 수 없다면, 잠시 서울 근교에라도 살면서 기회를 엿보라”고 가르쳤다니 그저 민망할 따름이다.

그때나 지금이나 이른바 수도권 중심주의는 다르지 않았던 모양이다. 정치, 경제, 문화의 모든 중심이 서울로 빨려 들어가니 ‘말은 나면 제주로 보내고, 사람은 나면 서울로 보내라’는 말도 생겼을 테다.

자, 그런데 여기서 우리는 하나의 의문을 가지게 된다. 지방이 다 소멸하고 나면 수도권은 혼자 남아 독야청청할 수 있을까?

물론 답은 누구나 알고 있는 간단한 문제다. 지방이 없는데 서울이니 수도권이 있을 수 없다. 지방 소멸은 곧 수도권과 공멸의 길이자 국가 존립의 위기다. 혹자는 지방 소멸과 서울 집중은 동전의 양면이라 말한다. 동전의 앞면과 뒷면은 모양만 다를 뿐 동일한 의미와 가치를 지닌다. 즉 ‘소멸=집중’의 등식이 성립하는 것이다. 지방이 소멸하는 것은 서울 집중 때문이지만 궁극에는 서울도 소멸의 길을 걷게 된다.

지방과 서울이 공멸하지 않고 함께 살아가는 길은 없을까? 해답은 역시 지방분권에 있다. ‘지방 소멸=서울 집중’이 아니라 ‘지역 활성화=서울 분산’으로 공식을 바꾸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03년부터 공공기관을 지방으로 이전하는 등 수도권 집중을 해소하려는 노력을 많이 기울여 왔고, 최근에는 2차 공공기관 지방이전이 논의되고 있다.

많은 난관이 존재하겠지만 결국에는 지방분권이 대세가 될 것이다. 그렇지 않으면 모두가 죽게 되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동안 정치, 경제 분야와 달리 문화 부문에 대한 지방분권 논의는 거의 없어 아쉬웠다. 문화적 분권 없이 진정한 지방분권이라 말할 수 있을까. 그런 점에서 최근 국립현대미술관 분관을 지방에 세우자는 논의가 추진되고 있는 것은 아주 다행스러운 일이다.

국립현대미술관 창원관 조감도. 창원시청 제공
국립현대미술관 창원관 조감도. 창원시청 제공
국립현대미술관의 분관을 지방에 건립하자는 논의의 취지는 모든 국민들의 문화예술 향유권을 균등하게 누리게 하자는데 있다. 이는 곧 수도권뿐만 아니라, 지역 문화예술의 활성화에 크게 기여하는 새로운 동력이자 지방분권의 상징이 될 수 있다.

우려도 있을 것이다. ‘국립현대미술관을 지방에 유치하면 성공할 수 있을까?’ 하는 의문도 그 중 하나다. 하지만 크게 걱정할 일은 아니다. 대한민국 국민의 문화적 수준은 세계 어디에 뒤지지 않는다. 우리는 예로부터 문화와 예술을 가까이하는 민족이었다.

이왕이면 수도권에서 가장 먼 남동부권의 큰 도시 하나를 모델로 고려해볼 수 있다. 예를 들면 얼마 전 국회에서 특례시 지정이 결정 난 창원시를 생각할 수 있다. 창원은 인근에 부산, 울산, 김해, 양산 등의 대도시들이 연접해 6~700만 명의 인구가 밀집해 수요 측면에서도 유리하다.

게다가 창원시에는 20만 평에 달하는 인공섬이 있는데, 여기에 해양신도시를 만들 계획이라고 한다. 해양도시답게 기존 미술관과는 차별화된 뭔가 특색 있는 콘셉트도 가능할 것이다. 현직 허성무 창원시장의 유치 의지도 대단하다. 바다 위에 지은 국립현대미술관, 상상만으로도 멋진 일 아닌가.

국립현대미술관의 지방 분관 설립은 대한민국 문화예술이 전국화를 통해 한 단계 도약할 수 있는 좋은 기회이기도 하다. 꼭 그렇게 되기를 소망한다.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금투세 유예 vs 폐지
더불어민주당이 내년 1월 시행 예정인 금융투자소득세(금투세) 도입 여부 결정을 지도부에 위임해 국민들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국민의힘은 금투세 폐지를 당론으로 정했고, 민주당 내부에서는 유예와 폐지에 대한 의견이 엇갈리고 있습니다. 유예와 폐지, 두 가지 선택이 있다면 당신의 생각은?
유예해야 한다
폐지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