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2대 국회의원 선거
  • 짧게 소감 밝힌 김은혜 “더욱 낮게 임하겠다”

    짧게 소감 밝힌 김은혜 “더욱 낮게 임하겠다”

    4·10총선 경기 성남 분당을에 출마한 김은혜 국민의힘 후보가 현역 의원인 김병욱 더불어민주당 후보를 제치고 당선을 확정 지었다. 11일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선거통계시스템에 따르면, 이날 오전 6시 10분 기준 경기 성남분당을(개표율 99.60%)에서 김은혜 당선인은 51.13% 득표로 김 후보(48.86%)를 따돌렸다. 김 당선인은 당선이 확정되자 “표로 보여주신 민심과 분당 주민들의 바람을 무겁게 받아들인다”며 “앞으로 더욱 낮게 임하겠다”고 짧은 소감을 전했다. 취재진의 질문에는 “죄송하다. 더 이상 드릴 말씀이 없다”며 “오늘 결과에 대해서는 제가 드린 이 말씀으로만 갈음해주셨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많은 기자분들이 오랫동안 기다리셨는데 죄송하다”며 “함께 하신 분들과 인사를 나눠야 할 것 같다”고 덧붙였다.
  • 돌풍의 조국혁신당, 비례대표 10석 확보 목표 이뤘다

    돌풍의 조국혁신당, 비례대표 10석 확보 목표 이뤘다

    창당 이후 돌풍을 일으킨 조국혁신당이 목표했던 10석을 확보했다. 11일 오전 6시 비례대표 개표가 93.72% 진행된 가운데 조국혁신당은 24.04%의 지지율을 얻어 10석을 확보했다. 비례대표 총 46석 중 국민의힘 위성정당인 국민의미래 15석, 더불어민주당의 위성정당인 더불어민주연합의 11석을 잇는 의석수다. 개혁신당은 1석을 확보했다. 조국 대표는 창당 초기부터 10석을 목표로 지지를 호소했다. 10석이 되면 단독정당으로도 법안 발의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지지세가 거세지자 조국혁신당은 10석에 더해 추가 의석에 대한 기대감을 나타내기도 했다. 현재 추세로는 추가 의석 확보도 가능한 것으로 예상된다. 조국혁신당이 ‘지민비조’(지역구는 민주당 비례대표는 조국혁신당)을 내세워 돌풍을 일으키면서 민주당은 목표로 세운 20석 이상 확보에 실패했다. ‘지민비조’에 맞서 민주당은 ‘더불어몰빵’ 캠페인을 벌이기도 했으나 결과적으로 지지층이 겹치면서 고전을 면치 못했다. 자녀 입시 비리 의혹과 민정수석 재직 당시 감찰 무마 혐의 등으로 기소된 조 대표는 올해 2월 열린 2심에서 징역 2년 실형을 선고받은 직후인 같은 달 13일 신당 창당을 선언하고 지난달 3일 중앙
  • 고민정, 초접전 끝 재선 확실…“4년 전보단 일찍 끝나”

    고민정, 초접전 끝 재선 확실…“4년 전보단 일찍 끝나”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 광진을에 출마한 고민정 더불어민주당 후보가 서울시 정무부시장을 지낸 오신환 국민의힘 후보를 꺾고 사실상 당선됐다. 고 후보는 지난 총선에서 오세훈 현 서울시장을 누르고 국회에 입성했었다. 11일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따르면 오전 6시 기준 서울 광진을 개표가 88.15% 진행된 가운데 고 후보는 4만 6012표(50.35%)를 얻어 4만 4543표(48.74%)를 얻은 오 후보를 제치고 득표율 1위를 달리고 있다. 고 후보는 이날 밝힌 당선 소감을 통해 “그래도 4년 전보다는 조금 더 일찍 잠재워 드릴 수 있어서 다행이란 생각도 든다”며 “굉장히 어려운 선거였다”고 했다. 고 후보는 “한강 벨트 동쪽을 사수했다는 안도감도 든다”며 “무도하게 폭주하고 있는 윤석열 정권을 제대로 심판하고 견제하라는 국민과 광진 주민의 명령이라는 생각이 든다”고 덧붙였다. 고 후보는 지난 총선에서 득표율 50.37%로 47.82%를 얻은 오세훈 현 서울시장을 2.55%포인트 차로 이겼다.
  • ‘대역전’ 이준석의 개혁신당, 비례대표도 1석 얻었다

    ‘대역전’ 이준석의 개혁신당, 비례대표도 1석 얻었다

    경기 화성을에 출마해 대역전을 연출하며 기적 같은 당선을 이룬 이준석 대표의 개혁신당이 비례대표 선거에서도 1석을 확보했다. 11일 오전 5시 20분 기준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비례대표 개표율이 89.76% 진행된 가운데 개혁신당이 3.53%의 득표율을 보였다. 비례대표 총 46석 중 국민의힘 위성정당인 국민의미래가 15석, 더불어민주당 위성정당인 더불어민주연합이 10석, 조국혁신당이 9석을 확보한 상황에서 개혁신당도 1석을 얻게 됐다. 개혁신당의 비례대표 1번은 소아과 의사 출신인 이주영 후보다. 화성을에서 개표율 99.99% 기준 5만 1855표를 얻은 이 대표가 4만 8576표를 얻은 공영운 민주당 후보를 제치고 당선된 개혁신당은 이로써 2명의 국회의원을 확보하게 됐다. 5선에 도전했던 심상정 의원이 이끄는 녹색정의당이 이번 총선에서 1석도 얻지 못한 것을 생각하면 놀라운 결과다. 이 대표는 이번 총선에서 기적 같은 역전을 일궈낸 후 윤석열 대통령을 향해 “바로 직전 전국 단위 선거에서 대승을 이끌었던 그 당의 대표였던 사람이 왜 당을 옮겨서 출마할 수밖에 없었는지에 대해 한번 곱씹어 봤으면 한다”면서 “선거가 끝났으니 본인이 꼬아낸 실타래는 당장
  • ‘4선 고지’ 송파병 민주 남인순 “더 크게 써달라”

    ‘4선 고지’ 송파병 민주 남인순 “더 크게 써달라”

    제2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막판까지 접전을 보인 서울 송파병에서 남인순 더불어민주당 후보가 승리하며 4선 고지에 올랐다. 11일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따르면 오전 5시 10분 99.97% 개표가 진행된 서울 송파병에서 남 후보가 8만 350표(51.04%)를 얻어 7만 7070표(48.95%)를 얻은 김근식 국민의힘 후보를 앞섰다. 서울 송파병은 ‘강남 3구’ 가운데 ‘보수의 험지’로 꼽힌다. 2020년 21대 총선 때 민주당이 강남 3구 8곳 중에서 유일하게 승리한 곳도 송파병(남인순)이었다. 남 후보는 한국여성단체연합 상임대표 출신으로 19대 총선 때 비례대표로 당선된 후 20·21대 총선 때 송파병에서 내리 당선되며 3선에 성공했다. 남 후보는 이날 자신의 소셜미디어(SNS)를 통해 “진심으로 감사드린다”며 “위대한 송파구민의 승리”라고 소감을 밝혔다. 남 후보는 “송파가 키운 남인순, 송파구민 여러분이 더 크게 써달라”며 “모든 실력과 역량을 쏟아붓겠다”고 포부를 전했다.
  • “하루아침에 날아온 후보” 민주당 한민수 당선

    “하루아침에 날아온 후보” 민주당 한민수 당선

    기자 시절 ‘황당한 선거구’라는 제목의 칼럼을 통해 “하루아침에 날아온 후보는 자신의 지역구 골목 번지수나 알고 있을까?”라고 남을 비판했다가 정작 자신이 ‘하루아침에 날아온 후보’가 된 한민수 더불어민주당 후보가 서울 강북을에 당선됐다. 칼럼과 더불어 ‘벼락 공천’으로 자신이 출마하는 지역구에 투표도 못 하는 것이 알려져 논란이 불거졌지만 대세에 지장은 없었다. 한 후보는 10일 치른 제22대 국회의원선거에서 개표율 99.97% 기준 4만 4623표를 얻어 득표율 52.94%로 당선됐다. 경쟁자인 박진웅 국민의힘 후보는 3만 4989표, 득표율 41.51%로 낙선했다. 강북을은 더불어민주당 정봉주, 조수진 후보가 출마하기로 했다가 각종 논란으로 연이어 낙마한 끝에 당 대변인인 한 후보가 전략 공천됐다. 한 후보의 공천 이후 그가 과거 언론사 재직 시절 ‘졸속 공천’을 비판한 칼럼이 회자되며 논란에 휩싸였다. 국민일보 논설위원 시절인 2016년 4월 6일 그는 칼럼에서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힘의 전신인 새누리당의 ‘졸속 공천’ 논란을 두고 “정치권이 지역주민을 ‘장기판의 졸(卒)’로 여기는 게 아니라면 이럴 순 없다”고 지적했다. 남의 공천을 정의롭고 날카롭게
  • 이변은 없었다…국민의힘, 대구·경북 25석 싹쓸이

    이변은 없었다…국민의힘, 대구·경북 25석 싹쓸이

    10일 치러진 제2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국민의힘이 대구·경북(TK) 25석을 싹쓸이했다. 11일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총선 개표 결과에 따르면 국민의힘은 대구 12개 선거구 전체와 경북 13개 선거구 전체에서 당선자를 냈다. 이번 선거에서 수성구갑 수성에 나선 주호영 국민의힘 후보는 강민구 더불어민주당 후보 등을 누르고 당선됐다. 이번 당선으로 그는 내리 6선의 고지에 올라서게 됐다. 국민의힘 현역 중 최다선이다. ‘5·18 북한 개입설’ 등 논란성 발언으로 국민의힘 대구 중구남구 공천이 취소되자 무소속 출마를 선언하며 이변을 예고했던 도태우 중남구 후보는 고배를 마셨다. 도 후보를 누르고 당선된 김기웅 국민의힘 후보는 선거를 한 달여 남겨두고 당의 전략공천을 받고 출마해 경합을 벌인 끝에 국회에 입성하게 됐다. 대구·경북 지역 최대 격전지로 분류됐던 경북 경산에서는 조지연 국민의힘 후보가 보수 인사이자 친박계(친박근혜) 좌장으로 불렸던 4선의 무소속 최경환 후보를 누르고 당선됐다. 최 후보가 그간 다져온 영향력이 만만치 않았지만 여당의 전폭적 지원을 등에 업은 조 후보가 약 1600표 차이의 접전 끝에 승리를 거뒀다. 달서구병 선거구에서는 재선 대구시장을
  • 새벽 4시 개표율 97%…민주 161곳·국민의힘 90곳 1위

    새벽 4시 개표율 97%…민주 161곳·국민의힘 90곳 1위

    10일 치러진 제22대 총선 개표율이 11일 새벽 4시 97%를 넘긴 가운데 더불어민주당 후보들이 지역구 161곳에서 1위, 국민의힘이 90곳에서 1위를 기록하고 있다. 새로운미래·개혁신당·진보당은 각 1석을 얻었다. 당선이 결정된 지역구는 총 226곳이다. 민주당이 136석, 국민의힘이 87석, 새로운미래·개혁신당·진보당이 각 1석이다. 46명의 비례대표 의원을 뽑는 정당투표는 개표가 73.73% 진행됐다. 국민의힘 위성정당인 국민의미래가 37.90%로 12석을 확보했다. 민주당이 주도하는 더불어민주연합이 26.25%로 8석을 얻었고 조국혁신당은 23.51%로 7석을 확보했다. 정당투표는 3% 이상 득표해야 비례대표 의석을 배분받는다.
  • ‘尹 저격수 vs 尹 호위무사’…‘여전사’ 추미애 당선

    ‘尹 저격수 vs 尹 호위무사’…‘여전사’ 추미애 당선

    추미애 더불어민주당 경기 하남갑 후보가 당선됐다. 추 후보는 ‘친윤(석열계) 호위무사’ 이용 국민의힘 후보를 꺾고 당내 최다인 6선 고지에 올랐다. 추 후보는 11일 개표가 99.95% 완료된 가운데 50.59%를 득표해 당선됐다. 49.40% 득표한 이 후보와 불과 1.19%포인트(1200표) 차이다. 앞서 민주당은 법무부 장관 시절 윤석열 당시 검찰총장과 충돌한 ‘여전사’ 추미애 전 장관을 하남갑에 전략공천했다. 이곳은 하남시 인구 증가로 선거구가 2개로 나뉘면서 생긴 신설 지역구다. 추 후보는 이날 오전 당선 소감에서 “이 같은 박빙의 결과는 그것을 억누르기 위한 조직적인 관권선거, 불법선거가 자행됐기 때문이라고 보인다”며 “그러나 이렇게 윤석열 정권에 제동을 걸고 또 민생을 지키는 국민을 지키는 사명을 다하도록 저 추미애를 국회로 보내주신 하남 시민 여러분께 너무너무 감사드린다”라고 말했다. 국회의원 6선에 오른 추 후보는 유력한 차기 국회의장 후보로 꼽힌다. 그가 국회의장 자리에 앉게 되면 헌정사상 첫 여성 국회의장이 된다.
  • 출구조사 뒤집은 안철수 “쓴소리 역할 제대로 할 것”

    출구조사 뒤집은 안철수 “쓴소리 역할 제대로 할 것”

    제2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경기 지역 최대 승부처로 관심을 끈 성남 분당갑에 출마한 안철수 국민의힘 후보가 이광재 더불어민주당 후보를 상대로 승리를 거뒀다. 11일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따르면 이날 오전 4시 기준 개표가 90.13% 진행된 가운데 안 후보가 7만 9664표(53.91%)를 얻어 6만 8105표(46.08%)를 얻은 이 후보를 누르고 당선됐다. 두 사람의 표 차이는 1만 1559표다. 앞서 전날 오후 6시 투표 종료 후 발표된 KBS·MBC·SBS 등 지상파 3사 출구 조사 결과에서 안 후보는 47.2%로 이 후보(52.7%)에 뒤지는 것으로 나타났었다. 안 후보는 이번 총선 결과에 대해 “민심의 회초리가 무섭다는 생각이 든다. 국민의 눈높이에 맞지 않았던 것 같다”면서 “필요하다면 제가 앞장서 쓴소리하는 역할을 제대로 하겠다”고 밝혔다. 안 후보는 승리 요인에 관해 “나름대로 2년 동안(21대 의원) 의정 활동을 하면서 민심을 대변하고자 노력했다”며 “주민들께서 진정으로 무엇을 원하는지를 배운 소중한 시간”이었다고 말했다. 포부에 대해서는 “분당 판교를 대한민국 미래를 먹여 살릴 수 있는 도시로 만드는 게 가장 큰 소명이라고 생각한다”고 전
  • 한 표 보탠 고사리손, 한 땀 한 땀 수개표… 22대 국회를 위하여
  • 수도권 푸른 물결, 영남 붉은 깃발… 동서로 나뉜 대한민국
  • 김용태·전용기, 90년대생이 왔다

    김용태·전용기, 90년대생이 왔다

    4·10 총선에서 사상 첫 90년대생 지역구 국회의원이 탄생했다. 1990년생인 김용태(경기 포천·가평) 국민의힘 후보와 1991년생 전용기(경기 화성정) 더불어민주당 후보가 주인공이다. 11일 중앙선거관리위원회 개표 결과 오전 1시(개표율 81.05%) 기준 전 당선인은 경기 화성정에서 유경준 국민의힘 의원, 이원욱 개혁신당 의원과의 경쟁에서 이기고 당선이 확정됐다. 지난 총선에서 비례대표로 당선됐던 전 당선인은 재선 국회의원이 됐다. 전 당선인은 서울신문과의 통화에서 “젊은 정치인으로서 젊은 일꾼이 얼마나 지역을 역동적으로 발전시킬 수 있는지, 또 정치를 어떻게 새롭게 바꿀 수 있는지 보여 드리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국민의힘에서 청년 최고위원을 지낸 김 후보 또한 오전 1시(개표율 88.74%) 기준으로 박윤국 민주당 후보를 누르고 당선이 확실시됐다. ‘천아용인’ 중 유일하게 이준석 대표의 개혁신당에 참여하지 않고 여권에 남은 김 후보는 치열한 당내 5자 경선을 뚫고 당내 최연소 지역구 후보로 선거를 뛰었다. 다만 90년대생 중 최연소인 1996년생 우서영(경남 밀양·의령·함안·창녕) 민주당 후보는 박상웅 국민의힘 후보에 패배하며 고배를 마셨다. 앞서
  • ‘여전사’ 전현희, 한강벨트서 위력 과시

    ‘여전사’ 전현희, 한강벨트서 위력 과시

    임종석 공천배제 이후 전략 공천 권익위원장 사퇴 압박 딛고 완주 여야 ‘여전사’가 맞대결을 펼친 서울 중·성동갑에서는 전현희 더불어민주당 후보의 당선이 확실시됐다. 20대 총선에서 ‘보수 텃밭’ 강남을에서 당선됐던 전 후보는 이번에는 ‘한강벨트’의 대표적 경합지인 중·성동갑에서 위력을 과시했다. 11일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따르면 이날 오전 1시 기준 전 후보는 개표율 88.5% 상황에서 51.7%를 얻어 윤희숙 국민의힘 후보(48.3%)를 앞섰다. 당초 서울 중·성동갑에는 임종석 전 대통령 비서실장이 도전했으나 공천에서 배제되고 전 후보가 전략공천됐다. 전 후보는 함께 선거유세에 나선 임 전 실장을 향해 “마음이 많이 아팠을 텐데 추스르고 선거 유세에 함께해 줘 감사하다”고 전했다. 전 후보는 치과의사로 일하다가 1996년 사법시험에 합격해 변호사가 된 독특한 이력을 갖고 있다. 2008년 18대 총선 때 통합민주당(민주당 전신) 비례대표 국회의원이 되면서 정계에 입문했다. 19대 총선을 앞두고는 서울 강남을 경선에서 정동영 전 통일부 장관과의 경선에서 패배했다. 하지만 2016년 20대 총선에서 강남을에 출마해 득표율 51.5%로 김종훈 당시 새누리당
  • 이번에도 빗나간 출구조사… 권영세·김태호 ‘극적 당선’

    이번에도 빗나간 출구조사… 권영세·김태호 ‘극적 당선’

    11일 새벽까지 이어진 4·10 총선 개표 과정에선 후보 간 순위가 엎치락뒤치락 바뀌었다. 지상파 방송3사 출구조사 결과가 기존 여론조사와 다소 다르게 나오고, 막상 개표함을 열자 출구조사와 정반대의 결과가 빚어지면서 후보 간 희비가 엇갈렸다. 여야 최대 격전지로 꼽히는 한강벨트 서울 동작을도 롤러코스터 양상을 보였다. 10일 오후 6시 투표 종료 이후 발표된 방송3사 출구조사 결과가 발표되자 류삼영 민주당 후보 사무실에는 박수와 환호가 터져 나왔다. 류 후보가 52.3%를 얻어 나경원 국민의힘 후보(47.7%)를 앞서는 것으로 나왔기 때문이다. 두 후보의 격차도 4.6% 포인트로 상당했다. 발표를 지켜보던 국민의힘 개표 상황실에서는 탄식이 터져 나오기도 했다. 그러나 개표가 시작되자 상황이 달라졌다. 나 후보는 개표 이후 줄곧 류 후보를 압도하며 이날 오전 1시 현재(개표율 84.62%) 당선이 확실시된다. 출구 조사 결과가 완전히 빗나간 셈이다. 격전지였던 서울 용산 출구조사에서도 강태웅 민주당 후보가 50.3%로 권영세 국민의힘 후보(49.3%)보다 소폭 앞서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투표함을 열자 정반대 상황이 펼쳐졌다. 같은 시각 83.51%의 개표가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