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창고
  • [사진창고] ‘마른걸레도 다시 짜야한다’ 60.70년대의 가뭄현장(사진.영상포함)

    [사진창고] ‘마른걸레도 다시 짜야한다’ 60.70년대의 가뭄현장(사진.영상포함)

    ‘사진창고’는 119년 역사의 서울신문 DB사진들을 꺼내어 현재의 시대상과 견주어보는 멀티미디어부 데스크의 연재물입니다. 전라남도를 중심으로 남부지역 가뭄의 심각함을 알리는 언론보도가 몇달째 쏟아져 나오고 있다. 남부지역의 저수지는 말라 갈라진 바닥이 보일 정도고 전남 화순군 주암호에서는 가뭄의 여파로 수몰됐던 다리가 모습을 드러내기도 했다. 농업용수와 공업용수로 사용할 물 뿐 아니라 일부 도서지역에서는 마실 물조차 육지에서 공수할 정도다. 긴 봄가뭄이 생존에 대한 위협으로 다가오자 윤석열 대통령을 비롯한 정부까지 대책을 내놓고 있다. 4일 정부는 ‘4대강 보를 활용하라’는 전 정부의 정책과 반대되는 대책까지 내놓았다. 이번 가뭄은 ‘50년만의 최악의 가뭄’으로 표현된다. 그래서 서울신문 사진창고에서 50~60년 전인 60.70년대 가뭄관 관련된 사진을 꺼내봤다. 이 사진들에서는 지금보다 물이 더 귀했던 시절에 발생한 가뭄에 대처하는 국민들의 고분군투를 살펴볼 수 있다.
  • [사진창고] 60년전 전염병 방역현장의 모습은

    [사진창고] 60년전 전염병 방역현장의 모습은

    ‘사진창고’는 119년 역사의 서울신문 DB사진들을 꺼내어 현재의 시대상과 견주어보는 멀티미디어부 데스크의 연재물입니다. 지하철, 버스와 같은 대중교통을 이용할 때 의무였던 마스크착용이 20일 권고로 전환됐다. 코로나19로 인한 마스크착용이 의무화된 지 2년 5개월 만이다. 다음달이나 5월 초에 세계보건기구(WHO) 제 15차 긴급위원회에서는 ‘국제적 공중보건 비상사태(PHEIC)’ 즉 코로나19 팬데믹 해제에 대한 논의가 예정되어 있다. 길고 길었던 코로나19의 어두운 터널의 끝이 보이는 듯 하다. 지금으로부터 60년 전인 1963년 한국에도 심각한 전염병이 발병했다.‘엘톨형 콜레라’가 그것이다. 이 전염병은 치명률은 낮지만 불현성 감염 즉 무증상감염률이 높은 질병으로 알려져 있다. 코로나19에 대한 한국의 방역은 전세계방역의 표본이 될 정도로 철저한 방역시스템을 구축해 ‘K-방역’이라는 신조어가 생길 정도였지만 60년 전의 한국은 그렇지 못했다. 1963년 400여명 감염자로 시작했지만 곧 1500명이 넘는 감염자가 발생했고 이와 더불어 사망자도 늘어났다. 당시 미국 국제개발처는 콜레라 확산 초기 한국정부에게 美방역전문팀의 도움을 받을 것을 제안했지만 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