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외국인
  • 이름만 남은 헝가리 청년, 목숨 걸고 항일 의열단 폭탄 만들었다[대한외국인]

    이름만 남은 헝가리 청년, 목숨 걸고 항일 의열단 폭탄 만들었다[대한외국인]

    김산 증언·정화암 회고록에 등장 헝가리 출신 폭탄 전문가 알려져 영화 ‘밀정’ 의열단 도운 실존 인물 목숨 위험해 베일 속 활동했는데 신원 확인할 자료 조사 안 이뤄져 일본 제국주의 만행에 맞서 대한독립운동을 함께한 외국인들이 있었다. ‘파란 눈’의 이방인과 배신자라는 비난을 받으면서도 기꺼이 조선인 편에 선 일본인, 대한민국임시정부 활약에 힘을 보탠 중국인 등 다양한 국적을 가진 외국인 독립운동가를 우리는 잊고 살아왔다. 2018년부터 새롭게 발굴한 독립운동가 2980명 중 외국인은 262명이나 된다. 항일 언론이자 민족정론지 대한매일신보를 계승한 서울신문이 창간 120주년을 맞아 국가보훈부와 손잡고 공동 기획 ‘기억해야 할 독립운동가 대한외국인’을 10회에 걸쳐 집중 조명한다. 1923년 5월 국내로 몰래 반입된 폭탄 수백발을 무더기로 압수한 사건이 발생했다. 일본 경찰은 폭탄 성능이 강력한 것에 큰 충격을 받았다. 하지만 폭탄 제조 책임자가 ‘마자르’라는 사실은 끝내 알지 못했다. 마자르는 당시 식민지 조선과 전혀 관계없는 미지의 외국인 독립운동가였다. 의열단에서 활동했다는 것 외에는 철저히 베일에 가려져 있다. 존재가 드러나면 언제라도 목숨이 위험
  • [단독] 해리슨, 랜들, 켄들, 샬레… ‘대한외국인’을 아십니까[대한외국인]
    단독

    해리슨, 랜들, 켄들, 샬레… ‘대한외국인’을 아십니까[대한외국인]

    美서 한국인 신분 등록 힘 보태고 3·1운동 日만행 국제사회에 알려 독립운동가 발굴 자료서 첫 확인 새로 찾은 2980명 중 8.8% 외국인 “미국 법무부 외국인등록 부장인 얼 해리슨에게 감사 편지를 보내 주시기 바랍니다.” 제2차 세계대전이 한창이던 1940년 8월 재미 한인 독립운동단체는 활동보고를 통해 한 미국인에게 감사 편지 보내기 캠페인을 전개했다. 해리슨 부장의 노력으로 규정이 바뀌면서 더이상 미국 내 외국인 등록 때 일본 국적을 쓸 필요가 없어졌기 때문이다. 이름조차 생소한 이 미국인의 존재가 16일 서울신문이 단독 입수한 한국독립운동사 발굴자료를 통해 최초로 드러났다. 국가보훈부와 독립기념관은 2018년부터 ‘독립운동가 자료발굴 태스크포스(TF)’를 운영해 왔다. 법원 판결문과 신문기사, 각종 고문서 등을 통해 이달 1일 기준 총 2980명의 독립운동가를 새로 찾았다. 2021년부터 외국인 독립운동가도 조사해 262명(8.8%)을 새로 발굴했다. 김은지 TF 팀장은 “조사하다 보니 당초 생각했던 것보다 외국인 비중이 상당해서 놀랐다”며 “TF를 2026년까지 운영할 계획이어서 앞으로 더 많은 외국인 독립유공자를 찾을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