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
...
  • 국가무형문화재 ‘製茶의 가치’ 전승 학술대회

    국가무형문화재 ‘製茶의 가치’ 전승 학술대회

    우리나라의 차 문화는 삼다(三茶)로 요약된다. ‘제다’(製茶·차 만들기)·‘행다’(行茶·차 우리기)·‘끽다’(喫茶·차 마시기)다. 지난 7월 국가무형문화재로 지정된 ‘제다’의 가치와 전승 방안을 모색하는 학술대회가 오는 16일 문화재청 전주 국립무형유산원에서 열린다. 제다는 차나무의 싹, 잎, 어린줄기를 찌거나 덖은 뒤 비비기, 찧기, 압착, 건조 등의 과정을 거쳐 마실 수 있는 차로 만드는 일련의 기술을 의미한다. 종류에 따라 발효 과정도 거친다. 이번 학술대회에서는 정순일 원광대 교수의 기조강연 ‘국가무형문화재로서의 제다의 가치와 의미’를 시작으로 각 분야의 전문가들이 제다와 관련한 연구 성과를 발표한다. 강순형 전 국립문화재연구소장은 일제강점기 이후 제다의 변화 과정을 소개하고, 이경희 울산대 강사는 민간에서 전승되고 있는 제다의 현황을 설명한다. 이어 고연미 원광대 강사는 외국의 제다 관련 문화재를 통해 한국의 제다 전승 방안에 관해 이야기하고, 김기원 경남과학기술대 명예교수는 국가무형문화재 지정 이후 바람직한 제다의 보존과 전승 방향을 제시한다. 아울러, 명인 김동곤의 제다·행다·끽다 강의도 17~18일 열린다. 안동환 기자 ipsofacto
  • 연세대 언어정보硏 내일 학술대회

    연세대 언어정보연구원(원장 서상규)은 2일 오전 10시 30분 서울 서대문구 신촌캠퍼스 위당관에서 ‘한국어 언어 자원의 구축과 활용’을 주제로 제40회 학술대회를 개최한다.
  • 재외동포 언론사 편집인 초청 심포지엄

    재외동포 언론사 편집인 초청 심포지엄

    23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2016년 재외동포 언론사 편집인 국제심포지엄’에서 박기병 재외동포저널 발행인이 개회사를 하고 있다. 박윤슬 기자 seul@seoul.co.kr
  • 한국세법학회 창립 30주년 세미나…25일 조세법률문화상 등 시상

    한국세법학회가 ‘창립 30주년 기념 세미나’를 개최한다. 세법학회는 오는 25일 오후 2시부터 서울 강남구 역삼동 GS타워 1층 아모리스홀에서 30주년 기념 세미나를 연다고 23일 밝혔다. 이번 세미나는 ‘지난 30년 세법 판례의 회고와 전망’이라는 주제로 세법 분야의 대법원 판례 및 헌법재판을 회고하는 자리다. 윤지현 서울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가 ‘국세기본법에 따른 실체적·절차적 체계하에서 정확한 담세력에 따른 과세를 어느 정도까지 추구할 수 있는가?’라는 연구논문을 발표한다. 이준봉 성균관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는 ‘법인세법상 주요쟁점에 대한 판례의 동향과 전망’, 김두형 경희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는 ‘부가가치세법의 주요쟁점에 관한 판례의 조명과 동향’, 류지민 헌법재판소 헌법재판연구원(변호사)은 ‘세법분야의 헌법재판 회고’라는 주제 발표로 회원들 앞에 선다. 이날 오후 6시부터는 2부 기념행사가 진행된다. 뉴코리아 필하모닉 앙상블이 축하공연을 갖고 이태로 서울대 명예교수, 김창석 대법원 대법관, 서기석 헌법재판소 헌법재판관, 이주영 국회의원 등이 축사를 한다. 조세법률문화 창달 공로자에게 조세법률문화상과 공로상도 시상한다. 안경봉 한국세법학회장은 “한
  • 숙대 12일 교양교육 학술대회

    숙명여대 기초교양대학(학장 김봉환)과 한국사고와표현학회(회장 황영미)가 오는 12일 낮 12시 30분 서울 용산구 숙명여대 명신관에서 ‘인문소양 함양을 위해 기초교양교육이 나아갈 길’이라는 주제로 공동학술대회를 개최한다. 인문소양 증진을 위한 기초교양교육이 각 대학에서 어떻게 수행되고 있는지 살펴보고, 교육 과정에서 나타나는 특징을 반성적으로 공유하기 위해 마련된 자리다.
  • 4일 지식재산학회 학술대회

    4일 지식재산학회 학술대회

    한국지식재산학회(회장 윤선희)는 오는 4일 오전 9시 서울 중구 롯데호텔 사파이어볼룸에서 ‘지적재산권의 현재와 미래’를 주제로 50주년 기념 학술대회를 개최한다. 정세균 국회의장, 구자열 국가지식재산위원회 위원장, 우윤근 국회사무총장, 최성준 방송통신위원회 위원장, 이대경 특허법원장, 최동규 특허청장 등 각계 인사들이 축사를 할 예정이다.
  • 독도 최초 주민은 어떻게 살았을까

    독도 최초 주민은 어떻게 살았을까

    독도최종덕기념사업회(대표 박해선)는 25일 독도의 날을 맞아 24~25일 이틀간 국회에서 독도 최초 주민인 고 최종덕(1925~1987)씨의 삶을 조명하는 사진전과 독도마을 조성과 관련한 학술 세미나를 연다고 23일 밝혔다. 이번 행사는 독도를 지역구로 둔 박명재(포항남·울릉) 새누리당 의원과 함께 개최한다. 사진전에는 수십년간 척박한 환경과 싸우며 독도를 지킨 최씨의 삶을 담은 사진 80여점이 전시된다. 도록도 발간했다. 학술 세미나는 24일 오후 3시부터 2시간 동안 국회의원회관 제2회의실에서 ‘독도마을 어떻게 만들까’를 주제로 개최된다. 독도 유인화 정책으로 영유권을 강화하자는 차원에서다. 김호동 영남대 교수와 김영수 동북아역사재단 독도 동해연구실장 등이 주제발표하고 토론한다. 평안남도 순안 출신인 최씨는 1963년 독도에 들어가 토담집을 짓고 어업을 하며 생활하다 일본이 영유권을 주장하자 독도가 한국인이 사는 유인도임을 알리기 위해 1981년 10월 14일 독도로 주민등록지(경북 울릉군 울릉읍 도동 산63)를 옮긴 독도 1호 주민이다. 대구 김상화 기자 shkim@seoul.co.kr
  • ‘공법학회 60년…’ 학술대회

    ‘공법학회 60년…’ 학술대회

    한국공법학회(회장 김중권)는 14일 오후 1시 30분 서울시립대 법학관에서 ‘한국공법학회 60년과 헌법재판’을 주제로 학술대회를 연다. 헌법재판연구원(원장 전광석), 서울시립대 법학연구소(소장 장영철)와 공동으로 개최하는 학술대회에서는 헌법이론, 행정법이론, 사법이론에서의 헌법 재판의 의의를 되새길 예정이다.
  • 인류 첫 혜성탐사선 로제타, 임무 끝내고 영면

    인류 첫 혜성탐사선 로제타, 임무 끝내고 영면

    유럽우주국(ESA)은 29일(현지시간) 인류 최초의 혜상 탐사선 로제타가 12년에 걸친 임무를 마치고 30일 오전 11시20분(GMT?한국시간 오후 8시20분) 현 궤도를 벗어나 혜성 67p/추류모프-게라시멘코에 충돌해 자멸하도록 명령을 내렸다고 밝혔다. 위 사진은 2004년 3월 지구를 출발한 뒤 10년간 65억?를 날아 2014년 8월 혜성 67P에 근접했던 로제타의 활동 상상도를 나타낸 것이다. 2016-09-30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 조계종 학인 토론대회 열려

    조계종 학인 토론대회 열려

    28일 오후 서울 종로구 한국불교역사문화기념관에서 제1회 조계종 학인 토론대회가 열리자 참가자들이 토론을 경청하고 있다. 2016.9.28 연합뉴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 나사, 목성의 위성 유로파에서 ‘물’의 흔적 찾아…생명체 볼 수 있을까

    나사, 목성의 위성 유로파에서 ‘물’의 흔적 찾아…생명체 볼 수 있을까

    나사(NASA·미국 항공우주국)가 26일(현지시간) 허블 망원경을 통해 목성의 위성인 ‘유로파’에서 수증기 발산 흔적을 찾아냈다고 발표했다. 이는 유로파 지하에 바다의 존재 가능성을 입증할 단서를 찾았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앞서 나사는 “유로파에서 ‘놀라운 활동 증거’(Surprising evidence of activity)를 허블 망원경으로 찾았다”고 공표한 바 있다. 실제로 유로파는 생명체 존재 가능성이 높게 거론되는 후보지 중 하나로 꼽혀왔다. 지난 2013년에는 위성 남반구에서 거대한 물기둥이 솟구치는 장면이 포착되기도 했다. 나사는 지난 2011년 8월 아틀라스Ⅴ 로켓에 무인 탐사선 주노(Juno)를 실어 발사했다. 무게 4t의 육각형 모양인 주노는 5년간의 비행 끝에 지난 7월 목성 궤도에 진입해 탐사 작업에 들어갔다. 유로파는 목성이 보유한 67개 위성 중 하나로 얼음이 많아 ‘얼음 위성’으로 불린다. 목성 중심에서 67만 1050㎞ 떨어져 있으며 지름은 3130㎞에 달한다. 지구의 달보다는 크기가 작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 KISDI, 전문가·일반 국민들이 제안한 지능정보사회 정책 놓고 토론회 개최

    정보통신정책연구원(KISDI)은 오는 23일 서울 강남구 머큐어호텔에서 지능정보사회 정책 제안 토론회를 개최한다. 이번 정책 제안 토론회는 지난 8월 말부터 진행된 ‘지능정보사회·4차 산업혁명 대국민 정보 및 제안 공모’를 통해 모아진 의견을 공유하는 자리로 마련된다. 미래창조과학부는 지능정보사회 중장기 종합대책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보다 나은 정책 수립을 위해 각계각층의 전문가 및 관심을 가진 일반 국민을 대상으로 제안을 수렴하고 있다. 토론회에서는 지금까지 모아진 정책 제안들 중에서 우수제안자의 의견을 듣고 논의하며 향후 관련 정책에 연계할 방향을 모색한다. 이날 행사에서는 우수제안자로 선정된 공모자의 발표에 이어 산학연 전문가들의 토론이 이어진다. 여기에는 최항섭 국민대 교수, 김한준 고용정보원 박사, 최민석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실장, 조유리 KISDI 박사 등이 참여한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 ‘동아시아 질서’ 국제 학술회의

    통일연구원이 22일 서울 중구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급변하는 동아시아 질서와 한반도’를 주제로 ‘KINU 국제학술회의’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회의는 국제질서의 변화와 통일에 대한 다양한 의견들을 심도 있게 다루고 새로운 변화에 대한 대응을 모색하기 위한 것으로 세계 각국의 북한 전문가가 참석할 예정이다. 본격적인 회의에 앞서 홍용표 통일부 장관, 카렐 드 구트 전 유럽연합 통상장관 등의 축사도 예정돼 있다. 강병철 기자 bckang@seoul.co.kr
  • ‘징비록’ 영역한 최병현 소장 등 6명 학술원상

    ‘징비록’ 영역한 최병현 소장 등 6명 학술원상

    다양한 한국고전을 영문으로 번역한 최병현(66) 한국고전세계화연구소장을 비롯한 6명의 학자가 올해 대한민국학술원 수상자로 선정됐다. 대한민국학술원은 제61회 학술원상 수상자로 인문학 분야에서 최 소장과 박삼옥(70) 서울대 명예교수, 자연과학기초 분야에서 안순일(50) 연세대 교수와 강봉균(55) 서울대 교수, 자연과학응용 분야에서 이종무(66) 인하대 교수와 이용환(55) 서울대 교수를 선정했다고 20일 밝혔다. 1955년 제정한 학술원상은 학문 분야에서 뛰어난 연구 업적을 세운 학자에게 주는 국내 최고 권위의 학술상이다. 올해까지 수상자를 240명 배출했다. 최 소장은 유성룡의 참회록이자 전란기록인 ‘징비록’과 실학의 집대성자 정약용의 저서 ‘목민심서’, 조선왕조실록 중 첫 번째 왕조실록인 ‘태조실록’을 번역했다. 박 명예교수는 30여년간 경제지리학과 지역과학 분야에서 축적한 연구를 종합해 2015년 영문 단행본 ‘Dynamics of Economic Spaces in the Global Knowledge-Based Economy’를 출간했다. 안 교수는 지구 온난화와 엘니뇨에 관한 연구 성과를 90여편의 과학논문인용색인(SCIE)급 논문으로 펴내고 국제
  • 경주 규모 5.8 지진에 다보탑 난간석도 이탈…통도사 대웅전 벽면도 금 가

    경주 규모 5.8 지진에 다보탑 난간석도 이탈…통도사 대웅전 벽면도 금 가

    12일 밤 경주에서 발생한 규모 5.8의 지진으로 인해 영남 지역 문화재들이 크고 작은 피해를 본 가운데 불국사 다보탑의 난간석도 내려앉은 것으로 확인됐다. 대한불교조계종은 13일 오전 국보와 보물이 있는 사찰을 중심으로 문화재 피해 상황을 점검해 불국사 다보탑(국보 제20호)과 청도 운문사 서(西) 삼층석탑(보물 제678호)의 피해를 확인했다고 밝혔다. 불국사 다보탑은 상층부 난간석이 내려앉았고, 운문사 서 삼층석탑은 탑의 꼭대기에 있는 상륜부가 떨어져 나갔다. 또 경주 분황사에서는 모전석탑(국보 제30호)의 1층 벽돌에서 실금이 관찰됐고, 약사여래입상이 있는 보광전의 지붕 용마루와 벽체에서 갈라짐 현상이 발견됐다. 이외에도 경주 기림사 대적광전, 양산 통도사 대웅전·극락보전 등에서도 건물 벽면에 금이 갔고, 경산 선본사 전각의 지붕 기와가 떨어진 것으로 파악됐다. 조계종 관계자는 “총무원 문화재팀 직원을 경주에 파견해 문화재 조사를 추가로 진행할 것”이라며 “각 사찰에서 보고한 문화재 피해의 원인이 지진인지 아닌지는 정밀조사를 해 봐야 알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불국사 대웅전 지붕과 오릉 담장의 기와가 일부 파손되고 석굴암 진입로에 낙석이 발생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