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봅슬레이 씁쓸한 현주소
“한 선수가 다른 선수들보다 출발선에서 앞선 채 100m 육상 경기를 시작한다면, 그것은 공정한 경기가 아니다. 썰매에 따라 최대 0.5초까지 기록 차이가 나는데 이 정도면 불공정 경기가 아니냐.”이용 봅슬레이 대표팀 감독은 씁쓸한 듯 말끝을 높였다. 소치동계올림픽에 출전하는 각국의 봅슬레이가 기술력에서 워낙 많은 차이를 보이고 있다는 게 그의 요지였다. 봅슬레이는 1000분의1초로 승부가 갈린다. 0.5초는 큰 차이다.
그는 “한국 썰매는 B급이다. 미국, 캐나다, 이탈리아 정도가 A급 썰매를 탄다”며 씁쓸해했다.
그는 5일 서울신문과의 전화 통화에서 “얼마나 자주 최신형 썰매로 교체할 수 있느냐가 관건이다”면서 “돈이 많다면 첨단 기술이 담긴 썰매를 탈 수 있고, 그렇지 않다면 구형 썰매를 계속 탈 수밖에 없다”고 털어놨다.
그는 봅슬레이 경기를 포뮬러원(F1) 경주에 비유했다. “새 차를 타고 달리느냐, 낡은 차를 타고 달리느냐의 차이라고 보면 된다. 봅슬레이에서 썰매의 성능은 속도와 직결된다. 장비 얘기를 꺼내지 않을 수 없다”고 했다.
실제로 이번 대회에서 미국 대표팀은 독일의 자동차 제조사 BMW에서 만든 썰매를 탄다. 공기 역학과 무게중심을 고려한 낮고 매끄러운 디자인이다. 이탈리아와 영국의 썰매도 각각 자동차 회사 페라리와 맥라렌에서 제작했다.
이 감독은 “그러나 아직까지 한국 자동차회사에서 스폰서나 썰매 제작을 제의한 적은 없다”고 말했다.
역시 BMW의 썰매를 타는 독일 대표팀은 100개의 썰매 날(러너)을 갖고 있다. 영하 1도, 영하 2도, 눈 올 때, 비 올 때 쓰는 러너가 다르다. 당일 기온이나 빙질에 적합한 러너를 끼우고 내달린다. 이에 견줘 한국 대표팀의 러너는 달랑 3개다.
물론 동계스포츠는 장비 의존도가 크다. 그러나 장비의 첨단화가 스포츠의 본질일 수는 없다.
2009년 한 수영복 회사는 혁신적인 전신 수영복을 개발해 그해 108개의 신기록을 양산했다. 그러자 국제수영연맹(FINA)은 2011년 1월 이 전신 수영복을 금지했다. 선수의 실력보다 수영복의 기술력이 경기에 더 큰 영향을 미친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전신 수영복은 누구나 부담 없이 입을 수 있다. 그러나 봅슬레이는 2인승이 1억 2000만원, 4인승이 1억 4000만원 선이다. 누구나 수영복 입듯 썰매를 탈 수 있는 것은 아니다.
강신 기자 xin@seoul.co.kr
2014-02-06 2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