런던에서 한국 스포츠의 새 역사가 쓰여질 것 같다. 지금 흐름이라면 금메달 13개(은 10, 동 8)로 역대 최고 성적을 거둔 4년 전 베이징올림픽을 넘어설 기세다. 하지만 우리가 진정한 ‘스포츠 선진국’인지는 여전히 아리송하다.
믹스트존(공동취재구역)에서 만난 선수들은 대부분 ‘승자’였다. 고통을 뚫고 ‘1등’에 오른 선수는 그동안의 상처와 고통을 훈장처럼 토해 냈다. 유도 김재범은 “죽기 살기가 아니라 죽기로만 했다.”며 웃었고, 레슬링 김현우는 “아침마다 온몸이 아플 정도로 지옥훈련을 했다.”고 회상했다. 그러나 패자는, 메달을 따지 못한 선수는, 지난 4년의 땀과 눈물을 해소할 자격도 없다는 듯 취재진을 피해 발걸음을 재촉했다.
슬프지만 우리 현실에서는 이런 모습이 당연한 것 같다. 여전히 금메달은 인생까지 빛나게 한다. 20살 청년 양학선은 ‘금빛 착지’ 한 방에 아파트와 6억원을 손에 쥐었다. 유도 김재범은 2억원을, 양궁 기보배는 정부 포상금만 1억 2000만원을 받는다. 향후 교수직까지 보장된 선수도 적지 않다. 이러니 금메달에 목숨을 걸 수밖에. 인생이 장밋빛으로 변하는 무대에서 ‘쿨’하길 기대하는 건 무리다.
그래서 개회식은 신선한 충격이었다. 우사인 볼트(자메이카), 마리야 샤라포바(러시아), 코비 브라이언트(미국) 등 ‘월드스타’들은 모두 흥겨운 축제에 기꺼이 참가했다. 팬들에게 손을 흔들었고, 다른 선수들과 사진을 찍었다. 그들이라고 성적에 대한 부담이 없었을까.
우리 톱스타들은 컨디션 관리를 위해 올림픽선수촌과 브루넬대학에 머물렀다. 만약 결과가 좋지 않다면 개회식의 웃는 사진 한 장으로도 입방아에 오르기 쉽다. 운동도 잘하고 잘 놀기까지 하는 한둘의 ‘천재’로 당장 해결될 일은 아닌 것 같다. 결과만큼 과정을 중시하는 풍토가 뿌리내려야 하고, 올림픽 출전 자체로도 인정받는 분위기가 자리 잡아야 한다. 국민들의 너무 큰 기대와 과한 몰입도 때로는 곤란하다. 우리 스포츠가 속까지 알차고 건강해지길 꿈꿔 본다.
zone4@seoul.co.kr
믹스트존(공동취재구역)에서 만난 선수들은 대부분 ‘승자’였다. 고통을 뚫고 ‘1등’에 오른 선수는 그동안의 상처와 고통을 훈장처럼 토해 냈다. 유도 김재범은 “죽기 살기가 아니라 죽기로만 했다.”며 웃었고, 레슬링 김현우는 “아침마다 온몸이 아플 정도로 지옥훈련을 했다.”고 회상했다. 그러나 패자는, 메달을 따지 못한 선수는, 지난 4년의 땀과 눈물을 해소할 자격도 없다는 듯 취재진을 피해 발걸음을 재촉했다.
슬프지만 우리 현실에서는 이런 모습이 당연한 것 같다. 여전히 금메달은 인생까지 빛나게 한다. 20살 청년 양학선은 ‘금빛 착지’ 한 방에 아파트와 6억원을 손에 쥐었다. 유도 김재범은 2억원을, 양궁 기보배는 정부 포상금만 1억 2000만원을 받는다. 향후 교수직까지 보장된 선수도 적지 않다. 이러니 금메달에 목숨을 걸 수밖에. 인생이 장밋빛으로 변하는 무대에서 ‘쿨’하길 기대하는 건 무리다.
그래서 개회식은 신선한 충격이었다. 우사인 볼트(자메이카), 마리야 샤라포바(러시아), 코비 브라이언트(미국) 등 ‘월드스타’들은 모두 흥겨운 축제에 기꺼이 참가했다. 팬들에게 손을 흔들었고, 다른 선수들과 사진을 찍었다. 그들이라고 성적에 대한 부담이 없었을까.
우리 톱스타들은 컨디션 관리를 위해 올림픽선수촌과 브루넬대학에 머물렀다. 만약 결과가 좋지 않다면 개회식의 웃는 사진 한 장으로도 입방아에 오르기 쉽다. 운동도 잘하고 잘 놀기까지 하는 한둘의 ‘천재’로 당장 해결될 일은 아닌 것 같다. 결과만큼 과정을 중시하는 풍토가 뿌리내려야 하고, 올림픽 출전 자체로도 인정받는 분위기가 자리 잡아야 한다. 국민들의 너무 큰 기대와 과한 몰입도 때로는 곤란하다. 우리 스포츠가 속까지 알차고 건강해지길 꿈꿔 본다.
zone4@seoul.co.kr
2012-08-11 2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