잘못된 정보 노출 시간 길어질수록 신념을 바꾸지 않는 경향
정확한 정보를 초기에 제공해 편견을 바꿀 수 있도록 해야
가짜뉴스 노출 길어질수록 신념 강화 경향성
실험경제, 행동경제학자들은 가짜뉴스 노출시간이 길어질수록 잘못된 생각을 바꾸기는 점점 어려워진다는 연구결과를 내놨다.
픽사베이 제공
픽사베이 제공
미국 캘리포니아 산타바바라대(UCSB) 경제학부의 실험·행동경제학자로 구성된 연구팀은 같은 생각을 가진 사람들은 유튜브와 SNS를 통해 서로의 믿음을 교환하고 확인하면서 편향적인 생각을 강화하는 경향이 있다고 18일 밝혔다. 이번 연구결과는 경제학 관련 국제학술지 ‘유럽경제학회 저널’ 9월 14일자에 실렸다.
연구팀은 자기 신뢰에 대한 편견이 어떻게 강해지는지를 실험했다. 연구팀은 무작위로 220명의 성인남녀를 골라 IQ측정을 한 뒤 평균점수보다 높은 점수를 얻은 사람들과 낮은 점수를 얻은 사람을 분리해 비해 일부는 중간값보다 높은 점수를 얻도록 하고 일부는 중간값보다 낮은 점수를 얻도록 한 뒤 비슷한 점수대 실험자들끼리 짝을 만들었다. 연구팀은 실험대상자들에게는 중간값을 알려주지 않고 높은 IQ집단에 속한다는 믿음을 갖도록 했다. 동시에 실험대상자들이 자신의 점수를 얼마나 믿는지를 조사했다.
그 결과 낙관적인 성향을 가진 사람들은 비관적이고 의심을 하는 사람들에 비해 연구팀에서 이야기해준 것처럼 자신이 IQ가 높은 집단에 속해 있다는 믿음을 강하게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시간이 좀 지난 뒤 연구팀이나 다른 사람들이 실제 자신의 점수를 추정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더라도 자신의 생각이나 신념을 바꾸지 않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 같은 경향성은 IQ 점수가 상대적으로 낮은 집단에서 강하게 나타나는 것으로 관찰됐다.
연구팀에 따르면 이 같은 결과는 사람들이 시간이 지날수록 새로운 사실들이 제시되더라도 기존에 믿었던 내용들을 강화하는 방식으로 정보를 취사선택하기 때문에 나타나는 것이라고 밝혔다. 연구팀은 초기에 정확한 정보가 제공된 사람들은 자신의 편견을 쉽게 바꾼다는 사실도 확인했다.
연구팀은 정확성이 알려지지 않은 정보들이 넘쳐나는 상황에서는 스스로 판단이 쉽지 않기 때문에 듣고 싶고 믿고 싶어하는 것을 말해주는 정보원에 신뢰성을 부여해 어려움을 해결하려고 하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이라고 지적했다. 이 같은 현상은 시간이 지나면서 동기부여된 추론으로 인한 편견을 더 강화시키고 심지어 사실을 받아들이지 않기까지 한다는 것이다.
라이언 오페아 교수(실험경제학)는 “이번 연구는 정보가 넘쳐나고 빠르게 유통되는 인터넷 시대에 왜 편향된 믿음이 더 강해지는지를 보여주고 있다”라며 “유튜브와 SNS 채널에서 많은 정보를 얻고 있지만 정보의 질에 대해서는 잘 모르고 있는 만큼 이제는 기성 언론 만큼이나 SNS의 정보 정확성과 출처에 대한 판단이 필요할 때”라고 지적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