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태 보고’ 갈라파고스마저 미세플라스틱에 앓고 있다

‘생태 보고’ 갈라파고스마저 미세플라스틱에 앓고 있다

유용하 기자
유용하 기자
입력 2024-01-25 04:00
수정 2024-01-25 04: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캐나다·에콰도르 연구팀 발표

5㎜ 이하 물질, 여과 안 되고 흡수
먹이사슬 통해 축적된 경로 확인
갈라파고스펭귄에게 가장 큰 영향
천연 비료에도 있어 공기 중 표류
“최종 포식자 인간도 안심 못 해”

이미지 확대
크기가 5㎜ 이하인 미세플라스틱은 하수처리 과정에서도 걸러지지 않아 먹이사슬을 따라 올라와 결국 사람의 몸속에 축적된다. 호주 퀸즐랜드대 제공
크기가 5㎜ 이하인 미세플라스틱은 하수처리 과정에서도 걸러지지 않아 먹이사슬을 따라 올라와 결국 사람의 몸속에 축적된다.
호주 퀸즐랜드대 제공
환경 분야에서 현재 가장 심각한 문제는 지구온난화로 인한 기후변화다. 플라스틱 사용 급증으로 인한 미세플라스틱의 폐해도 심각한 상황에 이르고 있다.

크기가 5㎜ 이하인 미세플라스틱은 하수처리 과정에서도 걸러지지 않아 하수구를 통해 그대로 강과 바다에 흘러 들어가고 지하수로 스며들기도 한다. 미세플라스틱은 토양이나 표층수, 바다로 들어가 먹이피라미드 가장 아래쪽에 있는 생물들이 먹고 먹이사슬을 따라 올라와 결국 사람의 몸속에 축적된다.

그동안 청정지역으로 알려졌던 극지방 바다에서도 미세플라스틱 오염이 심각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지난 17일에는 미국 캘리포니아로스앤젤레스대(UCLA) 토목환경공학과와 템플대 지구환경과학과 공동 연구팀이 천연 비료 속에도 미세플라스틱이 포함돼 있으며 바람을 타고 공기 중에 떠다닌다는 연구 결과를 환경학 분야 국제 학술지 ‘환경 과학·기술 회보’에 발표했다.
이미지 확대
적도와 가깝고 대륙과 멀리 떨어진 갈라파고스제도도 미세플라스틱 오염으로 몸살을 앓고 있다. 사진은 갈라파고스제도의 이사벨라섬 바위에 서 있는 갈라파고스펭귄의 모습.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대  제공
적도와 가깝고 대륙과 멀리 떨어진 갈라파고스제도도 미세플라스틱 오염으로 몸살을 앓고 있다. 사진은 갈라파고스제도의 이사벨라섬 바위에 서 있는 갈라파고스펭귄의 모습.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대 제공
이런 가운데 사람의 발길이 많이 닿지 않는 태평양의 섬 ‘갈라파고스제도’ 역시 미세플라스틱 오염으로 몸살을 앓고 있다는 분석 결과가 나와 충격을 준다. 지구상에 미세플라스틱 오염에서 벗어날 수 있는 공간은 사실상 사라졌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대(UBC) 해양·수산연구소, 야생동물 보호단체인 에콰도르 페레그린 재단, ESPOL 폴리테크닉대 공동 연구팀은 갈라파고스제도 먹이사슬을 통해 미세플라스틱이 어떻게 축적될 수 있는지를 보여 주며 갈라파고스펭귄이 가장 큰 영향을 받는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 결과는 미국 공공과학도서관에서 발행하는 국제 학술지 ‘플로스 원’ 1월 25일 자에 실렸다.

미세플라스틱 오염이 심각하다는 것은 알려졌지만 사람이나 동물에 대한 피해 정도는 명확히 밝혀지지 않고 있다. 이에 적도에 가깝고 육지로부터 고립된 갈라파고스 해양보호구역을 대상으로 연구를 했다. 특히 갈라파고스제도 먹이사슬을 통해 미세플라스틱의 생물학적 축적과 생물학적 증폭을 추적하기 위한 지표종으로는 멸종 위기에 처한 갈라파고스펭귄에게 집중했다. 생물학적 증폭이란 포식자가 먹이를 섭취할 때 먹이사슬의 각 단계에 따라 독성 오염물질이 어떻게 더 농축되고 증폭되는지를 파악하는 생태학 개념이다.
이미지 확대
미국 캘리포니아로스앤젤레스대(UCLA)와 템플대 공동 연구팀은 천연 비료 속에도 미세플라스틱이 포함된 것을 확인했다.  미국 UCLA 제공
미국 캘리포니아로스앤젤레스대(UCLA)와 템플대 공동 연구팀은 천연 비료 속에도 미세플라스틱이 포함된 것을 확인했다.
미국 UCLA 제공
연구팀은 갈라파고스제도의 중심으로 도시와 농촌 환경이 공존하는 인구 밀집 지역인 산타크루스섬과 갈라파고스펭귄이 서식하는 다른 섬, 펭귄들의 먹이인 정어리, 청어, 멸치와 펭귄 배설물을 바탕으로 미세플라스틱의 이동과 증폭을 시뮬레이션했다.

연구팀은 갈라파고스펭귄에게 초점을 맞춘 모델과 갈라파고스제도가 속한 더 넓은 지역인 볼리바르 해협 생태계로 확장한 모델을 만들어 분석했다.

그 결과 갈라파고스제도는 물론 볼리바르 해협 생태계 전체에서 미세플라스틱의 축적과 오염이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갈라파고스펭귄의 체내에서 가장 높은 수준의 미세플라스틱 농도가 확인됐으며 꼬치고기, 멸치, 정어리, 청어, 동물성 플랑크톤에서도 고농도 미세플라스틱이 발견됐다. 연구팀에 따르면 먹이피라미드가 올라갈수록 미세플라스틱의 체내 축척이 증가하고 증폭된다.

연구를 이끈 후안 호세 알라바 캐나다 UBC 해양·수산연구소 박사는 “이번 연구는 미세플라스틱이 육지와 수천㎞ 떨어진 갈라파고스제도와 같이 고립된 보호지역까지 오염시키고 있음을 보여 준다”고 강조했다. 알라바 박사는 “먹이사슬을 거치면서 최종 포식자에게는 심각한 수준의 미세플라스틱이 축적될 수 있음을 보여 주는 만큼 인간도 안심할 수 없는 상태”라고 지적했다.
2024-01-25 1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