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PEC 기후센터, 한반도 미래 가뭄 예측 결과
황무지처럼 마르고 갈라진 주암댐
전남 순천시 상사면에 있는 주암댐이 말라붙어 갈라진 바닥을 드러내고 있다. 극심한 가뭄이 1년가량 이어지면서 광주·전남 주요 식수원인 주암댐의 저수율은 이날 21.53%까지 내려갔다.
2023.3.20 연합뉴스
2023.3.20 연합뉴스
APEC 기후센터는 사회경제적 피해를 가져오는 주요 기후 재난 중 하나인 가뭄의 미래 경향을 분석해 14일 발표했다.
센터 기후분석팀은 기상청 국가 기후변화 표준 시나리오 중 동아시아 지역의 고해상도 시나리오를 이용했다. 표준강수량(SPI), 표준증발산부족량지수(SEDI)와 관련해 대기 순환 패턴을 2040년까지 가까운 미래와 2081~2100년까지 먼 미래 전망을 나눠서 분석했다.
그 결과, 지금보다 탄소배출이 더 많아지는 고탄소 상황에서는 현재 기후(1985~2014년)와 비교해 먼 미래에 가까워질수록 가뭄의 상황은 심각해진다. 3개월 누적 가뭄지수로 볼 때는 봄철(3~5월)보다는 가을철(9~11월) 가뭄이 더 심각해질 것으로 전망됐다.
보통 가뭄지수는 D0~D4 등급으로 나누는데 고탄소 시나리오에서 봄철에는 남부지방은 D2(심각한 가뭄), 서울, 경기 등 수도권 지역은 더 심한 D3(극심한 가뭄) 단계가 예상됐다. 가을철에는 남부지역이 D3 단계의 가뭄이 잦아질 것으로 예측됐다.
더 큰 문제는 5% 이하 수준으로 발생하는 D4(이례적으로 극심한 가뭄) 단계 가뭄도 자주 나타날 것이라는 점이다. 특히 D4 가뭄은 봄, 가을철 모두 중·북부 지역에서 나타날 것으로 보인다.
분석팀에 따르면 고탄소 시나리오상에서 금세기 후반으로 갈수록 봄철에는 현재보다 강수량은 더 증가하지만, 가파르게 상승하는 기온으로 대기 증발산량보다 요구량의 증가가 더욱 뚜렷해지기 때문에 가뭄이 심해진다. 또 가을철에는 지표면 기온이 더 크게 상승하고 가을철 강수와 관련된 다습한 남풍의 유입이 줄면서 강수량도 줄어들게 된다는 설명이다.
연구팀 관계자는 “지구 온난화로 먼 미래에는 봄철보다 여름 직후인 가을철 지표면 기온 증가가 더 뚜렷하게 나타나고, 가을철 강수 증가와 관련 있는 남북 방향 바람과 강수량은 현재보다 오히려 감소해 봄철보다는 가을철 가뭄이 극심해질 것으로 보인다”라고 설명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