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판·구슬 방출 장치 등 유물로
연구팀 주전 시스템 복원 설계
국보 제229호 보루각 자격루의 모습.
서울신문DB
서울신문DB
국립중앙과학관 한국과학기술사과, 한국천문연구원, 수도문물연구원 공동 연구팀은 자격루 주전 시스템을 복원 설계하는 데 성공하고 실물을 복원 중이라고 14일 밝혔다.
자격루는 크게 수량 제어 부분과 자동 시보 부분으로 구성된다. 수량 부분에는 물의 양과 유속을 조절하는 물 공급 항아리 파수호, 물을 받는 항아리 수수호가 있다. 자동 시보는 십이지신 인형의 움직임을 통해 시간을 알린다. 수량에 따라 일정 시각마다 구슬을 굴려 동력을 전달해 시각을 조절하는 자격루의 ‘두뇌’ 역할을 하는 것이 주전이다. 여러 부품 중 파수호와 수수호만 남아 있었다.
인사동에서 찾은 동판과 구슬 방출 장치가 1536년 중종 때 만들어진 부품으로 확인되면서 연구팀은 주전의 작동 원리를 파악하기 시작했다. 수수호 안에 있는 주전죽(籌箭竹)과 그 위에 있는 방목(方木), 방목 속 좌우에 설치되는 2종의 동판, 동판에서 구슬을 장전하는 구슬 방출 기구로 구성된 주전의 설계도를 복원했다. 세종실록 속 자격루 설명 문헌인 ‘보루각기’, ‘보루각명병서’, 계절별로 밤시간을 알려 주는 지침서인 ‘누주통의’를 참고서 삼았다.
연구팀은 현재 경복궁 내 국립고궁박물관에서 전시 중인 ‘복원 자격루’를 대전 국립중앙과학관으로 옮겨 더 원형에 가까운 자격루를 만들 계획이다.
이석래 국립중앙과학관 관장은 “복원을 통해 자격루의 구슬 신호 발생에 대한 핵심 과학 원리를 제대로 보여 줄 수 있는 전시 기법을 고민하겠다”고 말했다.
2022-07-15 2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