캄캄한 실내·짝짝이 안경…영화관은 다 과학이었구나

캄캄한 실내·짝짝이 안경…영화관은 다 과학이었구나

유용하 기자
유용하 기자
입력 2020-02-12 17:38
수정 2020-02-13 02:0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영화, 기술과 예술의 만남

이미지 확대
3D 입체영화는 양안시차를 이용한 것이다. 이전에는 적청(赤靑)안경을 이용해 3D 영상을 체험했지만 최근에는 좌우 각각 빛의 투과 방향을 달리하는 편광안경을 이용해 좀더 현실적인 3D 영상을 즐길 수 있게 됐다. 위키피디아 제공
3D 입체영화는 양안시차를 이용한 것이다. 이전에는 적청(赤靑)안경을 이용해 3D 영상을 체험했지만 최근에는 좌우 각각 빛의 투과 방향을 달리하는 편광안경을 이용해 좀더 현실적인 3D 영상을 즐길 수 있게 됐다.
위키피디아 제공
# “이런 젠장, 기차가 우리 쪽으로 돌진하고 있잖아. 비키라고 얼른.”

1895년 12월 28일 오후 9시 프랑스 파리 그랑카페에는 사교계 남녀 33명이 뤼미에르 형제가 재미있는 볼거리를 공개한다고 해서 입장료 1프랑을 내고 앉아 있었다. 카페가 어두워지면서 갑자기 앞에서 말이 짐수레를 끌고 다가오고 열차가 역으로 들어오는 모습이 보였다. 관객들 중 일부는 열차와 짐수레가 실제로 돌진해 오는 것으로 착각해 놀라 카페 밖으로 뛰쳐나가기도 했다. 이날 공개한 ‘시오타역으로 들어오는 열차’라는 3분짜리 동영상은 가장 대중적 예술 ‘영화’의 시작이었다.

지난 10일(한국시간) 열린 제92회 미국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기생충’이 작품상, 감독상, 각본상, 국제장편영화상 4개 부문을 휩쓸어 이번 주는 말 그대로 한국영화사를 새로 쓴 역사적인 한 주로 기록됐다.

영화는 19세기 말 연극, 서커스, 동물원 이외에 새로운 오락거리를 원했던 대중들의 요구와 움직이는 사진에 관심이 많았던 과학자와 발명가들이 내놓은 다양한 장치들 덕분에 자연스럽게 등장하게 됐다.
이미지 확대
프랑스 뤼미에르 형제가 만든 영화 ‘시오타역으로 들어오는 열차’(일명 열차의 도착)의 한 장면. 1895년 12월 28일 프랑스 파리의 한 카페에서 공개한 3분짜리 이 동영상은 ‘영화’라는 장르의 문을 열었다. 위키피디아 제공
프랑스 뤼미에르 형제가 만든 영화 ‘시오타역으로 들어오는 열차’(일명 열차의 도착)의 한 장면. 1895년 12월 28일 프랑스 파리의 한 카페에서 공개한 3분짜리 이 동영상은 ‘영화’라는 장르의 문을 열었다.
위키피디아 제공
기계문명의 발달과 함께 등장한 영화는 뇌가 사물을 인지하는 원리를 가장 잘 활용한 분야로 평가받고 있다.

망막은 사물을 한 장의 스틸 사진처럼 인식한다. 망막에서 받아들인 스틸 사진들을 동영상처럼 느끼도록 하는 것은 뇌의 잔상 효과 때문이다.

1740년 독일 수학자이자 물리학자인 요하네스 안드레아스 폰 제그너는 어둠 속에서 붉게 타는 석탄을 끈에 매달아 빠른 속도로 돌리면 연속된 빨간 원으로 보이며 이때 눈의 잔상 효과는 0.1초가량 지속된다는 사실을 측정했다. 비슷한 시기에 프랑스 과학자 파트리스 달시도 잔상 효과의 지속 시간을 측정했는데 그는 0.143초라고 주장했다.
이미지 확대
프랑스 생리학자 에티엔 쥘 마레는 동물의 움직임을 연구하기 위해 ‘크로노포토그래픽건’(촬영총)을 개발했다. 마레는 하나의 카메라로 일정한 시간 간격을 두고 연속 촬영을 해 새의 움직임을 관찰했다. 마레의 촬영총은 현대 영화 카메라의 전신이라고 할 수 있다. 구글 아트 제공
프랑스 생리학자 에티엔 쥘 마레는 동물의 움직임을 연구하기 위해 ‘크로노포토그래픽건’(촬영총)을 개발했다. 마레는 하나의 카메라로 일정한 시간 간격을 두고 연속 촬영을 해 새의 움직임을 관찰했다. 마레의 촬영총은 현대 영화 카메라의 전신이라고 할 수 있다.
구글 아트 제공
실제로 뇌는 어두운 곳에서 밝은 화면이 일정한 속도로 빠르게 지나가면 연속적 움직임으로 인식한다. 영화가 시작될 때 상영관 안을 어둡게 하는 것도 잔상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것이다. 영화는 초당 24장의 사진이 빠르게 지나가도록 해 관객들의 뇌를 속이고 있는 것이다.

또 최근 들어 3D, 4D 등 다양한 입체영화들이 개봉되고 있다. 4D 영화는 3D 영상에 촉각이나 후각을 자극하는 기술을 덧입힌 것이니만큼 입체영화의 기본은 3D 영화다.

망막에 맺히는 2차원 평면 이미지를 뇌가 3차원 입체로 인식하도록 만드는 원리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3D 영화는 ‘양안(兩眼)시차’ 원리를 이용하고 있다. 사람의 두 눈은 6~6.5㎝가량 떨어져 있기 때문에 왼쪽 눈과 오른쪽 눈이 보는 이미지가 약간의 차이를 보이는데, 뇌에서는 이 둘을 합성해 인식하는 것이 양안시차다.

초창기 입체영화는 파란색과 빨간색으로 찍고, 관객들은 파란색과 빨간색 셀로판지를 붙인 적청(赤靑)안경을 쓰고 양쪽 눈이 다른 색의 영상을 보도록 함으로써 입체감을 느끼게 했다. 그렇지만 화질이 조악하고 입체 완성도도 떨어져 관객들의 외면을 받았다. 그러나 최근 기술 발달로 사람의 두 눈 간격과 각도와 비슷하게 영상을 촬영하고 관객들은 왼쪽과 오른쪽 렌즈가 각각 수직과 수평인 빛을 통과하지 못하도록 한 편광필터가 장착된 특수안경을 끼고 한층 세련된 입체영화를 즐길 수 있게 됐다.

과학자들은 “영화는 새로운 기술을 시험하기 가장 좋은 예술 영역”이라면서 “가까운 시일에 가상현실(VR)·증강현실(AR), 인공지능(AI) 기술이 영화에 접목되면 지금처럼 관객이 일방적으로 보는 형태가 아니라 관객과 배우가 직접 소통하고 영화 속에 들어가 직접 체험하며 즐기는 방향으로 진화하게 될 것”이라고 예측하고 있다.

유용하 기자 edmondy@seoul.co.kr
2020-02-13 2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 or 31일
정부와 국민의힘은 설 연휴 전날인 27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하기로 결정했다. “내수 경기 진작과 관광 활성화 등 긍정적 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한다”며 결정 이유를 설명했다. 그러나 이 같은 결정에 일부 반발이 제기됐다.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지정될 경우 많은 기혼 여성들의 명절 가사 노동 부담이 늘어날 수 있다는 의견과 함께 내수진작을 위한 임시공휴일은 27일보타 31일이 더 효과적이라는 의견이 있다.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과 31일 여러분의…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31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