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견 공보의 82%는 의료취약지역
“공보의 줄어 의료공백 심화 우려”
지난 26일 서울 시내 한 대학병원 응급의료센터에 소아 응급실 관련 안내 배너가 놓여 있다. 연합뉴스
전공의 이탈로 인한 의료 공백을 막기 위해 투입된 공중보건의(공보의) 10명 중 8명이 ‘의료취약지’에서 차출된 것으로 나타났다. 의료 인프라가 부족한 지역에 공보의마저 줄어들어 의료 공백이 심화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27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김윤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보건복지부에서 받은 자료를 보면, 지난 22일 기준 주요 대학병원에 파견된 공보의는 132명이다. 인턴과 일반의가 각 50명이고 전문의는 32명이다.
이들 중 109명(82.6%)은 원소속이 공공보건의료기본법상 응급·소아·분만 등에서 의료취약지로 분류된 곳이었다. 응급·분만 취약지에서 파견된 공보의가 67명으로 가장 많았고 응급·소아·분만 영역 모두 취약지로 지정받은 곳에서 파견 나온 사례가 27명으로 뒤를 이었다.
파견 공보의 가운데 전문의 32명의 과목은 소아청소년과가 12명으로 가장 많았다. 뒤이어 마취통증의학과 6명, 성형외과와 직업환경의학과 각 4명, 피부과 2명이었다.
김 의원은 “의료 취약지는 공적 지원이 없으면 의료 인프라 유지가 어려운 지역”이라며 “최근 공보의 감소로 공공 인력 수급도 어려워진 상황 속에서 의료 취약지에 있는 의사들마저 대형병원으로 차출되는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응급실 운영 파행 위기 속 군의관, 공보의 등 보강 인력들을 긴급 투입하고 있지만 파견 초반 원소속 기관으로 복귀를 요청하는 등 현장 혼란도 지속되고 있다”며 “공보의가 차출된 지역의 의료 이용 현황도 함께 점검해야 한다”고 밝혔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