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아이클릭아트
통계청이 21일 발표한 ‘2023년 상반기 지역별 고용조사 기혼 여성의 고용 현황’에 따르면 15~54세 기혼여성 중 취업자는 510만 7000명이었다. 이 중 18세 미만 자녀와 함께 사는 기혼 여성의 고용률은 60.0%로 지난해보다 2.2%포인트 상승했다. 2016년 통계 작성 이래 최고치다.
15~54세 기혼 여성 중 경력 단절 여성은 지난해보다 4만 8000명 줄어든 134만 9000명으로 집계됐다.
경력 단절 사유별로 나눠보면 자녀 교육을 위해 일을 그만둔 여성 수가 지난해보다 1만명 늘어난 6만명을 기록했다. ‘자녀 교육’을 이유로 경력이 단절된 여성이 늘어난 것은 관련 통계를 작성한 이후 처음이다.
주요 경력 단절 사유로는 여전히 육아 56만7000명(42.0%), 결혼 35만3000명(26.2%), 임신·출산 31만명(23.0%) 등이 월등히 높지만, 지난해와 비교하면 육아(-3만명), 결혼(-1만 4000명), 임신·출산(-7000명), 가족 돌봄(-6000명) 등 전반적인 규모는 오히려 감소했다.
과거와 달리 여성들이 결혼, 임신·출산, 육아 시기에 경력 단절 위기를 버텨내더라도 초등학교 진학 이후 맞닥뜨리는 교육 문제로 또다시 직장을 그만두는 경우가 늘어난 영향으로 분석된다.
임경은 통계청 고용통계과장은 “예전에는 아이를 낳으면서 일을 그만두는 여성이 많았는데, 최근엔 아이들이 학교에 입학하면서 교육 때문에 휴직하는 사례가 많이 늘어나는 점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그래픽 연합뉴스
전체 경력 단절 여성이 줄어드는 것도 사회적 분위기가 개선됐다기보다는 인구구조적으로 혼인이나 출생 자체가 급감하면서 이로인한 절대적인 숫자가 줄어들기 때문이다. 실제 올해 상반기 기준 기혼 여성 수는 794만 3000명으로 1년 전보다 15만 9000명이나 줄어 들었다.
나이별로 구분해서 보면 이 같은 흐름은 더욱 두드러진다.
혼인이나 육아 연령대인 30대(54만 4000명) 경력 단절 여성은 지난해보다 5만 6000명 감소했지만 초등학생이나 중학생 자녀를 주로 두고 있는 40대(59만명) 경력 단절 여성은 같은 기간 오히려 2000명 더 늘었다.
연령별 경력 단절 사유를 봐도 숫자가 증가한 40대(3만 4000명)에서 ‘자녀 교육’을 경력 단절 사유로 꼽은 경우가 가장 많았다. 이어 30대(1만 6000명), 50대(1만명) 등 순이었다.
통계청 관계자는 “경력 단절 사유로 자녀 교육이 늘고 단기 경력 단절이 나타나는 추세를 봤을 때도 육아보다는 교육 때문에 일자리를 그만두는 사유가 늘어난 것으로 분석된다”고 설명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