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대 증원 추진에 커지는 ‘이공계 위기론’

의대 증원 추진에 커지는 ‘이공계 위기론’

유승혁 기자
입력 2023-10-18 17:03
수정 2023-10-18 17:0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17년째 동결된 3058명에서 1000명 수준 증원 가능성
이공계, 의대 쏠림 현상 심해져 우수 인재 놓칠까 우려
교수들 “논의가 한 쪽으로만…균형 잡힌 정책이 필요”

이미지 확대
정부가 2025년 대학입시부터 의과대학 입학 정원을 1000명 이상 늘릴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16일 서울 시내의 한 의과대학의 모습. 연합뉴스
정부가 2025년 대학입시부터 의과대학 입학 정원을 1000명 이상 늘릴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16일 서울 시내의 한 의과대학의 모습. 연합뉴스
정부가 의과대학 입학 정원을 대폭 확대할 것으로 알려지면서 이공계의 근심이 커지고 있다. 지역·필수의료의 공백을 막기 위해 의사를 늘리겠다는 의도이지만, 이공계 입장에서는 우수 인재의 의대 쏠림 문제가 한층 심각해질 것이란 우려가 나온다.

정부는 지난 2006년부터 3058명으로 묶인 전국 의대 입학 정원을 2025년부터 늘리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의사단체의 반발을 의식해 올 연말까지 시간을 두고 협의하기로 했지만, 끝내 합의하지 못해도 ‘정원 확대’라는 구체적 방향성은 꺾지 않을 방침이다. 현재 1000명을 늘리는 방안이 유력하다.

이공계 교수들은 우수 인재들이 의대 뿐 아니라 이공계를 선택할 수 있도록 보상 체계를 마련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한연수 전남대 응용생물학과 교수는 18일 “의대 쏠림 현상이 나타나는 이유는 의사의 직업 보장성이 높기 때문”이라며 “미래 산업에 필요한 이공계열은 아직 직업 확보에 대한 불안감이 있다. 공과대학이나 자연과학에도 우대 조건을 주는 것을 고민해야 한다”고 말했다.

윤종일 KAIST 교수는 “의대 정원이 확대되면 기초과학 분야나 공대에서 우수 인재를 확보하는 데 어려움이 커질 것이란 걱정이 있다”면서 “지금 논의가 한 쪽에만 치우쳐져 있어서 아쉽다. 기초과학 분야에도 훌륭한 인재가 들어올 수 있도록 이공계를 위한 균형 잡힌 정책이 마련되면 좋겠다”고 말했다.
이미지 확대
17일 서울 강남구 대치동 학원 앞에 교육 과정과 관련한 광고 문구가 적혀 있다. 연합뉴스
17일 서울 강남구 대치동 학원 앞에 교육 과정과 관련한 광고 문구가 적혀 있다. 연합뉴스
실제로 의대를 가기 위한 이공계 학생들의 이탈은 심각한 문제로 떠오른 상태다. 이미 지난 10년 동안 학생수 감소에도 의대를 제외한 의약계열의 입학 정원은 크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자연·인문·사회계열은 입학 정원이 큰 폭으로 줄어 양극화 양상을 보였다.

이날 서동용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2013년과 올해 전국 4년제 대학의 계열별 입학 정원을 분석한 결과 총 입학 정원은 10년간 3만 5363명(10.2%) 감소했다. 그러나 의약계열의 입학 정원은 같은 기간 2만 1703명에서 2만6874명으로 5171명(23.8%) 늘었다.

의대 정원은 2006년부터 3058명으로 동결이지만, 지난해부터 약대가 학부 신입생을 선발하면서 정원이 늘었다. 약학계열은 2013년 285명에서 올해 1863명으로 553.7% 급증했다. 간호계열(24.2%), 의료계열(45.8%)도 크게 증가했다. 공학계열도 2586명(3.0%) 늘어 증원이 취업에 민감하게 반응한 것으로 풀이된다.

반면 자연·인문·사회계열은 입학 정원이 큰 폭으로 감소했다. 사회계열은 같은 기간 22.3%(1만 9944명), 인문계열 20.1%(9042명), 자연계열은 7029명(16.1%) 각각 줄었다. 자연계열 중 생활과학 분야 감소 폭이 24.4%로 가장 컸고 생물·화학·환경(19.5%), 수학·물리·천문·지리(12.7%)도 감소했다.

다만, 이공계 내에서는 이런 우려가 과하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의대 정원 확대가 일부 영향은 있겠지만, 이공계 기반을 무너뜨릴 정도는 아니라는 것이다. 이진원 경희대 한국조류연구소 교수는 “논의 과정을 통해 세세한 부분까지 살펴본다면 간극을 좁히지 않을까 생각한다”면서 “오히려 내년 국가 연구·개발(R&D) 예산이 삭감된 것이 더 큰 걱정”이라고 말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