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이 나쁘고 의료 서비스를 이용하기 어려운 ‘건강 배제’ 상태에 있는 사람들 10명 중 3명은 본인이나 가족이 아파도 도움을 구할 곳이 없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10명 중 4명은 우울하거나 스트레스를 받을 때 도움을 받을 곳이 없었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은 지난해 8~10월 만 19~59세 성인 8185명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를 분석해 발표했다. 연구진은 ▲주관적 건강이 나쁘거나 ▲우울척도(CES-D)가 19점 이상이거나 ▲최근 1년 동안 본인이나 가족이 아팠으나 병원에 갈 수 없던 경우 ‘건강 배제’ 상태에 있다고 진단했다. 소득이 낮아 제때 치료를 받지 못해 건강이 위협받기도 하지만, 건강이 나쁘거나 우울감 때문에 일을 구하기 어려운 악순환이 나타날 수 있다.
조사 결과, 세가지 기준을 모두 충족하는 ‘건강 배제’ 집단은 전체 응답자의 4.1%로 나타났다. 31.2% 한가지 기준에, 14.2%는 두가지 기준에 해당했다. 건강한 상태이며 의료 접근권도 보장받고 있는 상태인 응답자(건강 비배제)는 50.5%로 나타났다.
이러한 건강배제 상태인 사람들은 주변의 도움이 필요하지만, 오히려 사회적으로 고립돼 있다. “본인이나 가족이 아플 때 도움을 받을 가족이나 지인이 몇명이냐”는 질문에 가장 취약한 ‘건강 배제’ 집단의 41.0%는 없다고 답했다. 반면 건강한 집단은 11.53%가 도움받을 사람이 없다고 했다. 사람뿐만 아니라 주민센터 같은 공공기관이나 사회복지단체 등 민간기관에도 도움을 구할 수 없다는 건강 취약층도 31.2%에 달했다.
가장 건강이 취약한 응답자의 53.9%는 “우울하거나 스트레스를 받을 때 도움을 받을 수 있는 가족이나 지인이 없다”고 응답했다. 같은 상황에서 도움을 구할 기관이나 사람이 없다는 건강 취약층은 44.4%였다.
이러한 내용을 담은 ‘보건건강배제 집단의 사회자본과 정책적 함의’ 보고서는 ‘보건복지포럼’ 4월호에 게재됐다. 김기태 보건사회연구원 부연구위원은 “건강배제 집단이 체감하는 공적 지원 수준은 여전히 낮다”면서 “공적 복지 전달 체계를 강화하고 이러한 (정책) 내용을 더 폭넓게 알릴 필요가 있다”고 짚었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은 지난해 8~10월 만 19~59세 성인 8185명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를 분석해 발표했다. 연구진은 ▲주관적 건강이 나쁘거나 ▲우울척도(CES-D)가 19점 이상이거나 ▲최근 1년 동안 본인이나 가족이 아팠으나 병원에 갈 수 없던 경우 ‘건강 배제’ 상태에 있다고 진단했다. 소득이 낮아 제때 치료를 받지 못해 건강이 위협받기도 하지만, 건강이 나쁘거나 우울감 때문에 일을 구하기 어려운 악순환이 나타날 수 있다.
조사 결과, 세가지 기준을 모두 충족하는 ‘건강 배제’ 집단은 전체 응답자의 4.1%로 나타났다. 31.2% 한가지 기준에, 14.2%는 두가지 기준에 해당했다. 건강한 상태이며 의료 접근권도 보장받고 있는 상태인 응답자(건강 비배제)는 50.5%로 나타났다.
이러한 건강배제 상태인 사람들은 주변의 도움이 필요하지만, 오히려 사회적으로 고립돼 있다. “본인이나 가족이 아플 때 도움을 받을 가족이나 지인이 몇명이냐”는 질문에 가장 취약한 ‘건강 배제’ 집단의 41.0%는 없다고 답했다. 반면 건강한 집단은 11.53%가 도움받을 사람이 없다고 했다. 사람뿐만 아니라 주민센터 같은 공공기관이나 사회복지단체 등 민간기관에도 도움을 구할 수 없다는 건강 취약층도 31.2%에 달했다.
가장 건강이 취약한 응답자의 53.9%는 “우울하거나 스트레스를 받을 때 도움을 받을 수 있는 가족이나 지인이 없다”고 응답했다. 같은 상황에서 도움을 구할 기관이나 사람이 없다는 건강 취약층은 44.4%였다.
이러한 내용을 담은 ‘보건건강배제 집단의 사회자본과 정책적 함의’ 보고서는 ‘보건복지포럼’ 4월호에 게재됐다. 김기태 보건사회연구원 부연구위원은 “건강배제 집단이 체감하는 공적 지원 수준은 여전히 낮다”면서 “공적 복지 전달 체계를 강화하고 이러한 (정책) 내용을 더 폭넓게 알릴 필요가 있다”고 짚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