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층이동 가능성 있다” 38% 불과
9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보건사회연구 최신호에 실린 ‘청년층의 주관적 계층의식과 계층이동 가능성 영향요인 변화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사회경제적 지위 상승에 대해 희망을 품는 청년은 시간이 갈수록 줄어드는 추세다.
2013년 통계청 사회조사에 응한 30세 미만 청년 가운데 자신의 계층이동 가능성을 긍정적으로 본 청년은 53%였지만 2017년에는 38%로 줄었다. 청년의 주관적인 계층(상상·상하·중상·중하·하상·하하) 의식은 대체로 가구소득이 높고 자가 주택에 거주하고 아버지의 학력이 높고 서울에 살 때 높았다.
여러 요인 가운데 가구소득의 영향력은 최근 크게 높아졌다. 소득이 월 700만원 이상인 가구의 청년층은 100만원 미만 청년층보다 계층의식이 한 단계 높아질 가능성이 2013년에 5.14배였지만 2017년에는 8.22배로 크게 높아졌다.
2013년에는 가구소득과 거주형태가 ‘계층이동을 할 수 있다’는 인식에 별다른 영향을 주지 않았다. 반면 아버지의 직업과 어머니의 학력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됐다. 하지만 2017년에는 부모의 학력, 직업 영향력이 사라진 대신 가구소득이 많고 자가 주택에 거주할 때 계층이동 가능성에 대한 인식이 상승했다.
계층이 한 단계 상승할 가능성에 대한 청년의 인식은 가구소득 100만원 미만인 가구보다 500만∼700만원 가구가 3.15배 높았다. 또 임대주택 거주자보다 자가주택 거주자가 1.27배 높았다.
청년들은 경제활동을 할 때가 그렇지 않을 때보다 계층 상승 가능성이 오히려 20% 낮아진다고 판단했다. 노동시장에 진입하지 않는 것이 오히려 계층이동에 유리하다는 판단이다. 첫 취업 선택이 계층 상승에 도움이 되기는 커녕 오히려 ‘함정’이 될 수 있다는 인식을 드러낸 것이라고 보고서는 설명했다.
보고서는 “부모로부터 물려받은 자원이 사회의 계층을 결정한다는 ‘수저계급론’이 실제 나타나고 있고 계층 고착화가 심화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분석 결과”라고 설명했다. 이어 ”사회 불평등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격차를 축소하는 활동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정현용 기자 junghy77@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