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면 이미지. 123rf.com
자다가 호흡이 일시적으로 멈추는 ‘수면무호흡증’이 있으면 급성심장정지 발생 위험이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54%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0일 질병관리청은 이런 내용이 담긴 정책연구용역 ‘심장정지 발생원인 및 위험 요인 규명 추적조사’ 결과를 배포했다.
수면무호흡증은 수면 중 호흡이 반복적으로 멈추거나 불규칙해지는 상태를 말한다. 증상은 호흡 중단 외에도 코골이, 졸림증, 집중력 저하 등이 있다. 위험 요인으로는 신체 구조적인 것 외에도 성별(남성), 흡연 또는 음주, 비만이나 고혈압 등이 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국내 수면무호흡증 환자는 2018년 4만 5067명에서 지난해 15만 3802명으로 약 3배 늘었다. 남성은 30∼40대, 여성은 50∼60대에서 발생률이 높았다.
수면무호흡증 바로알기 카드뉴스. 질병관리청
연구 결과에 따르면 수면무호흡증이 있는 사람은 없는 사람에 비해 급성심장정지 발생 위험이 54% 높았다. 특히 심혈관질환이 없는 18∼64세의 젊은 연령층에서는 수면무호흡증이 있는 경우 급성심장정지 위험도가 76% 높았다. 역시 심혈관질환이 없는 65∼100세 고령층은 34%로 나타났다.
질병관리청은 수면무호흡증 위험 요인이 있으면서 잠을 잘 자지 못하거나 코를 고는 경우 진료를 받으라고 권고했다. 치료 방법에는 체중을 줄이고 음주와 흡연을 제한하는 행동치료나 수면 중 양압기·구강 장치를 착용하는 기구 요법, 비강 수술 치료 등이 있다.
질병관리청은 “비만이나 흡연, 고혈압 등은 수면무호흡증의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으므로 적절한 건강 관리를 통해 수면무호흡으로 인한 급성심장정지를 예방해야 한다”고 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