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보 ‘비만 기준’ 연구 결과 발표
“BMI 25 이상→27 이상 상향해야”20년 넘은 비만 기준 기준 바뀌면
37%던 비만 인구 19%로 낮아져
비만 이미지. 아이클릭아트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우리나라 비만 기준인 ‘체질량지수(BMI) 25 이상’을 국내 상황에 맞게 ‘BMI 27 이상’으로 올려야 한다는 연구 결과를 11일 발표했다. 현재 기준대로라면 한국인 3명 중 1명꼴(36.7%)로 비만이지만, 기준을 BMI 27로 바꾸면 5명 중 1명꼴(19.1%)로 비만 인구가 줄게 된다. 이번 연구는 빅데이터를 활용해 한국인에게 적합한 기준을 처음 제시한 것으로, 비만 기준 상향 논의의 물꼬가 트일지 주목된다.
우리나라는 2000년 세계보건기구(WHO) 서태평양지역 본부가 설정한 비만 기준 BMI 25를 20년 넘게 써왔다. 서양인과 일부 동양인 자료를 토대로 질병 발생 위험도를 분석해 정한 기준으로, 한국인 맞춤형은 아니었다. BMI는 체중(㎏)을 신장의 제곱(㎡)으로 나눈 값으로, 결코 뚱뚱하다고 할 수 없는 ‘키 175㎝, 체중 77㎏’ 남성이 현재 기준으론 ‘BMI 25’ 경도 비만에 해당한다.
건보공단 연구의 핵심은 BMI 수준별로 사망과 심뇌혈관질환 발생 위험 정도를 분석했을 때 비만 기준을 BMI 25 이상으로 설정할 근거가 불확실하다는 것이다. 2002~2003년 일반건강검진을 받은 성인 847만명을 21년간 추적 관찰한 결과 ‘BMI 25’ 구간에서 오히려 사망 위험이 가장 낮았다. 또 심뇌혈관질환 발생 위험은 BMI 18.5 미만에서 가장 낮고 이후 전반적으로 증가했으며, 고혈압·당뇨병·이상지질혈증은 27구간, 심혈관질환은 29구간, 뇌혈관질환은 31구간에서 이전 구간 대비 질병 발생 위험 증가 폭이 컸다.
오상우 동국대일산병원 교수는 “20년 전 분석에선 사망위험도가 가장 낮은 구간이 BMI 23이었는데 체형과 생활 습관, 질병 양상이 서구와 닮아가면서 BMI 25로 옮겨갔다”며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볼 때 한국인 비만 진단 기준은 BMI 27로 상향 조정하는 게 적절하다”고 밝혔다. 이선미 건강보험연구원 건강관리연구센터장도 “비만 기준이 낮다 보니 비만에 대한 지나친 우려와 이에 따른 사회적 부담도 크다”면서 “중국은 이미 자국 상황에 맞춰 BMI 28 이상을 비만 기준으로 적용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다만 비만은 예방이 중요해 기준 변경에 신중히 접근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온다. 김경곤 대한비만학회 부회장은 “특히 심뇌혈관 질환 발생 위험도는 BMI 23~25에서 위험도가 좀 더 올라가고 이후 계속 오른다”면서 “질환의 위험도를 고려해 비만 기준을 BMI 25 이상으로 유지해왔던 것”이라고 설명했다.
2024-11-12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