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자가 8년 더 건강하게 산다”…‘건강 수명’ 격차 10년 새 벌어졌다

“부자가 8년 더 건강하게 산다”…‘건강 수명’ 격차 10년 새 벌어졌다

조희선 기자
조희선 기자
입력 2024-10-15 16:11
수정 2024-10-15 16:1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노인 자료 이미지. 기사와 직접적인 관련 없음. 픽사베이
노인 자료 이미지. 기사와 직접적인 관련 없음. 픽사베이


신체·정신적으로 아프지 않고 건강하게 살아가는 기간을 의미하는 ‘건강 수명’이 소득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15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김남희 의원실이 보건복지부로부터 제출받은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을 분석한 결과 소득 상위 20%의 건강 수명은 2011년 71.8세에서 2021년 73.4세로 10년간 1.6세 늘었다.

반면 같은 기간 소득 하위 20%의 건강 수명은 64.7세에서 65.2세로 0.5세 증가하는 데 그쳤다. 소득 상위 20%와 하위 20%의 건강 수명 격차가 10년 새 7.1세에서 8.2세로 더 벌어진 것이다.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에서 건강 수명은 평균 수명에서 질병이나 부상으로 활동하지 못한 기간을 뺀 것이다. 단순히 ‘얼마나 오래 살았는가’보다 ‘얼마나 건강하게 사는가’에 초점을 맞추고 산출한다.

건강 수명뿐 아니라 자살 사망률, 치매 관리율, 고혈압 유병률도 소득에 따른 격차가 있었다.

이미지 확대
운동 자료 이미지. 기사와 직접적인 관련 없음. 아이클릭아트
운동 자료 이미지. 기사와 직접적인 관련 없음. 아이클릭아트


여성의 경우 자살 사망률은 2018년 소득 상위 20%와 하위 20%의 차이가 인구 10만명당 8.9명에서 2022년 10명으로 늘었다.

치매는 소득에 따른 치매안심센터 치매 환자 등록·관리율 격차가 2018년 52.2% 포인트에서 지난해 56.5% 포인트로 벌어졌다.

암 발생률도 소득에 따라 격차를 보였다. 남성의 경우 2018년 소득 상위 20%와 하위 20%의 암 발생률 차이가 인구 10만명당 78.3명에서 2021년 79명으로 소폭 증가했다. 여성은 같은 기간 97.3명에서 117.4명으로 격차가 크게 벌어졌다.

남성 고혈압 유병률은 소득에 따른 차이가 2018년 5.4% 포인트에서 2022년 7.7% 포인트로 증가했다.

김 의원은 “기대 수명은 점점 늘어나고 있지만 소득을 이유로 건강 양극화가 심해지고 있다”며 “모두가 존엄하게 살아갈 권리가 있는데 소득, 지역 등을 이유로 국민의 건강까지 불평등해지는 것은 옳지 못하다”고 지적했다.

이어 “지역별 균등한 의료 시스템을 편성하고 보편적인 복지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