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당 정신질환 진료 상위 50개 지역 중 20곳이 농어촌
대도시와 의료 격차에 강원 고성 자살률, 서초구의 3배
인구 대비 정신과 치료를 받은 사람 수가 많은 지역 상위 50곳 중 20곳이 인구 5만명 미만의 농어촌 지역인 것으로 확인됐다. 반면 정신과 진료와 치료를 받을 수 있는 의료기관은 서울 등 대도시에 집중됐다. 그 결과 정신질환 치료 인프라가 부족한 강원 고성의 자살자 수는 10만명당 54.9명으로, 인프라가 충분한 서울 서초구(17.5명)의 세 배가 넘었다. 대한민국이 20년째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자살률 1위를 달리고 있는 이유 중 하나가 정신질환 치료의 지역 양극화인 셈이다.
서울신문이 대한신경정신의학회와 함께 신현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실로부터 확보한 건강보험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기준 인구 1000명당 정신질환 진료인원 수 상위 50곳 중 20곳이 농어촌 지역이었다. 우리나라 대도시와 농어촌 지역의 정신건강 인프라의 양극화가 수치로 드러난 건 이번이 처음이다.
대도시(50만명 이상)에 속한 지역은 21곳이었고 중소도시(5만~50만명 미만)로 분류되는 지역은 9곳이었다. 김일빈 차의과대학 강남차병원 정신의학과 교수는 “대도시 시민들의 정신건강이 더 나쁠 것이라고 생각하는 것이 통념이지만 데이터를 보면 노인 인구가 많은 농어촌 지역 정신건강도 심각하다”고 분석했다.
실제로 도시와 농촌 간 의료 격차로 농촌 지역의 의료시설은 도시에 비해 현저하게 부족했다. 정신건강에 대한 관심이 늘면서 전국의 정신질환 관련 의료기관은 2018년 1838곳에서 올해 9월 기준 2315곳으로 5년 새 477곳(25.95%)이 늘었다. 하지만 늘어난 의료기관의 대부분은 서울(218곳)과 경기(102곳), 부산(38곳), 인천(19곳), 대구(19곳) 등 대도시에 집중됐다.
서울은 인구 10만명당 정신과 진료를 받을 수 있는 의료기관이 6.8곳이었지만 충남은 절반에도 못 미치는 3.0곳에 그쳤다. 특히 강남3구(강남 111곳·서초 58곳·송파 47곳)에는 전국 정신과 의료기관의 9.3%인 216곳이 몰려 있어 정신과 진료 서비스의 양극화를 여실히 보여 줬다.
그러는 사이 농어촌 지역의 자살률은 고공행진을 이어 가고 있다. 지난해 기준 인구 10만명당 자살자 수가 가장 많은 곳은 강원 고성군(54.9명), 2위는 경북 청도군(52.8명)이었다. 전국 평균(25.1명)과 서울(21.3명)의 두 배 이상이다.
정정엽 대한신경정신의학회 이사는 “노인 우울증 등 정신질환을 제때 치료하지 못하면서 나온 결과”라고 말했다. 신 의원은 “대도시와 지방 소도시 간 의료 격차가 정신의료에서도 그대로 나타나고 있다”면서 “사는 곳과 상관없이 보편적으로 이용 가능한 의료체계를 만들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대도시와 의료 격차에 강원 고성 자살률, 서초구의 3배
서울신문이 대한신경정신의학회와 함께 신현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실로부터 확보한 건강보험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기준 인구 1000명당 정신질환 진료인원 수 상위 50곳 중 20곳이 농어촌 지역이었다. 우리나라 대도시와 농어촌 지역의 정신건강 인프라의 양극화가 수치로 드러난 건 이번이 처음이다.
대도시(50만명 이상)에 속한 지역은 21곳이었고 중소도시(5만~50만명 미만)로 분류되는 지역은 9곳이었다. 김일빈 차의과대학 강남차병원 정신의학과 교수는 “대도시 시민들의 정신건강이 더 나쁠 것이라고 생각하는 것이 통념이지만 데이터를 보면 노인 인구가 많은 농어촌 지역 정신건강도 심각하다”고 분석했다.
실제로 도시와 농촌 간 의료 격차로 농촌 지역의 의료시설은 도시에 비해 현저하게 부족했다. 정신건강에 대한 관심이 늘면서 전국의 정신질환 관련 의료기관은 2018년 1838곳에서 올해 9월 기준 2315곳으로 5년 새 477곳(25.95%)이 늘었다. 하지만 늘어난 의료기관의 대부분은 서울(218곳)과 경기(102곳), 부산(38곳), 인천(19곳), 대구(19곳) 등 대도시에 집중됐다.
서울은 인구 10만명당 정신과 진료를 받을 수 있는 의료기관이 6.8곳이었지만 충남은 절반에도 못 미치는 3.0곳에 그쳤다. 특히 강남3구(강남 111곳·서초 58곳·송파 47곳)에는 전국 정신과 의료기관의 9.3%인 216곳이 몰려 있어 정신과 진료 서비스의 양극화를 여실히 보여 줬다.
그러는 사이 농어촌 지역의 자살률은 고공행진을 이어 가고 있다. 지난해 기준 인구 10만명당 자살자 수가 가장 많은 곳은 강원 고성군(54.9명), 2위는 경북 청도군(52.8명)이었다. 전국 평균(25.1명)과 서울(21.3명)의 두 배 이상이다.
정정엽 대한신경정신의학회 이사는 “노인 우울증 등 정신질환을 제때 치료하지 못하면서 나온 결과”라고 말했다. 신 의원은 “대도시와 지방 소도시 간 의료 격차가 정신의료에서도 그대로 나타나고 있다”면서 “사는 곳과 상관없이 보편적으로 이용 가능한 의료체계를 만들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