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차 확대로는 델타 변이 방어 한계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2223명으로 최다를 기록한 11일 경기 성남시청 재난안전상황실 모니터에 확진자 수가 표시되고 있다.
뉴스1
뉴스1
중앙방역대책본부에 따르면 11일 0시 기준 국내 위중증 환자는 하루 전(379명)보다 8명 늘어난 387명으로, 12일 연속 300명을 웃돌고 있다. 지난달 11일 위중증 환자는 145명이었다. 한 달 새 2.6배 증가한 것이다. 이들을 치료할 중환자 병상도 빠르게 소진되고 있다. 전날 기준으로 입원 가능한 전국의 중증환자 전담병상은 301개였다. 일주일 전에는 325개였다. 이대로 위중증 환자가 더 늘면 병원을 전전하다 사망하는 환자가 나올 수 있다. 일각에선 최악의 경우 의료체계 붕괴 가능성까지 거론된다. 제한된 의료인력이 코로나19 환자 치료에만 매달리면 다른 중환자를 볼 수 없어 추가 사망자가 나올 수 있다는 것이다.
전문가들은 지금 1차 접종을 늘리는 데 화력을 집중해 봤자 델타 변이 감염을 막을 수는 없다며 50대 이상 2차 접종이라도 서둘러 완료해 의료체계 과부하를 막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영국 공중보건국(PHE) 연구에 따르면 화이자 1차 접종 후 델타 변이 감염 예방 효과는 35.6%에 불과하다. 2차 접종을 해야 88%의 방어력을 얻을 수 있다.
정기석 한림대 성심병원 호흡기내과 교수는 “예방효과가 높다는 화이자·모더나 백신도 1차 접종만으로는 델타 변이를 방어할 수 없다. 2차 접종을 마쳐야 델타 변이에 감염돼도 중증화를 막을 수 있다”며 “50대 이상이라도 빨리 2차 접종을 완료해야 혼란도 줄이고 병상을 확보할 수 있다”고 말했다. 김우주 고려대 감염내과 교수도 “지금은 중증·사망자를 줄이는 게 중요한 시기인데, 18~49세는 감염돼도 중증·사망으로 갈 가능성이 낮아 백신 접종 대비 효과가 떨어진다”고 지적했다.
현재 인구 대비 1차 접종률은 42.1%이지만 접종 완료율은 15.7%에 불과하다. 특히 고위험군인 60~74세의 2차 접종 완료율이 1%에도 못 미친다. 올해 초 ‘백신 보릿고개’ 상황에서 1차 접종률을 올리기 위해 2차 접종용 백신을 끌어다 썼고, 그 바람에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접종 주기가 8주에서 12주로 늘어 60세 이상은 이제서야 2차 접종을 받고 있다. 50대 또한 모더나 백신 수급 불안으로 1·2차 접종 간격이 6주로 벌어져 델타 변이 위험에 노출된 상황이다. 정부가 ‘9월 1차 접종률 70% 달성’ 목표에 발목 잡혀 탄력적으로 대응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홍정익 코로나19예방접종추진단 접종관리팀장은 “60대 이상 2차 접종은 8월 말까지 완료할 수 있도록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말했다. 다만 그는 “50대 접종 주기 6주 연장은 백신 공급 차질로 인한 불가피한 선택이었음을 양해해 달라”고 밝혀, 현재 접종 주기 단축 계획이 없음을 시사했다.
2021-08-12 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