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스트라제네카(AZ) 백신.
연합뉴스
연합뉴스
●獨연구팀 “세포핵에서 돌연변이 생성”
파이낸셜타임스(FT)는 독일 프랑크푸르트 괴테 유니버시티의 롤프 마살렉 교수팀이 주도한 연구에서 이 같은 결론을 내렸다고 26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아직 동료평가가 이뤄지지 않은 상태인 논문의 초고는 리서치스퀘어 저널을 통해 공개됐다. 연구팀은 백신의 주성분을 체내에 전달하는 역할만 수행해야 할 아데노바이러스가 세포핵까지 침입하면서 혈전이 유발된다고 봤다. 아스트라제네카와 얀센 백신은 기존의 백신들과 같은 방식으로 개발됐는데, 이 때문에 기존 백신에서도 드물게 나타났던 혈전 부작용이 이 회사의 코로나19 백신에서도 나타난다는 것이다. 다만, 부작용 빈도는 낮은 편으로 유럽에서는 1600만명의 접종자 중 최소 142명이 혈전증을 겪은 것으로 집계됐다.
코로나19 유전정보를 ‘메신저 리보핵산’(mRNA)에 담아 전달하는 방식인 화이자·바이오앤테크와 모더나의 백신에선 유전물질이 세포핵으로 들어가지 않고, 세포액까지만 전달된다. 이에 mRNA 방식 백신에선 세포핵에서의 돌연변이성 혈전이 만들어질 가능성이 제한된다는 것이다.
●얀센, 혈전 부작용 개선 논의 시작
마살렉 교수는 아스트라제네카와 얀센 백신의 유전자 서열을 수정, 세포핵과 결합해 돌연변이를 일으킬 가능성을 낮추면 혈전 부작용 문제에서 벗어날 수 있다고 봤다. 얀센은 이미 마살렉 교수팀과 연락해 관련 논의를 진행하기 시작했다고 FT는 보도했다. 연구팀은 또 얀센의 백신을 개선하는 게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의 부작용 문제를 해결하는 것보다 수월할 것으로 보았는데, 접종 진행 결과 얀센 백신으로 인한 부작용 빈도가 낮았기 때문에 내린 결론이다.
홍희경 기자 saloo@seoul.co.kr
2021-05-28 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