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사 박근태씨가 말하는 의료 현장
2008년부터 분당서울대병원서 근무당시엔 ‘힘’ 필요한 중환자실 등에 배치
이젠 성별 따라 업무영역 구분 없어져
분당서울대병원 중환자실에서 근무하는 박근태 간호사가 병실에서 대기하고 있다. 그는 새달부터 코로나19 환자를 간호한다.
박근태 간호사 제공
박근태 간호사 제공
13일 서울신문과 만난 분당서울대병원 박근태(41) 간호사는 “처음 근무할 때만 해도 환자들이 남성 간호사를 낯설어했지만, 지금은 자연스럽게 받아들이고 남성 간호사의 업무 영역도 확장되고 있다”고 말했다.
박 간호사의 첫 일터는 분당서울대병원 중환자실이었다. 2008년 입사해 중환자실에서 신입 교육을 받으며 선배 간호사였던 지금의 배우자를 만나 결혼했다. 당시만 해도 남성 간호사들은 주로 응급실이나 중환자실로 배치받았다. 노동 강도가 세고 물리적인 힘이 필요한 업무가 많았기 때문이다.
박 간호사는 “중환자실은 욕창 예방을 위해 2시간마다 환자의 자세를 바꿔 줘야 하고, 응급실은 예상할 수 없는 많은 요소에 노출된 일터라 남성 간호사 수요가 많다”고 설명했다. 지금은 성별에 따라 업무 영역을 구분 짓지 않는다. 그는 “정맥주사팀, 행정업무팀, 위급상황에 대비한 신속대응팀 등에서도 남성 간호사들이 일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환자가 처한 상황에 따라 남성 간호사를 더 선호하기도 한다. 박 간호사는 “심혈관조영술 등 특정 시술을 할 때는 제모를 해야 해서 남성 환자는 남성 간호사를 훨씬 편안해하고, 군인들도 병원을 많이 찾는데 내가 형이나 삼촌뻘이어서 더 세심하게 조언을 해줄 수 있다”고 말했다.
환자들이 남성 간호사를 더는 ‘특별한 존재’로 여기지 않기까지는 많은 시간이 걸렸다. 박 간호사가 처음 업무를 시작할 때만 해도 병원에 남성 간호사는 10~15명뿐이었다. 남성 탈의실을 갖추지 못한 병원도 많아 간호사들이 화장실에서 근무복을 갈아입기도 했다. 지금은 남성 간호사 수가 10배가량 늘었지만 남성 수간호사는 드물다. 수간호사가 되려면 평균 22년을 근무해야 하는데 오래 일한 남성 간호사가 드물기 때문이다. 혹독한 3교대 근무에 여성이든 남성이든 현장을 떠나는 간호사들이 많다고 한다.
박 간호사는 “배우자도 간호사이다 보니 초반에 육아가 너무 힘들었고, 쉬는 시간대가 겹치지 않아 한 달에 보름은 서로 얼굴을 못 보기도 했다”고 말했다. 그는 간호사를 준비하는 남학생들에게 “스스로 남녀를 구분 지어 생각하지 말고 조직 속에 최대한 녹아들어 적응해야 살아남을 수 있다”며 “간호사로서 이렇게 하겠다는 각오가 있어야 흔들리지 않고 버틸 수 있다”고 조언했다. 박 간호사는 중환자실을 떠나 다음달 1일부터 국가지정격리병상에서 코로나19 환자를 간호한다.
이현정 기자 hjlee@seoul.co.kr
2021-05-14 2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