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자가검사키트 Q&A
오세훈 서울시장이 자가검사키트를 활용해 노래연습장 등 출입을 허용하는 시범사업을 진행하겠다고 밝히면서 자가검사키트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하지만 용어가 자가검사키트, 자가진단키트, 신속진단키트 등으로 다양하고 정확한 개념이 정립되지 않아 혼란도 야기되는 상황이다. 13일 보건복지부와 질병관리청, 식품의약품안전처 등 방역 당국과 전문가의 설명을 종합해 궁금증을 짚어 봤다.A. 딱 정해진 용어는 없다. 다만 방역 당국은 자가진단키트나 신속진단키트보다는 자가검사키트라는 표현을 권고하고 있다. 유전자증폭(PCR) 검사처럼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내릴 목적으로 의사의 판단행위인 ‘진단’을 하는 게 아니기 때문이다. 당국은 개인이 자가검사를 통해 양성이 나오더라도 정확도가 낮다는 점을 고려해 PCR검사를 다시 받아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Q. 자가검사키트가 기존에 알려진 신속항원검사와 동일한 개념인가. PCR검사와의 차이는.
A. 자가검사키트의 가장 큰 특징은 피검자가 스스로 검체를 채취하는 것이다. 검체 채취를 하러 가는 과정을 생략해 보다 쉽게 검사를 할 수 있도록 했다. 검체를 채취한 다음의 검사법은 항원검사나 PCR검사가 있는데 검사 직후 판단을 해야 되기 때문에 기계를 사용하는 PCR검사보다는 검사 결과가 30분이면 도출되는 항원검사가 신속검사에 보편적으로 쓰이고 있다. 따라서 자가검사키트와 신속항원검사는 반드시 일치하는 개념은 아니나, 보통 자가검사키트에는 신속항원검사가 많이 채용되고 있다.
Q. 민감도, 특이도의 뜻은 뭔가. 정확도와 다른 용어인가.
A. 민감도는 검사자 가운데 양성을 얼마나 잘 찾아내는지 정도를 나타낸다. 감염자 100명을 검사했을 때 50명을 찾아내면 민감도는 50이다. 특이도는 민감도와 약간 반대되는 개념으로 음성 환자를 음성으로 잘 판정할 수 있는지를 측정한다. 검사자 100명 중 실제 감염자는 50명인데 80명을 감염으로 판단했다면 특이도가 낮다고 볼 수 있다. 즉 검사의 민감도가 낮다면 감염자를 놓치게 되고, 특이도가 낮으면 코로나19 환자가 아닌 사람이 입원하는 상황에 놓이게 된다. 민감도와 특이도를 종합한 개념이 정확도다. 신속항원검사가 PCR검사보다 민감도와 정확도가 많이 낮기 때문에 자가검사도 당연히 낮을 수밖에 없다.
Q. 자가검사키트를 반복적으로 사용하면 정확도가 올라가나.
A. 일정한 한계가 있다. 다만 반복적인 검사를 통해 바이러스 배출이 왕성할 때 검사를 하게 되면 조금 더 정확성을 높일 수는 있다. 하지만 두 번 활용한다고 정확도가 두 배로 올라간다는 뜻은 아니다.
이범수 기자 bulse46@seoul.co.kr
2021-04-14 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