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Z 조건부 재개… 불신 극복 어떻게
국내 희귀 혈전 발생빈도 100만명당 1명국내 사례 유럽의약품청 ‘혈전’ 해당 안 돼
얀센 혈전 생성 논란도… 해외서 4건 보고
전문가 “안전성 우려 11월 집단면역 부담”
정기석 전 질병관리본부장은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에 대한 신뢰도가 떨어져 접종률에도 영향이 있을 것”이라며 “다른 백신 수급을 확실히 해줘야 하는데, 그걸 못하니 갑갑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안전성 우려로 접종 참여율이 내려가면 집단면역에도 부담이 된다.
정부가 30세 미만을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접종 대상에서 제외한 것은 특히 이 연령대에서만 희귀 혈전증이 발생해서가 아니다. 세계 각국 사례를 봤을 때 희귀 혈전증은 60세 미만 여성에게서 주로 발생한다. 즉 30세 이상도 희귀 혈전증의 안전지대가 아니다. 그럼에도 정부가 30세 이상에 대해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접종을 허용한 것은 코로나19에 감염돼 중증으로 악화하거나 사망할 위험이 희귀 혈전 발생으로 인한 위험보다 크기 때문이다. 국내 희귀 혈전 발생 빈도는 100만명당 1명으로 매우 드물다는 점도 고려했다.
코로나19 예방접종대응추진단(추진단)은 향후 3개월간 매일 1200명의 확진자가 나오거나 6개월간 매일 600명의 확진자가 나오는 상황을 가정하고, 전체 인구가 백신 접종을 받았을 경우 예방할 수 있는 코로나19 환자 사망 건수와 혈전으로 인한 사망 건수를 연령별로 추정했다. 그 결과 20~29세는 백신 접종 시 코로나19 환자 2.8명의 사망을 예방할 수 있지만 접종 후 희귀 혈전으로 오히려 4명이 사망할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30~39세는 백신 접종으로 6.9명의 코로나19 환자 사망을 막을 수 있는 반면, 혈전 발생으로 인한 사망은 이보다 적은 4명으로 예측됐다. 정재훈 가천의대 예방의학과 교수는 “백신 접종에 따른 사망 예방과 희귀 혈전으로 인한 사망을 비교했을 때 백신 접종 이득이 50세 이상은 (위험의) 10배 이상이었고, 80세 이상은 690배에 달했다”고 설명했다.
유럽의약품청(EMA)이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접종 후 생길 수 있다고 밝힌 혈전증은 혈소판 감소와 일부 출혈을 동반한 뇌정맥동혈전증과 내장정맥혈전증이다. 국내에서는 백신 접종 후 3건의 혈전증 사례가 보고됐는데, 이 중 2건은 백신과 무관하고 20대 1명이 뇌정맥동혈전증 진단을 받았다. 하지만 혈소판 감소를 동반하지 않았기 때문에 유럽의약품청이 내린 희귀 혈전증 정의에는 해당하지 않는다고 추진단은 밝혔다. 추진단은 “희귀 혈전증이 접종 후 4주 이내 발생할 수 있어 중대하거나 특이한 이상반응 발생 감시를 강화하고, 조기 발견·치료 감시체계를 구축하겠다”고 밝혔다. 정은경 질병관리청장은 “희귀 혈전증은 굉장히 드물지만 조기에 발견해 치료하면 완치될 수 있는 질병”이라고 강조했다.
하지만 아스트라제네카 혈전 논란을 넘기더라도 얀센(존슨앤드존슨) 백신 혈전 생성 논란이 기다리고 있다. 유럽의약품청은 지난 9일 얀센 백신이 혈전을 일으킬 가능성에 대해 조사하고 있다고 밝혔다. 해외에서 얀센 백신 접종 후 희귀 혈전 발생 사례가 현재 4건 보고됐다. 정 전 본부장은 “혈전증이 보고된 아스트라제네카와 얀센 백신은 모두 아데노바이러스벡터 기반 백신”이라며 “이 계통 백신이 문제라면 러시아 ‘스푸트니크V’ 백신도 도입 전 면밀히 검토해야 한다. 각 백신의 신뢰도를 높이는 것이 관건”이라고 말했다.
이현정 기자 hjlee@seoul.co.kr
2021-04-12 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