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적우수자가 먼저 시험 치르게 한 뒤
문제 정보 ‘족보’처럼 후발대에 알려줘
시험장 지각생에게도 응시 기회 부여
공공의대 반대 명분 공정성 문제 퇴색
의사고시 예정대로 진행
의대생들이 의사 국가고시 시험 응시를 거부하면서 2021년도 제85회 의사 국가고시 실기시험 응시율이 14%에 그쳤지만 정부는 예정대로 8일부터 시험을 시행한다고 밝혔다. 의사 국가고시를 하루 앞둔 7일 서울 광진구 한국보건의료인국가시험원 모습.
오장환 기자 5zzang@seoul.co.kr
오장환 기자 5zzang@seoul.co.kr
5일 더불어민주당 강병원 의원실과 한국보건의료인국가시험원(국시원), 국시 관련 전문가 등에 따르면 대학이 성적 우수 응시자를 ‘선발대’로 보내 먼저 의사 국시 실기시험을 치르게 하고, 시험 문제를 복원해 후발대에게 알려주는 일이 반복되고 있다. 심지어 시험장에 늦게 도착한 응시자에게 실기시험 기회를 부여한 특혜도 있었다.
‘시험 선발대’가 가능한 것은 다른 국가 시험과 달리 대학이 응시자의 시험 날짜를 정하는데 관여할 수 있는 의사 국시 실기시험의 독특한 방식 때문이다. 하루 만에 치르는 필기시험과 달리 의사 국시 실기시험은 하루 최대 108명씩 35일간 진행된다. 국시원이 강 의원실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대학은 국시원이 제시한 날짜별 응시 인원수에 맞춰 소속 학생 응시자 중 누가 어떤 날 시험을 치를지 결정한다. 이를 악용한 사례가 바로 ‘시험 선발대’다. 주로 공부 잘하는 학생을 선발대로 보낸다. 실기시험이 진행되는 동안 문항은 매일 바뀌지만, 총 86개의 문항 중 12개 문항을 무작위로 조합해 출제하기 때문에 선발대의 정보가 ‘족보’처럼 활용될 수 있다.
심지어 국시원도 ‘선발대’의 존재를 인정한다. 국시원 관계자는 “선발대 문제는 우리도 심각하게 보고 있다”면서 “응시자에게 시험 문항 등에 관한 비밀유지 서약서를 받는 등 문제 해소 노력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다만 이 관계자는 “실기시험은 단순히 암기해 푸는 게 아니라 ‘표준화 환자’(환자 대역)를 상대로 진료 상황을 재연하는 식으로 이뤄지고, 채점하는 교수마다 가산점을 주는 기준이 달라 선발대가 시험 문항을 알려준들 점수에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고 해명했다.
그러나 의사 국시에 관여해온 전문가들의 견해는 다르다. 익명을 요구한 한 전문가는 “가령 ‘내가 본 표준화 환자는 이런 질병을 가진 어떤 형태의 환자더라’ 같은 정보를 미리 확보한 응시자와 그렇지 못한 응시자는 결코 같은 조건이라고 할 수 없다”고 말했다. 그는 “학생들이 비밀 보장 서약을 하더라도, 누가 문항을 후발대에게 제공했는지 알 수 없기 때문에 사실상 처벌이 어렵다”고 지적했다.
일부에선 무작위로 날짜를 지정해 시험을 치르게 하거나, 대학별로 시험 볼 순번을 정하게 하자는 주장도 나온다. 실기시험 한 번 만으로는 실력을 제대로 검증할 수 없는 만큼, 의대 교육에 1년간 집중 실습과정을 둬야 한다는 지적도 있다. 2018년 의사 국시 실기시험에서 지각 응시생에게 기회를 준 사례도 공정성에 어긋난다는 지적이 나온다. 당시 이 사례에 관여했던 관계자는 “지방에서 온 학생이었는데, 택시 기사가 20분이면 올 거리를 1시간 30분을 돌아왔다. 그 바람에 입장 완료 시간을 5분 넘겨 도착했고, 해당 학생에게 책임을 묻기 어려워 응시 기회를 준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현정 기자 hjlee@seoul.co.kr
2020-10-06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