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서 외손자 통해 감염 추정 91세 사망 “집단감염 대응체계 갖춰야 생활방역으로”

서울서 외손자 통해 감염 추정 91세 사망 “집단감염 대응체계 갖춰야 생활방역으로”

강국진 기자
강국진 기자
입력 2020-04-08 18:04
수정 2020-04-09 02:0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전문가들이 본 사회적 거리두기

코로나19 신규 확진환자가 사흘 연속 50명 안팎을 유지하면서 고강도 ‘사회적 거리두기’를 언제까지 이어 갈지가 관심사로 떠올랐다. 전문가들 사이에서도 언제라도 상황이 악화될 수 있는 만큼 경계를 늦출 수 없다는 의견과 언제까지나 고강도 거리두기를 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는 의견이 엇갈린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8일 0시 기준 신규 확진환자가 53명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6일과 7일 각각 47명에 이어 하향세다. 이 같은 추세는 자연스럽게 사회적 거리두기에 대한 공방으로 이어진다. 이재갑 한림대 감염내과 교수는 “정부가 기왕에 ‘신규 환자 50명’을 얘기한 마당에 고강도 사회적 거리두기를 언제까지 추가로 연장하기도 쉽지는 않을 것”이라고 예상하면서도 “위험 요소가 없어진 게 아닌데 사회적 거리두기를 완화해도 괜찮은지 모르겠다. 솔직히 불안불안하다”고 말했다. 이 교수는 “싱가포르 사례에서 보듯 섣불리 사회적 거리두기를 완화했다가 상황이 다시 악화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면서 “정부에서도 사회적 거리두기를 훼손하지 않으면서도 재택근무 활성화와 소상공인 지원, 종교집회 자제 등을 유도할 수 있는 보완책을 논의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밝혔다.

탁상우 서울대 보건환경연구소 박사는 “지금보다 강도는 약하더라도 사회적 거리두기가 자발적으로 이뤄지고, 정부 차원에서는 집단감염을 사전에 예방하고 신속하게 발견해 즉각 대응할 수 있는 감시체계를 제대로 갖춘다면 ‘생활방역’으로 넘어가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고 본다”고 말했다. 탁 박사는 “생활방역으로 넘어간다고 해서 자발적으로 이뤄지는 사회적 거리두기를 그만두는 건 아니다”라면서 “정부와 국민이 점진적으로 사회적 거리두기 강도를 줄이는 방식으로 가는 게 좋다”고 밝혔다.

현장 인력의 피로 누적을 완화하고 병원 내 감염을 막기 위한 보완책에 좀더 초점을 맞춰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임승관 경기도의료원 안성병원장은 “의료기관과 장기요양시설에서 집단감염이 발생하지 않도록 관리하는 데 역량을 더 집중해야 한다”고 말했다. 임 원장은 “중증환자 치료 병상을 더 확보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이날 자가격리 중이던 외손자(26)로부터 감염된 것으로 추정되는 노모(91·남)씨가 숨졌다고 서울시가 밝혔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브리핑에서 이 환자가 구로구 콜센터에서 일하다 접촉자로 분류돼 자가격리 중이던 외손자를 통해 감염된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외손자는 노씨가 확진된 뒤 실시한 재검사에서 양성 판정을 받았다. 재확진 사례도 늘고 있다. 권준욱 중앙방역대책본부 부본부장은 이날 브리핑에서 “격리해제 뒤 재확진된 사례는 8일 0시 기준 65건으로 파악하고 있다”며 “재확진 사례는 대구·경북에 많았다”고 말했다.

강국진 기자 betulo@seoul.co.kr
2020-04-09 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출산'은 곧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가
모델 문가비가 배우 정우성의 혼외자를 낳은 사실이 알려지면서 사회에 많은 충격을 안겼는데요. 이 두 사람은 앞으로도 결혼계획이 없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출산’은 바로 ‘결혼’으로 이어져야한다는 공식에 대한 갑론을박도 온라인상에서 이어지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출산’은 곧 ‘결혼’이며 가정이 구성되어야 한다.
‘출산’이 꼭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