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리대 방출물질 검출 시험을 했던 김만구 강원대 환경융합학부 교수가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생리대 시험 결과 발표에 대해 ‘대국민 사기’라고 비난했다.
김 교수는 지난 27일 연합뉴스를 통해 “식약처의 시험방법을 검토해봤더니 엉터리였다”며 이와 같이 말했다.
김 교수는 “‘생리대를 사용해도 건강에 문제가 없다’는 식품의약품안전처(식약처)가 수행한 생리대 시험 결과 발표는 19년 전 컵라면의 환경호르몬 검출시험에 이은 제2의 대국민 사기 시험”이라고 주장했다.
김 교수는 전처리, 시료량, 방출시험 온도, 결과 공개 등 식약처가 진행한 시험 전반에 관한 내용을 자신이 한 시험과 비교하며 식약처의 시험방법을 지적했다.
그는 이달 17일 식약처 국정감사에서도 이 같은 내용을 일부 설명한 바 있다.
지난달 28일 식약처는 생리대에 들어있는 휘발성유기화합물(VOCs) 10종의 인체 위해성을 살펴본 조사에서 ‘안전성에 문제없다’는 결론을 발표했다.
VOCs의 피부 흡수율을 100%로 가정하고, 하루에 7.5개씩 한 달에 7일간 평생 사용하더라도 인체 유해하지 않다고 했다.
시험 과정을 보면 식약처는 생리대를 상온에서 잘게 자른 뒤 초저온으로 동결 분쇄한 후 소량을 고온으로 가열, 생리대에서 뿜어져 나오는 VOCs를 측정했다.
우선 생리대를 가로·세로 약 0.5㎝ 크기로 잘랐는데 김 교수는 생리대를 상온에서 자르는 것만으로도 VOCs가 없어진다고 지적했다.
VOCs는 끓는 점이 낮은 유기화합물로 쉽게 휘발하는 성질이 있어 상온에서 자르면 일부가 날아간다는 것이다.
식약처는 자른 생리대를 냉동분쇄기에 넣어 분쇄한 후 실온에서 30∼40분 동안 방치했다.
냉동분쇄와 관련해 지난 17일 식약처 국정감사에서 식약처 관계자는 “생리대의 VOCs가 날아가지 않도록 꽁꽁 얼렸다”고 말했으나 김 교수는 “새빨간 거짓말이며 위증이다”고 강도 높게 비판했다.
생리대를 얼려서 잘게 부수는 전처리과정은 농약 등 준 휘발성 유기화합물(SVOCs)을 추출하는 전처리과정이지 VOCs의 전처리과정으로는 있을 수 없는 일이라는 것이다.
이후 식약처는 분쇄한 시료 0.5g을 20㎖ 유리 바이알(약병)에 넣었고 바이알을 120도로 가열해 생리대에서 바이알 공간으로 뿜어져 나온 기체상태의 유해 물질 20㎖ 중 1㎖를 분석기에 넣었다.
김 교수는 생리대 1개가 약 5g인 점을 고려하면 10분의 1개의 생리대를 바이알에 부수어 넣은 것이며, 바이알의 20㎖ 헤드스페이스(바이알 공간으로 나온 유해물질) 중 20분의 1인 1㎖만 분석기에 넣은 것은 결과적으로 생리대 200분의 1에 해당하는 매우 소량을 분석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결국, 극소량만으로 분석했기 때문에 VOCs가 불검출된 것인데 이러한 엉터리 결과를 근거로 ‘유해하지 않다’라는 결론을 내린 것은 도저히 이해할 수 없다는 주장이다.
이와 달리 김 교수는 자신은 생리대 8개를 20ℓ짜리 통(챔버)에 넣고 이 중 기체상태의 유해 물질 3.9ℓ를 농축해서 분석기에 넣어 실험했다고 밝혔다.
이는 생리대 1.5개를 분석기에 넣은 것으로 식약처 시험방법과 비교하면 식약처가 자신보다 300배나 적은 양의 생리대로 시험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나는 생리대를 자르지도, 냉동 분쇄하지도 않았으며 생리대를 실제 사용하는 것과 유사하게 포장만 벗겨서 시험했다”고 부연했다.
김 교수는 또 “식약처에서 시료를 120도로 가열해 가혹 조건으로 시험했다고 하는데 이는 VOCs를 분석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끓는 온도가 높은 SVOCs를 분석대상으로 하는 방법이다”고 지적했다.
그는 “극소량의 시료량으로 불검출 결과를 내는 것은 식약처의 전신인 식약청이 19년 전 컵라면에서 환경호르몬이 불검출되었다고 발표한 후 번복한 사건의 상황과 판박이다”라고 비판했다.
김 교수는 “이렇게 시료량을 줄여 불검출 결과를 내는 ‘눈속임 시험’을 하는 것은 식약처뿐만 아니라 지금까지 논란이 됐던 각종 오염물질에 관한 사건을 대처하는 정부 부처의 적폐였다”고 일갈했다.
그는 “분석과학자들은 유해 물질의 검출 여부를 확인하고 공인시험 방법을 만든다. 독성학자들은 이를 이용해 유해성을 판단하는 시험을 한다”라며 “분석과학을 기반으로 유해성 평가를 해야 하는데 엉터리 자료로 어떻게 유해성을 정확히 판단할 수 있겠느냐”고 반문했다.
김 교수는 또 “현대사회에서 화학물질 노출은 피할 수 없으므로 국민도 유해 물질 검출과 평가 단계를 정확히 이해해야 한다”고 강조하며 “식약처는 분석 유해성이 확인되기 전까지는 사전 예방적으로 화학물질 노출을 줄여나가는 방법을 고민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식약처도 즉각 반격했다.
식약처는 이날 공식 반박자료를 내고 생리대 분석방법이 전문가의 철저한 검증을 거쳐 마련됐다고 밝혔다.
특히 시험 과정에서 생리대의 VOCs가 사라질 수 있다는 김 교수의 지적과 관련, 전혀 손실되지 않도록 했다고 설명했다.
식약처는 “시험 결과 김 교수의 시험보다 최소 8배에서 최대 2000배 이상 VOCs가 검출됐다”며 “전처리과정과 분석방법에 대한 정확성, 정밀성 등을 검증해 결과의 신뢰성과 객관성을 확보했다”고 강조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식약처의 생리대 위해성 평가시험 지적하는 김만구 교수
생리대 방출물질 검출시험을 했던 김만구 강원대 환경융합학부 교수가 지난 27일 식약처의 생리대 휘발성유기화합물(VOCs) 위해성 평가 시험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있다. 2017.10.28 연합뉴스
김 교수는 “‘생리대를 사용해도 건강에 문제가 없다’는 식품의약품안전처(식약처)가 수행한 생리대 시험 결과 발표는 19년 전 컵라면의 환경호르몬 검출시험에 이은 제2의 대국민 사기 시험”이라고 주장했다.
김 교수는 전처리, 시료량, 방출시험 온도, 결과 공개 등 식약처가 진행한 시험 전반에 관한 내용을 자신이 한 시험과 비교하며 식약처의 시험방법을 지적했다.
그는 이달 17일 식약처 국정감사에서도 이 같은 내용을 일부 설명한 바 있다.
지난달 28일 식약처는 생리대에 들어있는 휘발성유기화합물(VOCs) 10종의 인체 위해성을 살펴본 조사에서 ‘안전성에 문제없다’는 결론을 발표했다.
VOCs의 피부 흡수율을 100%로 가정하고, 하루에 7.5개씩 한 달에 7일간 평생 사용하더라도 인체 유해하지 않다고 했다.
시험 과정을 보면 식약처는 생리대를 상온에서 잘게 자른 뒤 초저온으로 동결 분쇄한 후 소량을 고온으로 가열, 생리대에서 뿜어져 나오는 VOCs를 측정했다.
우선 생리대를 가로·세로 약 0.5㎝ 크기로 잘랐는데 김 교수는 생리대를 상온에서 자르는 것만으로도 VOCs가 없어진다고 지적했다.
VOCs는 끓는 점이 낮은 유기화합물로 쉽게 휘발하는 성질이 있어 상온에서 자르면 일부가 날아간다는 것이다.
식약처는 자른 생리대를 냉동분쇄기에 넣어 분쇄한 후 실온에서 30∼40분 동안 방치했다.
냉동분쇄와 관련해 지난 17일 식약처 국정감사에서 식약처 관계자는 “생리대의 VOCs가 날아가지 않도록 꽁꽁 얼렸다”고 말했으나 김 교수는 “새빨간 거짓말이며 위증이다”고 강도 높게 비판했다.
생리대를 얼려서 잘게 부수는 전처리과정은 농약 등 준 휘발성 유기화합물(SVOCs)을 추출하는 전처리과정이지 VOCs의 전처리과정으로는 있을 수 없는 일이라는 것이다.
이후 식약처는 분쇄한 시료 0.5g을 20㎖ 유리 바이알(약병)에 넣었고 바이알을 120도로 가열해 생리대에서 바이알 공간으로 뿜어져 나온 기체상태의 유해 물질 20㎖ 중 1㎖를 분석기에 넣었다.
김 교수는 생리대 1개가 약 5g인 점을 고려하면 10분의 1개의 생리대를 바이알에 부수어 넣은 것이며, 바이알의 20㎖ 헤드스페이스(바이알 공간으로 나온 유해물질) 중 20분의 1인 1㎖만 분석기에 넣은 것은 결과적으로 생리대 200분의 1에 해당하는 매우 소량을 분석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결국, 극소량만으로 분석했기 때문에 VOCs가 불검출된 것인데 이러한 엉터리 결과를 근거로 ‘유해하지 않다’라는 결론을 내린 것은 도저히 이해할 수 없다는 주장이다.
이와 달리 김 교수는 자신은 생리대 8개를 20ℓ짜리 통(챔버)에 넣고 이 중 기체상태의 유해 물질 3.9ℓ를 농축해서 분석기에 넣어 실험했다고 밝혔다.
이는 생리대 1.5개를 분석기에 넣은 것으로 식약처 시험방법과 비교하면 식약처가 자신보다 300배나 적은 양의 생리대로 시험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나는 생리대를 자르지도, 냉동 분쇄하지도 않았으며 생리대를 실제 사용하는 것과 유사하게 포장만 벗겨서 시험했다”고 부연했다.
김 교수는 또 “식약처에서 시료를 120도로 가열해 가혹 조건으로 시험했다고 하는데 이는 VOCs를 분석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끓는 온도가 높은 SVOCs를 분석대상으로 하는 방법이다”고 지적했다.
그는 “극소량의 시료량으로 불검출 결과를 내는 것은 식약처의 전신인 식약청이 19년 전 컵라면에서 환경호르몬이 불검출되었다고 발표한 후 번복한 사건의 상황과 판박이다”라고 비판했다.
김 교수는 “이렇게 시료량을 줄여 불검출 결과를 내는 ‘눈속임 시험’을 하는 것은 식약처뿐만 아니라 지금까지 논란이 됐던 각종 오염물질에 관한 사건을 대처하는 정부 부처의 적폐였다”고 일갈했다.
그는 “분석과학자들은 유해 물질의 검출 여부를 확인하고 공인시험 방법을 만든다. 독성학자들은 이를 이용해 유해성을 판단하는 시험을 한다”라며 “분석과학을 기반으로 유해성 평가를 해야 하는데 엉터리 자료로 어떻게 유해성을 정확히 판단할 수 있겠느냐”고 반문했다.
김 교수는 또 “현대사회에서 화학물질 노출은 피할 수 없으므로 국민도 유해 물질 검출과 평가 단계를 정확히 이해해야 한다”고 강조하며 “식약처는 분석 유해성이 확인되기 전까지는 사전 예방적으로 화학물질 노출을 줄여나가는 방법을 고민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식약처도 즉각 반격했다.
식약처는 이날 공식 반박자료를 내고 생리대 분석방법이 전문가의 철저한 검증을 거쳐 마련됐다고 밝혔다.
특히 시험 과정에서 생리대의 VOCs가 사라질 수 있다는 김 교수의 지적과 관련, 전혀 손실되지 않도록 했다고 설명했다.
식약처는 “시험 결과 김 교수의 시험보다 최소 8배에서 최대 2000배 이상 VOCs가 검출됐다”며 “전처리과정과 분석방법에 대한 정확성, 정밀성 등을 검증해 결과의 신뢰성과 객관성을 확보했다”고 강조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