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제주, 국제 논술시험 한국어화 추진
특권학교 전락 우려… 공교육 개혁 초점을
대한민국 교육은 ‘대입’으로 시작해 ‘대입’으로 끝난다 해도 과언이 아닐 만큼 거의 모든 관심이 대입에 집중돼 있다. 이 때문에 과거 적지 않은 교육 혁신 시도들도 번번이 ‘대입제도’의 벽에 막히곤 했다. 대구·제주교육청이 2021학년도부터 도입하겠다고 발표한 ‘국제 바칼로레아’(IB) 역시 이 벽을 넘어야 한다. 우리나라 교육 혁신을 위한 시도라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지만 또 다른 입시 창구가 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를 동시에 받고 있기 때문이다.
IB는 국제인증 교육 과정으로 토론 위주 수업을 바탕으로 한 논·서술형 평가가 특징이다. 두 교육청은 영어로 이뤄지는 IB를 한국어화를 거쳐 운영할 계획이다. 강은희 대구교육감은 “IB를 통해 정해진 정답 찾기 교육에서 탈피, 생각을 꺼내는 수업을 구현하고 창의력과 비판적 사고력을 갖춘 창의융합형 인재를 양성하겠다”고 밝혔다. IB 도입의 목적이 현 교육 과정의 혁신에 있다는 점을 강조한 것이다. 그러나 기자회견에서의 관심은 다른 곳에 쏠렸다. 한글화 IB를 이수한 학생들은 일반 교육 과정을 받은 아이들과 대입 과정에서 어떤 차이가 있는지였다. 두 교육청도 한글화 IB로 서울대·연세대·고려대 등 국내 주요 대학뿐 아니라 하버드나 옥스퍼드 같은 미국과 영국의 대학에도 지원할 수 있다고 설명하며 이에 호응했다. 미래의 수험생을 자녀로 두고 있는 학부모들이라면 귀가 솔깃할 내용이다.
실제로 이미 국내에서 IB를 운영하고 있는 학교는 국제고나 외국어고 등 대입에서 우수한 성적을 거두는 학교들이다. 이번 교육청 발표에서는 IB를 한글화한다는 내용 외에는 이들 ‘입시 명문고’에서 운영하는 IB와 차이점을 찾기 어려웠다. 전국교직원노동조합(전교조) 제주·대구지부는 “IB 운영학교가 더 좋은 대학에 보내기 위한 소수의 특권 학교가 될 가능성이 있다”고 비판하며 IB 도입을 반대했다. 대구와 제주교육청은 2021년 각각 3곳, 1곳의 고교에서 IB를 운영한다는 목표다. IB 도입이 대입에 매몰되면 미래형 인재 육성을 위한 교육 개혁의 취지는 사라질 가능성이 높다.
이 같은 우려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IB 도입 외에 별도의 노력이 반드시 함께 이뤄져야 한다. IB 학교에 가기 위한 사교육 확대를 철저히 감시하고, IB 학교에 가고 싶지만 환경이 어려워 못 가는 학생이 생기지 않도록 제도적 배려를 해야 한다. IB 학교의 성과가 공교육 개혁으로 이어질 수 있는 다양한 방안을 따로 마련해야 함은 물론이다.
maeno@seoul.co.kr
특권학교 전락 우려… 공교육 개혁 초점을
대한민국 교육은 ‘대입’으로 시작해 ‘대입’으로 끝난다 해도 과언이 아닐 만큼 거의 모든 관심이 대입에 집중돼 있다. 이 때문에 과거 적지 않은 교육 혁신 시도들도 번번이 ‘대입제도’의 벽에 막히곤 했다. 대구·제주교육청이 2021학년도부터 도입하겠다고 발표한 ‘국제 바칼로레아’(IB) 역시 이 벽을 넘어야 한다. 우리나라 교육 혁신을 위한 시도라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지만 또 다른 입시 창구가 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를 동시에 받고 있기 때문이다.
IB는 국제인증 교육 과정으로 토론 위주 수업을 바탕으로 한 논·서술형 평가가 특징이다. 두 교육청은 영어로 이뤄지는 IB를 한국어화를 거쳐 운영할 계획이다. 강은희 대구교육감은 “IB를 통해 정해진 정답 찾기 교육에서 탈피, 생각을 꺼내는 수업을 구현하고 창의력과 비판적 사고력을 갖춘 창의융합형 인재를 양성하겠다”고 밝혔다. IB 도입의 목적이 현 교육 과정의 혁신에 있다는 점을 강조한 것이다. 그러나 기자회견에서의 관심은 다른 곳에 쏠렸다. 한글화 IB를 이수한 학생들은 일반 교육 과정을 받은 아이들과 대입 과정에서 어떤 차이가 있는지였다. 두 교육청도 한글화 IB로 서울대·연세대·고려대 등 국내 주요 대학뿐 아니라 하버드나 옥스퍼드 같은 미국과 영국의 대학에도 지원할 수 있다고 설명하며 이에 호응했다. 미래의 수험생을 자녀로 두고 있는 학부모들이라면 귀가 솔깃할 내용이다.
실제로 이미 국내에서 IB를 운영하고 있는 학교는 국제고나 외국어고 등 대입에서 우수한 성적을 거두는 학교들이다. 이번 교육청 발표에서는 IB를 한글화한다는 내용 외에는 이들 ‘입시 명문고’에서 운영하는 IB와 차이점을 찾기 어려웠다. 전국교직원노동조합(전교조) 제주·대구지부는 “IB 운영학교가 더 좋은 대학에 보내기 위한 소수의 특권 학교가 될 가능성이 있다”고 비판하며 IB 도입을 반대했다. 대구와 제주교육청은 2021년 각각 3곳, 1곳의 고교에서 IB를 운영한다는 목표다. IB 도입이 대입에 매몰되면 미래형 인재 육성을 위한 교육 개혁의 취지는 사라질 가능성이 높다.
이 같은 우려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IB 도입 외에 별도의 노력이 반드시 함께 이뤄져야 한다. IB 학교에 가기 위한 사교육 확대를 철저히 감시하고, IB 학교에 가고 싶지만 환경이 어려워 못 가는 학생이 생기지 않도록 제도적 배려를 해야 한다. IB 학교의 성과가 공교육 개혁으로 이어질 수 있는 다양한 방안을 따로 마련해야 함은 물론이다.
maeno@seoul.co.kr
2019-04-24 2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