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집에 들어가고자 대기하는 기간이 평균 106일에 이르는 가운데 직원 자녀만 입소하도록 하는 공공기관 및 공기업 직장 어린이집은 정원의 80%만 수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8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장정숙 민주평화당 의원이 보건복지부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 8월 말 기준 전국 공공기관 및 공기업 직장 어린이집 549곳 중 정원을 모두 채운 곳은 36곳(6%)에 불과했다. 전체 직장 어린이집에 수용할 수 있는 정원은 4만 3671명이었으나 실제 현원은 3만 4946명으로 80%에 그쳤다.
수용률이 가장 적은 곳은 대구로 20곳의 정원은 1441명이었으나 현원은 1002명으로 수용률이 70%에 불과했다. 정원이 8234명에 이르는 서울도 실제 어린이집에 다니는 아동은 6401명으로 수용률이 78%에 그쳤다. 수용률이 가장 높은 세종은 정원 2285명에 현원 2093명으로 92%의 수용률을 보였다.
직장 어린이집은 인원이 미달된 채 운영되고 있지만 일반 어린이집은 평균 3달 이상 기다려야만 입소할 수 있었다. 장 의원이 사회보장정보원 어린이집 입소대기 시스템을 분석한 결과 입소대기를 신청한 아동의 평균 대기일수는 106일이었으며 가장 긴 서울은 7달(221일) 이상 기다려야 했다. 대기일수가 가장 짧은 전북도 두 달(60일)이나 기다려야 어린이집에 입소할 수 있었다.
부모들이 선호하는 국·공립 어린이집의 평균 대기일수는 176일로 전체 어린이집보다 훨씬 길었다. 가장 긴 서울은 310일로 10개월 이상 기다려야 했으며, 뒤이은 경기(235일)나 세종(226일)도 7개월 이상 대기해야 입소할 수 있었다.
장 의원은 “국가의 지원을 받는 공공기관이 정원 여유가 있음에도 내부 규정을 이유로 지역 보육수요를 외면하고 있다”면서 “공공기관 및 공기업 어린이집의 지역사회 개방 의무를 명문화하는 ‘영유아보육법’ 개정안을 마련해 법령상 미비를 해결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민나리 기자 mnin1082@seoul.co.kr
전국 공공기관 직장어린이집 지자체별 정·현원 현황
장정숙 의원실
수용률이 가장 적은 곳은 대구로 20곳의 정원은 1441명이었으나 현원은 1002명으로 수용률이 70%에 불과했다. 정원이 8234명에 이르는 서울도 실제 어린이집에 다니는 아동은 6401명으로 수용률이 78%에 그쳤다. 수용률이 가장 높은 세종은 정원 2285명에 현원 2093명으로 92%의 수용률을 보였다.
전국 어린이집 입소 대기 평균 대기일수 및 국공립 어린이집 평균 대기일수
장정숙 의원실
부모들이 선호하는 국·공립 어린이집의 평균 대기일수는 176일로 전체 어린이집보다 훨씬 길었다. 가장 긴 서울은 310일로 10개월 이상 기다려야 했으며, 뒤이은 경기(235일)나 세종(226일)도 7개월 이상 대기해야 입소할 수 있었다.
장 의원은 “국가의 지원을 받는 공공기관이 정원 여유가 있음에도 내부 규정을 이유로 지역 보육수요를 외면하고 있다”면서 “공공기관 및 공기업 어린이집의 지역사회 개방 의무를 명문화하는 ‘영유아보육법’ 개정안을 마련해 법령상 미비를 해결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민나리 기자 mnin1082@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