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3진혼극 ‘이카이노 삼춘의 깃발’ 앙코르 공연
재일동포 3세 시나리오·연출·주연 도맡아 열연
김기강 “절망하는 이들에게 희망을 주고 싶어”
재일동포3세 김기강 극단 돌 대표가 23일 1인극 ‘이카이노 삼춘의 깃발’ 4·3진혼극 앙코르 공연을 마치고 서울신문과 인터뷰를 진행하고 있다. 제주 강동삼 기자
23일 제주시 설문대여성문화센터 무대에 올린 4·3진혼극 ‘이카이노 삼춘의 깃발’의 한 장면. 제주 강동삼 기자
“얼마나 무서웠을까, 얼마나 억울했을까, 얼마나 아팠을까, 얼마나…. 잘못한 것도 어신디(없는데). 할망을 살려내라, 어멍을 살려내라, 아방을 살려내라, 제주도를 살려내라.”
한국인도, 제주인도 제대로 담아내기 힘든 제주4·3 이야기 4·3진혼극 ‘이카이노 삼춘의 깃발’이 재일교포 3세의 1인극으로 탄생돼 23일 설문대여성문화센터 무대에 올려지고 있었다.
울음조차 삼켜야 했고 말하는 것도 소리내 하소연도 못했던 세월, 어쩔 수 없이 고향을 떠나야 했지만 타국에서 씩씩하게 살았던 이카이노 제주 ‘삼춘(삼촌의 제주어)’의 이야기가 시작됐다. 특히 4·3 학살이 있던 그날, 제주인들이 총칼에 맞아 죽어가자 마치 어제의 악몽처럼 눈앞에서 재현되자 객석은 훌쩍거리기 시작했고 소리없는 눈물이 흐르기 시작했다. 비장하도록 한을 토해내는 절규에 관객들은 모두 울컥한 때문이다.
시나리오는 물론 연출, 주연까지 도맡아 열연한 재일교포 김기강(51) 극단 돌 대표는 연극이 끝난 후 서울신문과의 인터뷰에서 “20, 30대부터 4·3에 대해 언젠가 쓰고 싶다는 열망이 있었다”며 “제주 4·3 진상 규명작품을 주로 공연해온 제주도 놀이패 ‘한라산’ 선배들의 작품을 보면서 공부했고 작품을 함께 하며 몸에 배였다”고 말했다. 그는 “아주 어릴 때부터 모은 4·3 자료를 바탕으로 시나리오를 오랜시간쓰며 준비한 작품”이라며 “일본 오사카, 도쿄에서 공연한 뒤 이렇게 제주 무대에도 올리게 됐다”고 설명했다. 그는 극단 돌을 사랑하는 일본 팬들 중 지식인들 중심으로 연극을 보고 난 뒤 4·3을 배우는 열기가 일기도 했다고 귀띔했다.
4·3진혼극 ‘이카이노 삼춘의 깃발’ 연극이 끝난 후 배우, 스태프, 관계자들이 모여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제주 강동삼 기자
할아버지 할머니가 성산읍 삼달리 출신이라는 김 대표는 “슬픈 역사를 슬프게만 만들지 말자고 생각했고 힘있고 신나는 작품으로 승화하고 싶었다”고 전했다. ‘살암시민 살아지주(살아가다보면 살아진다)’라는 대사처럼 삶은 계속돼야 하는 것이다. 이런 연출자의 의도가 시작부터 잘 표현됐다. 주먹밥을 직접 만들어 온 할머니가 객석에 있는 관객들에게 나눠주며 소통했고 객석에서 종이배로 만든 밀항선을 타고 현해탄을 건너는 여정으로 연극이 시작됐다.
“저에겐 꿈이 없었어요. 스무살 때 연극을 만나면서 꿈이 생겼죠. 우리말도 못했는데 연극을 하면서, 하고 싶은 것들이 생기면서 용기를 얻게 됐어요”라고 말하는 김대표. 그는 “연극을 통해 아이들이 꿈을 꾸었으면 좋겠고 절망하는 이들에게 희망을 전하고 싶다”고 전했다.
고2때부터 김기강으로 살겠다고 선언하며 일본 이름을 포기한 김 대표는 한국인이라는 사실을 잊지 않고 살고 있다. 그가 연극을 통해 마지막에 내뱉는 독백처럼 “우리가 진짜 가고 싶은 곳은 남도 아니고 북도 아니고 통일된 제주도”라는 메시지가 묵직한 울림으로 다가온다. 그리고 무엇보다 경계인인 재일제주인 3세가 4·3이야기로 감동 무대를 선사한 점에선 제주도민들에겐 자성의 순간이고 성찰의 시간이 됐다.
김종민 제주4·3평화재단 이사장은 “재일제주인의 역사는 100년을 넘고 있다. 1930년대 중반 제주인구의 4분의 1인 5만여명이 일본에 거주할 정도였고 대다수가 오사카 이카이노에 거주했다”면서 “차별과 냉대 속에서도 희망을 잃지 않으려는 재일제주인의 삶을 조금이나마 이해하는 계기가 된 것 같다”고 전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