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로 다른 분류체계로 이송 과정에서 혼선
복지부, 오는 10월 일부 지역 시행 후 확대
응급환자의 신속하고 정확한 응급실 이송을 위해 119 구급대와 의료기관의 환자 중증도 분류체계가 일원화된다. 서울신문
4일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중앙응급의료정책추진단 제4차 회의에서 응급실 이송체계 개선과 과밀화 해소 등을 포함한 응급실 미수용 개선대책을 논의했다. 응급환자가 적정 의료기관으로 신속하게 이송될 수 있게 119 구급대의 중증도 분류체계를 병원 단계와 일치시키는 병원 전(前) 중증도 분류기준을 하반기 도입키로 했다.
현재 119는 4단계(사망 제외) 중증도 분류체계를 사용하는 반면 병원에서는 5단계 한국형 응급환자 분류도구(KTAS)를 적용해 이송 과정에서 일부 혼선이 빚어졌다. 분류기준을 표준화해 환자 이송의 정확성을 높인다는 계획이다.
구급대원 대상 교육을 진행하고 오는 10월 일부 지역에서 새 분류체계를 도입 시행 후 전국으로 확대키로 했다.
정부는 지난달 구성된 전국 17개 지역응급의료협의체를 통해 지역별로 응급실 수용곤란 고지 관리 기준과 맞춤형 이송지침을 수립할 수 있게 지원할 예정이다. 현재 시설·인력 중심인 응급의료기관 지정기준을 책임진료기능 중심으로 개편한다.
경증환자로 응급실이 넘쳐나는 것을 막기 위해 응급실 이용이 필요한지, 필요하다면 어떤 기관으로 가야 할지를 국민이 스스로 판단할 수 있게 돕는 ‘셀프 트리아지’(자가 중증도 분류) 앱도 개발할 계획이다.
구급대원에 대한 응급처치 지도와 이송 병원 안내 등의 업무를 하는 119 구급상황관리센터의 기능을 강화하는 방안도 이날 회의에서 논의됐다. 박민수 복지부 제2차관은 “응급의료는 국민 생명과 직결된 필수의료 분야로 응급환자가 적시에 적정 응급실을 찾지 못하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