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대학병원 2곳 전공의 지원 ‘0’명
소아과 인프라 유지 등 지자체 지원필요
충남의 대학병원 2곳 모두 소아·청소년과 전공의 모집에 올해 응시자가 한 명도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 지역 대학병원은 소아청소년과 전공의 부족으로 진료 공백과 경영 문제 등 의료 붕괴가 우려돼 지방자치단체의 지원 등 대책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3일 단국대병원과 순천향대천안병원에 따르면 소아청소년과 전공의(레지던트)의 정원은 각각 8명이다. 하지만 현재 전공의는 단국대병원이 3명, 순천향대천안병원 4명으로 정원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고 있다.
충남지역의 상급병원이기도 한 양 대학병원은 올해 소아·청소년과 전공의 모집에 응시자가 한 명도 없었다. 내년부터 전문의 취득을 위해 4년 차 전공의 3명(단국대병원 2명, 순천향대천안병원 1명)이 빠져나가면 사실상 1~2명의 전공의만 남는다.
2025년부터는 소아청소년과 수련 과정이 3년제로 바뀌면서 전공의 3년 차와 4년 차가 같이 대학병원을 떠나 인력난은 더욱 심각해진다.
이처럼 소아청소년과 전공의 확보가 어려운 이유는 갈수록 줄어드는 출산율과 저수가 문제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분석된다.
병원에서 근무할 소아청소년과 의사가 전국적으로 감소하면서 수도권 외 지역에서 소아청소년과 전문의·전공의 구인난은 더욱 심각하다.
이에 따라 경북도와 구미시, 울산시, 강원도 등 일부 지자체는 정부 지원과 별도로 지역 소아청소년 진료 인프라 유지 등을 위해 연 3~15억 원까지 소아청소년 진료 의료기관을 대상으로 지원하고 있다.
반면, 단국대병원과 순천향대천안병원은 지자체 지원마저 받지 못하고 있다.
한 병원 관계자는 “소아과를 선택해도 수도권으로 이동해 지방 대학병원은 더욱 전공의를 확보하기 어려운 상황”이라며 “전국적으로 소아응급센터 반납과 폐과가 잇따르고 있다. 지역에서 소아응급센터 기능의 지속을 위해서는 지자체의 지원이 절실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김선태 충남도의회 의원은 “도민들이 최소한 충남은 벗어나지 않고 충남에서 진료받을 수 있어야 한다. 소아 의료공백을 막기 위해 지자체 차원에서 고민이 필요한 시점”이라며 “지자체가 수익이 없는 시내버스에도 지원하는 것처럼 대책 마련이 요구된다”고 말했다.
소아과 인프라 유지 등 지자체 지원필요
3일 단국대병원과 순천향대천안병원에 따르면 소아청소년과 전공의(레지던트)의 정원은 각각 8명이다. 하지만 현재 전공의는 단국대병원이 3명, 순천향대천안병원 4명으로 정원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고 있다.
충남지역의 상급병원이기도 한 양 대학병원은 올해 소아·청소년과 전공의 모집에 응시자가 한 명도 없었다. 내년부터 전문의 취득을 위해 4년 차 전공의 3명(단국대병원 2명, 순천향대천안병원 1명)이 빠져나가면 사실상 1~2명의 전공의만 남는다.
2025년부터는 소아청소년과 수련 과정이 3년제로 바뀌면서 전공의 3년 차와 4년 차가 같이 대학병원을 떠나 인력난은 더욱 심각해진다.
병원에서 근무할 소아청소년과 의사가 전국적으로 감소하면서 수도권 외 지역에서 소아청소년과 전문의·전공의 구인난은 더욱 심각하다.
이에 따라 경북도와 구미시, 울산시, 강원도 등 일부 지자체는 정부 지원과 별도로 지역 소아청소년 진료 인프라 유지 등을 위해 연 3~15억 원까지 소아청소년 진료 의료기관을 대상으로 지원하고 있다.
반면, 단국대병원과 순천향대천안병원은 지자체 지원마저 받지 못하고 있다.
한 병원 관계자는 “소아과를 선택해도 수도권으로 이동해 지방 대학병원은 더욱 전공의를 확보하기 어려운 상황”이라며 “전국적으로 소아응급센터 반납과 폐과가 잇따르고 있다. 지역에서 소아응급센터 기능의 지속을 위해서는 지자체의 지원이 절실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김선태 충남도의회 의원은 “도민들이 최소한 충남은 벗어나지 않고 충남에서 진료받을 수 있어야 한다. 소아 의료공백을 막기 위해 지자체 차원에서 고민이 필요한 시점”이라며 “지자체가 수익이 없는 시내버스에도 지원하는 것처럼 대책 마련이 요구된다”고 말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