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폐인 부모가 본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법 분야에는 천재적이지만 자폐 스펙트럼 장애를 가진 변호사가 주인공인 드라마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가 화제가 되면서 현실 속 자폐인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자폐인 자녀가 있는 부모들은 자폐인을 주인공으로 한 드라마에 긍정적 반응을 보이면서도 현실과의 괴리를 토로했다.
자폐장애를 가진 아들(9)을 둔 강정아(43)씨는 29일 “드라마 우영우는 장애를 엉뚱하고 귀엽고 사랑스럽게 표현했는데 저희 아이도 그렇다”면서 “드라마가 화제가 되니 주변 사람들이 제 입장을 물어보면서 대화의 물꼬를 트는 계기가 돼 반가웠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사람들이 자폐 장애를 자주 접하고 알게 되면 공동체 일원이라는 생각을 하게 될 것”이라며 드라마가 인식 전환의 계기를 마련했다고 평가했다.
자폐장애 딸(10)이 있는 박모(42)씨도 “자폐 증상을 단순 묘사하고 재현하는데 집중하지 않은 점이 이전의 드라마와 다르다”면서 “자폐장애인이 직업적 능력을 갖춘 변호사인데도 자폐를 가지고 있어 불편하다는 시선을 드러낸 것이 좋다”고 말했다.
드라마는 자폐 스펙트럼을 갖고 있으면서도 천재성을 지닌 우영우의 특별함에만 초점을 맞추지만은 않는다. 3화에는 ‘펭수’를 좋아하는 스물 한 살의 중증 자폐인 정훈을 통해 상당수 자폐인이 겪는 어려움을 고스란히 전한다.
박씨는 “변호사들이 펭수 노래를 부르자 정훈이 ‘요들레이’ 부분만 따라하는 장면이 있는데 우리 아이와 많이 닮았다고 생각했다”면서 “자신이 모르는 부분은 엄마에게 불러달라 하고 아는 부분만 따라하는데 이건 자폐인들도 마음을 열고 소통하겠다는 의지를 보이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강씨는 “정훈이 형의 자살 시도를 말리고 가족 누구보다 형을 챙기는 부분이 와 닿았다”면서 “저희 아이도 5살 비장애인 동생이 엘리베이터를 탈 때 문을 손을 잡아주기도 한다”고 말했다.
부모들은 지능지수(IQ) 168에 혼자 사회생활을 거뜬히 해내는 ‘우영우’보다는 누군가의 도움 없이는 집 밖에 나오지 못하는 경계성 지적 장애인이나 자폐장애가 현실에는 더 많다고 했다. 박씨는 “실제로는 스무 살이 넘어서도 사회생활을 하지 못하고 주간보호센터에 있거나 집 밖으로 나오지 못하는 자폐장애인들이 대부분일 것”이라고 말했다.
부모들은 우리 사회에서 ‘우영우’보다 우영우의 주변 인물을 찾아보는 게 더 어렵다고 입을 모았다. 이것이 우리 사회에 던지는 메시지는 적지 않다.
우영우의 상사인 정명석 변호사는 처음에는 자폐를 가진 우영우를 자신의 밑에 둘 수 없다며 대표를 찾아가 항의했지만 나중에는 우영우가 자신이 깨닫지 못한 부분을 짚어내는 등 일을 잘 해내자 자신의 실수를 인정하고 사과한다. 우영우의 로스쿨 동기이자 수습 변호사인 최수연 역시 조용히 그를 돕는다.
하지만 실제로는 이들처럼 자폐인을 돕기보다 불편한 존재로 바라보는 사람이 더 많기 때문이다. 박씨는 “티셔츠를 사려고 아이에게 대보거나 하면 ‘안 사셨으면 좋겠다’는 말을 들었고 일반 음식점에선 ‘손님들이 불편해 하니 나가 달라’는 요청을 받은 적도 있다”고 털어놓았다.
강씨는 “우영우보다 주변 인물(정명석·최수연)을 통해서 장애인을 대하는 태도를 배울 수 있을 것 같다”고 말했다.
ENA 채널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 방송화면 캡처
자폐장애 딸(10)이 있는 박모(42)씨도 “자폐 증상을 단순 묘사하고 재현하는데 집중하지 않은 점이 이전의 드라마와 다르다”면서 “자폐장애인이 직업적 능력을 갖춘 변호사인데도 자폐를 가지고 있어 불편하다는 시선을 드러낸 것이 좋다”고 말했다.
드라마는 자폐 스펙트럼을 갖고 있으면서도 천재성을 지닌 우영우의 특별함에만 초점을 맞추지만은 않는다. 3화에는 ‘펭수’를 좋아하는 스물 한 살의 중증 자폐인 정훈을 통해 상당수 자폐인이 겪는 어려움을 고스란히 전한다.
ENA 채널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 방송화면 캡처
강씨는 “정훈이 형의 자살 시도를 말리고 가족 누구보다 형을 챙기는 부분이 와 닿았다”면서 “저희 아이도 5살 비장애인 동생이 엘리베이터를 탈 때 문을 손을 잡아주기도 한다”고 말했다.
부모들은 지능지수(IQ) 168에 혼자 사회생활을 거뜬히 해내는 ‘우영우’보다는 누군가의 도움 없이는 집 밖에 나오지 못하는 경계성 지적 장애인이나 자폐장애가 현실에는 더 많다고 했다. 박씨는 “실제로는 스무 살이 넘어서도 사회생활을 하지 못하고 주간보호센터에 있거나 집 밖으로 나오지 못하는 자폐장애인들이 대부분일 것”이라고 말했다.
부모들은 우리 사회에서 ‘우영우’보다 우영우의 주변 인물을 찾아보는 게 더 어렵다고 입을 모았다. 이것이 우리 사회에 던지는 메시지는 적지 않다.
ENA 수목드라마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 강기영
담담하면서도 진솔한 영우의 진심에 눈물을 보이는 수연. ENA 채널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 방송화면 캡처
강씨는 “우영우보다 주변 인물(정명석·최수연)을 통해서 장애인을 대하는 태도를 배울 수 있을 것 같다”고 말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