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기기증 유가족·이식인 위한 사진전 열려
서로 일상 사진 나누며 위로·소통 나눠
“일상 사진 보니 기증 결정한 보람 느껴”
차가운 시선 여전···떳떳한 분위기 돼야
장기기증 유가족과 장기 이식인이 카메라 앞에 섰다. 코로나19로 모임을 가지기 어려웠던 유가족과 이식인은 서로의 사진을 통해 생명을 넘어 ‘일상’을 나누고 있다는 공감과 위로의 시간을 보냈다.
사랑의장기기증운동본부는 11일 서울 종로구 인사동에서 뇌사 장기기증인 유가족을 위한 특별 사진전인 ‘장미하다’를 열었다. 유가족과 이식인이 사진을 매개로 소통 기회를 얻은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사진전 개막식에는 유가족 22명과 이식인 7명이 참석해 ‘순수한 사랑’을 뜻하는 장미꽃을 서로에게 전달하고 감사의 편지를 낭독했다.
사진전에는 참석한 이식인들은 일상 사진과 손편지를 통해 ‘일상을 선물해줘 감사하다‘고 전했다. 그중에는 지난 2016년 간 이식을 받은 김리원(7)양도 포함됐다. 담도 폐쇄증에 걸렸다가 간을 이식받고 건강을 되찾은 김양은 스케치북에 삐뚤삐뚤한 글씨로 “천사님 고맙습니다”는 글을 쓴 뒤 사진을 찍었다. 어머니 이승아(35)씨는 “생명의 은인에게 보답하는 마음으로 건강을 소중히 챙기며 지내겠다”고 말했다.
전남 함평에서 올라온 김왕석(66)씨는 지난해 폐섬유화증으로 투병하다가 뇌사자의 폐를 이식받았다. 현재 660㎡(약 200평)규모의 밭에 농사를 지을 정도로 건강이 회복된 김씨는 사진전에 참가한 이유에 대해 “죽을 고비를 3번씩 넘기며 희망이 없었는데 장기 기증인 덕분에 목숨을 건졌다”며 “농부로 제2의 인생을 사는 기쁨을 장기 기증 유가족에게 알려 제게는 기증인이 영웅이라는 사실을 전하고 싶었다”고 말했다.
장기 기증 유가족들은 건강을 회복한 이식인의 모습에 위로를 받았다. 2018년 5월 36세였던 아들을 잃고 장기 기증을 선택한 이이식(69)·추금옥(66) 부부는 “아들의 뜻을 이어 장기 기증을 택했지만 ‘왜 장기기증으로 아들을 두 번 죽이냐’, ‘장기 기증하고 돈을 받았냐’ 등의 차가운 외부 시선 때문에 그동안은 떳떳하지 못했다”며 “이식인이 건강하게 지내는 사진을 보니 아들이 저 세상에서 보람있게 지내고 있겠구나 싶어 다행”이라고 눈시울을 붉혔다.
2002년 셋째아들을 사고로 잃고 장기 기증을 선택한 박상렬(75)씨는 “의사인 친척조차 장기 기증을 말려서 기증을 결정하기까지 많이 망설였다”며 “오늘 이식인들을 보며 제 아들도 7명의 사람에게 행복한 일상을 선물했다고 생각하니 아직 함께 세상을 살고 있다고 느낀다”고 말했다.
2019년 5902건이었던 장기이식 건수는 코로나19로 2020년 5865건, 지난해 5820건 등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김소정 사랑의장기기증운동본부 홍보국장은 “장기 기증 유가족이 어디서든 장기 기증 사실을 떳떳해할 수 있는 사회 분위기를 만들기 위해 사진전을 기획했다”며 “미국의 경우 유가족과 이식인의 편지나 만남 등이 활성화돼 있지만 우리는 법적으로 비밀유지 조항이 있어 유가족이 장기 기증을 자랑스러워 할 수 있는 기회가 많아져야 한다”고 말했다.
서로 일상 사진 나누며 위로·소통 나눠
“일상 사진 보니 기증 결정한 보람 느껴”
차가운 시선 여전···떳떳한 분위기 돼야
장기 기증 유가족인 박상렬(75)씨가 11일 오전 서울 종로구 인사동에서 열린 장기 기증 유가족을 위한 특별 전시회 ‘장미하다’전에서 유가족과 장기 이식인의 사진을 관람하고 있다. 박씨가 들고 있는 장미의 꽃말은 ‘순수한 사랑’으로 이식인들이 감사의 의미로 전달했다.
사랑의장기기증운동본부는 11일 서울 종로구 인사동에서 뇌사 장기기증인 유가족을 위한 특별 사진전인 ‘장미하다’를 열었다. 유가족과 이식인이 사진을 매개로 소통 기회를 얻은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사진전 개막식에는 유가족 22명과 이식인 7명이 참석해 ‘순수한 사랑’을 뜻하는 장미꽃을 서로에게 전달하고 감사의 편지를 낭독했다.
사진전에는 참석한 이식인들은 일상 사진과 손편지를 통해 ‘일상을 선물해줘 감사하다‘고 전했다. 그중에는 지난 2016년 간 이식을 받은 김리원(7)양도 포함됐다. 담도 폐쇄증에 걸렸다가 간을 이식받고 건강을 되찾은 김양은 스케치북에 삐뚤삐뚤한 글씨로 “천사님 고맙습니다”는 글을 쓴 뒤 사진을 찍었다. 어머니 이승아(35)씨는 “생명의 은인에게 보답하는 마음으로 건강을 소중히 챙기며 지내겠다”고 말했다.
전남 함평에서 올라온 김왕석(66)씨는 지난해 폐섬유화증으로 투병하다가 뇌사자의 폐를 이식받았다. 현재 660㎡(약 200평)규모의 밭에 농사를 지을 정도로 건강이 회복된 김씨는 사진전에 참가한 이유에 대해 “죽을 고비를 3번씩 넘기며 희망이 없었는데 장기 기증인 덕분에 목숨을 건졌다”며 “농부로 제2의 인생을 사는 기쁨을 장기 기증 유가족에게 알려 제게는 기증인이 영웅이라는 사실을 전하고 싶었다”고 말했다.
장기 기증 유가족들은 건강을 회복한 이식인의 모습에 위로를 받았다. 2018년 5월 36세였던 아들을 잃고 장기 기증을 선택한 이이식(69)·추금옥(66) 부부는 “아들의 뜻을 이어 장기 기증을 택했지만 ‘왜 장기기증으로 아들을 두 번 죽이냐’, ‘장기 기증하고 돈을 받았냐’ 등의 차가운 외부 시선 때문에 그동안은 떳떳하지 못했다”며 “이식인이 건강하게 지내는 사진을 보니 아들이 저 세상에서 보람있게 지내고 있겠구나 싶어 다행”이라고 눈시울을 붉혔다.
2002년 셋째아들을 사고로 잃고 장기 기증을 선택한 박상렬(75)씨는 “의사인 친척조차 장기 기증을 말려서 기증을 결정하기까지 많이 망설였다”며 “오늘 이식인들을 보며 제 아들도 7명의 사람에게 행복한 일상을 선물했다고 생각하니 아직 함께 세상을 살고 있다고 느낀다”고 말했다.
2019년 5902건이었던 장기이식 건수는 코로나19로 2020년 5865건, 지난해 5820건 등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김소정 사랑의장기기증운동본부 홍보국장은 “장기 기증 유가족이 어디서든 장기 기증 사실을 떳떳해할 수 있는 사회 분위기를 만들기 위해 사진전을 기획했다”며 “미국의 경우 유가족과 이식인의 편지나 만남 등이 활성화돼 있지만 우리는 법적으로 비밀유지 조항이 있어 유가족이 장기 기증을 자랑스러워 할 수 있는 기회가 많아져야 한다”고 말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