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연계도 긴급 방역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 여파가 공연계에도 이어지고 있다. 사진은 긴급 방역 작업 중인 세종문화회관. 세종문화회관 제공
7일 질병관리본부와 의료계 등에 따르면 국내 20번 신종코로나 확진자 A(41·한국인)씨는 군산의 8번 환자(62·여)처럼 1차 검진에서 음성판정을 받고 나서 자가격리된 뒤 2차에서 양성 판정을 받은 것으로 확인됐다.
또 이날 확진판정을 받은 24번 환자(28·남)는 지난달 31일 전세기로 귀국해 아산 경찰인재개발원에서 생활해온 우한 교민으로, 귀국 후 교민 전체를 대상으로 한 전수 검사에서 음성이었으나 다시 검사해 양성 판정을 받았다.
방역당국이 시행 중인 신종코로나 진단 검사는 최근 ‘실시간 유전자 검출검사(PCR)’ 방식으로 바뀌었다.
기존 ‘판코로나바이러스검사’가 보건소 또는 병원에서 채취한 환자의 침이나 가래를 질병관리본부로 보내 DNA를 증폭하고, 이 DNA를 다른 코로나바이러스와 대조해 감염 여부를 판정하기까지 하루(24시간) 이상의 긴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조치다.
새 검사법(실시간 PCR검사)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에만 존재하는 바이러스 특이 유전자 2개를 실시간으로 증폭한 뒤 검출해 감염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별도의 DNA 증폭과 대조가 필요 없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을 확인할 수 있어 진단 시간이 약 6시간 정도로 줄어든 게 가장 큰 장점이다.
20번째 확진자는 두 번 모두 새 검사법으로 검사했다. 반면 18번째 환자는 1차 판코로나바이러스검사에서 음성을 받은 뒤 며칠 후 새 검사법으로 2차 검사를 했다.
이에 대해 질병관리본부는 1차 검사가 대부분 확진자의 접촉자 중심으로 이뤄지기 때문에 초기에는 바이러스 배출량이 적어 음성이 나올 수 있다고 해명했다.
질병관리본부 관계자는 “접촉자 대상 검사를 처음 시행하는 단계에서는 바이러스에 감염됐다고 하더라도 대부분이 잠복기 상태이기 때문에 음성으로 나올 수 있다”면서 “이런 점 때문에 증상이 없어지지 않으면 며칠 후 2차 검사를 시행한다”고 말했다.
정은경 중앙방역대책본부장도 지난 6일 브리핑에서 “(20번째 확진자는) 접촉자로 분류되는 시점에 검사한 것이기 때문에 음성이 나올 것을 예측하고 검사했다”고 설명한 바 있다.
전문가들은 판코로나바이러스검사뿐만 아니라 새 검사법에서도 초기 진단에 오류가 확인됨에 따라 1차 검사에서 음성이 나왔더라도 의심 증상이 있는 환자는 스스로 자기격리를 철저히 유지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권고했다.
김우주 고대구로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바이러스가 들어온 초기에는 증상이 없어 소위 2∼14일에 해당하는 잠복기에는 검사해도 음성이 나올 확률이 높다”면서 “새 검사법의 민감도가 높다고는 해도 바이러스 1마리까지 다 검출하기는 쉽지 않은 만큼 앞으로도 이런 사례가 나올 수 있다”고 말했다.
의료계 일각에서는 이런 문제 때문에 진단 시 CT(컴퓨터단층활영) 검사를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온다.
실제 중국 중난(中南)병원에서는 “진단키트를 이용한 기존 검사는 시간이 오래 걸리고 잘못 판정하는 경우가 있다”면서 CT 검사를 신종코로나 폐렴의 진단수단으로 쓰자고 제안하기도 했다. 다만, CT 검사는 폐렴 유무로만 감염을 진단하기 때문에 폐렴의 원인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로 단정할 수 없다는 게 단점으로 꼽힌다.
이범수 기자 bulse46@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