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산구 사회적 기업 ‘더 좋은 세상’ 뿌리내려
“참 어려운 세월이었습니다. 많은 일들이 우리를 덮쳤습니다. 남편이 10년 전부터 뇌졸중에 치매까지 겹쳐 고생했지요. 애들 아버지가 경기도 일산의 한 요양원에서 그나마 편하게 지낼 수 있게 된 것도 얼마 지나지 않았습니다.”19일 용산구 원효로4가 강변북로 인근에 자리한 사회적 기업 ‘더 좋은 세상’의 작업장에서 직원들이 바삐 손길을 놀리고 있다.
더 좋은 세상은 원효로4가 원효대교 진입로 아래에 자리했다. 3054㎡(1000여평) 넓이다. 하루 종이상자 6t과 페트병 3t 등 30~33t을 처리한다. 특히 전국에서 처음으로 ‘자치단체-기업-복지단체’가 함께하는 사회적 기업이다. 주민들 일자리를 만들었다는 데서 나아가 적잖은 예산을 절감하는 효과도 톡톡히 보고 있다.
예전엔 폐기물을 처리하는 데 연간 6억~7억원을 들였다. 돈을 들여가며 경기도 김포까지 왕복 80여㎞를 오가야만 했다. 돈이 될 만한 재활용품 처리에도 거꾸로 돈을 내야만 했다. 또 민간 처리업체에 맡기다 보니 조금씩이나마 비용은 늘어나기만 했다. 큰 부담이 아닐 수 없었다. 그러나 이젠 대형 생활폐기물 처리로 연간 4억 4700여만원, 재활용품 선별·판매로 4억 1800만원을 벌어들이게 됐다. 도리어 연간 10억원에 이르는 이익을 내는 것이다. 인건비와 11t짜리 운반용 차량 7대 등을 운영하는 관리비를 빼고 관내 사회적 약자층의 복지를 위해 돌려준다. 정부로부터 모범 사례로 뽑혀 오는 29일 청와대 고용정책협의회에서 발표할 기회도 얻었다.
1층 선별장에서 일하던 김주식(67·원효2동)씨는 폐기물 더미를 보며 활짝 웃었다. “10년간 구멍가게를 하다가 어려워지는 바람에 크게 낙담했어요. 일할 사람을 찾는다기에 응시했는데 돈보다 기운이 솟고 소화도 잘되는 듯해 즐겁습니다.”
글 사진 송한수기자 onekor@seoul.co.kr
[용어 클릭]
●사회적 기업 영리기업이 이윤을 좇는 반면, 사회 서비스의 제공 및 취약계층의 일자리 창출을 목적으로 하는 점에서 큰 차이가 있다. 주요 특징으로는 사회적 목적 추구, 영업활동 수행 및 수익을 사회적 목적에 재투자하는 데 있다. 유럽, 미국 등 선진국에서는 1970년대부터 시작됐으며, 영국에는 5만 5000여개의 사회적 기업이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 중이다. 2006년 기준 전체 고용의 5%, 국내총생산(GDP)의 1%를 차지하고 총 매출액 50조원을 창출했다. 국내에서는 2007년 7월부터 노동부가 주관하여 시행되고 있다.
2010-04-20 2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