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의 봄’ 이후 전두환 대신 전○○… 남북대화 사료에 남은 신군부의 서슬

‘서울의 봄’ 이후 전두환 대신 전○○… 남북대화 사료에 남은 신군부의 서슬

류재민 기자
류재민 기자
입력 2023-12-28 15:22
수정 2023-12-28 17:3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영화 ‘서울의 봄’ 예고편 속 전두광(배우 황정민). 플러스엠 엔터테인먼트 제공
영화 ‘서울의 봄’ 예고편 속 전두광(배우 황정민). 플러스엠 엔터테인먼트 제공
‘서울의 봄’과 그 전후 시기 남북대화 사료에 전두환 전 대통령의 이름 다수가 ‘전○○’으로 표기된 것으로 나타났다.

통일부가 28일 공개한 ‘남북대화 사료집’(9·10권)에 실린 북한 발표문과 보도문, 회의록 발언에서 ‘전두환’ 표기는 거의 찾아볼 수 없다. 9권 말미에 수록된 북한 ‘제정당·사회단체 연석회의’의 1980년 11월 11일 자 ‘남조선인민들과 해외동포들에게 보내는 편지’에 등장하는 ‘전두환 군사파쑈독재’라는 표현이 실명이 온전히 나온 유일한 사례다.

이유가 무엇일까. 이는 당시 신군부의 서슬 퍼런 통치가 이뤄진 사회 분위기와 무관하지 않다.

북한은 신군부의 5·17 비상계엄조치 후 각종 대남 성명과 관영매체 보도문에서 전두환 전 대통령의 실명을 언급하며 무더기 비난을 쏟아냈다. 전 전 대통령을 이름만으로 부르거나 이름 뒤에 ‘역도’, ‘역적’, ‘군사깡패’, ‘악당’, ‘괴뢰’, ‘살인악당’, ‘인간백정’, ‘팟쇼살인마’, ‘놈’ 같은 표현을 붙였다. ‘살인귀’, ‘살인광’으로 비유하기도 했다.

같은 문건에 ‘이승만’, ‘박정희’ 실명이 그대로 들어간 것과 대조적이다. 박정희 정권 시절인 1979년 7월 대통령을 비난하는 노동신문 논평에도 ‘박정희’ 표기가 실명으로 정확하게 적혀 있었지만 전두환 정권 시절은 분위기가 달랐다. 역사 편찬의 초고가 되는 사료조차 있는 그대로 작성하지 못한 것은 신군부의 서슬퍼런 권력을 짐작하게 한다.

김웅희 전 통일부 남북회담본부장은 “대통령을 이름만으로 호칭한다는 것은 군사정권 당시 분위기에서는 상상하기 힘든 일일 뿐 아니라 남북회담 사료 실무자로서는 극언을 동원한 북한의 실명 비난에 대통령의 이름을 그대로 두기가 부담스러웠을 것”이라고 추측했다.
이미지 확대
1980년 3월 4일 남북한 국무총리 회담을 위한 3차 실무대표 접촉. 통일부 제공
1980년 3월 4일 남북한 국무총리 회담을 위한 3차 실무대표 접촉. 통일부 제공
‘서울의 봄’ 시기에 북한은 조건 없는 대화를 제의하는 편지를 국무총리와 각 정당·사회 인사에게 발송하는 등 유화적인 태도로 남한에 접근하기도 했다. 북한은 거듭해 대화 의지를 피력했고 조국통일평화위원회 위원장인 김일 부주석 명의로 보낸 서한에서 당시 신현확 국무총리를 ‘대한민국 국무총리 신현확’이라고 표현하기도 했다. 북한이 ‘대한민국’이라고 적시한 것은 극히 이례적인 일로 통일부에 따르면 대남 서면에 ‘대한민국’이라고 쓴 것은 이 서한이 처음이다.

그러나 북한의 이런 태도는 5·18 광주민주화항쟁 등을 거치며 분위기가 바뀌었다. 정부가 5·18을 북한의 공작으로 주장하면서 북한이 거세게 반발했다.

1980년 5월 22일 판문점 판문각에서 열린 총리 간 대화를 위한 제8차 실무접촉 회의록에 따르면 북한은 신군부가 5월 17일 전군주요지휘관 회의를 열고 비상계엄의 전국 확대를 결정한 사실을 언급하며 따졌다. 북한은 “공공건물들과 대학들에 무장한 군인들을 들이밀어서 봉쇄하는 한편 천수백여명의 청년학생들과 정치인들을 체포 구금하고 모든 정치활동을 금지하는 폭압조치를 취했다”며 “우리를 걸고서 이러한 폭압조치를 취했다”고 했다.

이어 “귀측(남한) 고위당국자는 지난 18일 이른바 특별담화라는 것을 발표하여 대남적화 책동이 격증되었다느니 남침의 결정적 시기를 노린다느니 하고 우리를 걸고 들면서 이번의 폭압 조치는 북으로부터의 위협 때문에 취해졌다고 역설했다”며 “대화 상대방인 우리에 대한 참을 수 없는 도발로서 실로 놀라움을 금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지금까지 귀측에서 그러한 이른바 남침위협 소동이 수십차례 벌어졌지만 진짜 남침은 단 한 번도 있어 본 적이 없다. 우리 군대 인민군대가 남조선에 나가서 지금 학생들을 탄압하고 총으로 찌르나?”며 “왜 이에 대해서 답변을 안 하나”라고 따졌다.
이미지 확대
남북대화 사료집 제9권 겉표지와 속표지. 통일부 제공
남북대화 사료집 제9권 겉표지와 속표지. 통일부 제공
북한의 항의에 정종식 당시 국토통일원 정책기획실장은 “사람도 커가면서 홍역도 치르고 감기도 들고 한다. 우리 사회도 마찬가지”라며 5·18 민주화운동 등을 홍역과 감기로 비유했다. 그가 “우리한테 어려운 문제가 있을 때 이것을 노리는 사람이 있다 요것을 조심하자는 것”이라고 설명하자 북한 측은 “엉뚱한 이야기를 하지 말라”고 반박했다.

결국 총리 회담을 위한 실무접촉은 1980년 2월 6일 이래 10차까지 진행된 이후 성과 없이 막을 내렸다. 직통전화도 그해 9월 25일을 마지막으로 끊겼다.

북한 실무대표단은 1980년 9월 24일 성명을 통해 “정규군과 땅크(탱크)와 장갑차까지 대량 투입하여 준전쟁의 방식으로 수천 명의 광주시민들을 야수적으로 탄압학살하였으며 항쟁의 도시를 동포 형제들의 피로 물들이는 천인공노할 만행을 감행했다”고 남측을 비난하며 접촉 중단을 선언했다.

남한 실무대표단은 이틀 뒤 성명에서 “우리가 5·17 조치로 작년 10·26사태 이후의 일시적인 정치불안 및 사회 혼란 현상을 극복하게 되자 남북대화를 구실로 우리의 국내사태에 편승하여 불순한 정치적 목적을 달성하고자 했던 저들의 기도가 빗나가게 되었음을 자인한 것”이라고 반박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 or 31일
정부와 국민의힘은 설 연휴 전날인 27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하기로 결정했다. “내수 경기 진작과 관광 활성화 등 긍정적 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한다”며 결정 이유를 설명했다. 그러나 이 같은 결정에 일부 반발이 제기됐다.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지정될 경우 많은 기혼 여성들의 명절 가사 노동 부담이 늘어날 수 있다는 의견과 함께 내수진작을 위한 임시공휴일은 27일보타 31일이 더 효과적이라는 의견이 있다.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과 31일 여러분의…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31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