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코로나19 유입 원인을 접경지역서 발견된 대북전단으로 지목하면서 사실상 남측에 책임을 전가했다. 이에 대해 통일부는 “그럴 가능성이 없다”고 반박했다.
노동신문과 조선중앙TV, 조선중앙통신은 1일 코로나 최초 발생지가 남북 최접경 지역인 강원도 금강군 이포리라고 공식 발표했다. 특히 4월 초 이포리에서 18세 군인과 5세 어린이가 병영과 거주지 주변 야산에서 ‘색다른 물건’과 접촉하면서 발생했다고 주장했다.
북한은 색다른 물건에 대해 구체적으로 대북 전단이라고 적시하진 않았다. 그러나 접경지역에 “풍선에 매달려 날아든 색다른 물건을 각성있게 대할 것”이라고 비상지시를 내렸다. 탈북민 단체가 풍선에 매달아 날리는 대북전단을 겨냥한 것으로 풀이된다.
북한은 2020년 전 세계적인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북중 접경지역 등 이동을 차단하고 ‘코로나 청정국’을 선전해왔다. 지난 5월 초 코로나 확진자 발생을 최초로 인정하고 비상방역체제를 선포했다. 두달 가까이 비상방역 체제가 지속되는 상황에서 북한이 코로나 발생 배경을 ‘대북 전단’으로 지목한 것이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대북 전단을 통해 코로나 바이러스가 유입될 가능성은 낮다고 분석한다. 오히려 북한이 비상방역체제에서 민심을 다잡기 위해 대남 적개심을 이용하려는 의도로 풀이된다.
양무진 북한대학원대 부총장은“대체로 전단 등 물체에 의한 감염 가능성이 높지 않다는 점에서 과학적으로 신뢰하기는 어렵다”고 했다. 홍민 통일연구원 북한연구실장은 “코로나 확산 책임을 남측에 전가하는 방식으로 의료적 사태를 남북 간 정치적 문제로 전환해 지도자 책임론에서 벗어나는 전형적인 방식”이라고 분석했다.
북중접경지역을 코로나19 바이러스 유입경로로 지목하기 어려운 북한이 대신 남측 접경지역을 내세웠다는 분석도 나온다. 임을출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교수는 “중국을 코로나 유입경로로 결론 낼 경우 방역 절차가 더욱 강화될 것이고 북중 교역에 더 심각한 차질을 빚을 수 있음을 고려한 것으로 판단된다”고 했다.
통일부도 “정부는 전단 등을 통한 (코로나19의) 북측으로 유입 가능성은 없는 것으로 보고 있다”고 했다.
차덕철 통일부 부대변인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물체의 표면에 잔존한 바이러스를 통한 코로나 감염은 사실상 불가능하다는 것이 질병관리청 등 관계기관 및 전문가, 그리고 WHO 등 국제기구들의 공통된 견해”라면서 “물자나 우편물 등을 통해 코로나바이러스에 감염되었다고 공식적으로 인증된 사례도 없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했다.
또 탈북민 단체가 대북전단을 보냈다고 주장하는 시기는 4월 말인데 반해 북측은 최촉 접촉 시기를 4월 초로 언급하고 있어 차이가 있는 점도 지적했다. 차 부대변인은 “(북한이) 우리 측에 대한 직접적인 언급이나 비난 등의 표현이 없다”며 “앞으로 북한의 추가적인 입장 표명 등을 보면서 종합적으로 판단하겠다”고 했다.
노동신문과 조선중앙TV, 조선중앙통신은 1일 코로나 최초 발생지가 남북 최접경 지역인 강원도 금강군 이포리라고 공식 발표했다. 특히 4월 초 이포리에서 18세 군인과 5세 어린이가 병영과 거주지 주변 야산에서 ‘색다른 물건’과 접촉하면서 발생했다고 주장했다.
북한은 색다른 물건에 대해 구체적으로 대북 전단이라고 적시하진 않았다. 그러나 접경지역에 “풍선에 매달려 날아든 색다른 물건을 각성있게 대할 것”이라고 비상지시를 내렸다. 탈북민 단체가 풍선에 매달아 날리는 대북전단을 겨냥한 것으로 풀이된다.
북한은 2020년 전 세계적인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북중 접경지역 등 이동을 차단하고 ‘코로나 청정국’을 선전해왔다. 지난 5월 초 코로나 확진자 발생을 최초로 인정하고 비상방역체제를 선포했다. 두달 가까이 비상방역 체제가 지속되는 상황에서 북한이 코로나 발생 배경을 ‘대북 전단’으로 지목한 것이다.
북한 코로나 방역 모습. 2021.07.27. 노동신문 캡처
양무진 북한대학원대 부총장은“대체로 전단 등 물체에 의한 감염 가능성이 높지 않다는 점에서 과학적으로 신뢰하기는 어렵다”고 했다. 홍민 통일연구원 북한연구실장은 “코로나 확산 책임을 남측에 전가하는 방식으로 의료적 사태를 남북 간 정치적 문제로 전환해 지도자 책임론에서 벗어나는 전형적인 방식”이라고 분석했다.
북중접경지역을 코로나19 바이러스 유입경로로 지목하기 어려운 북한이 대신 남측 접경지역을 내세웠다는 분석도 나온다. 임을출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교수는 “중국을 코로나 유입경로로 결론 낼 경우 방역 절차가 더욱 강화될 것이고 북중 교역에 더 심각한 차질을 빚을 수 있음을 고려한 것으로 판단된다”고 했다.
‘김정은 동생’ 김여정 vs 대북전단 살포
자유북한운동연합 등의 회원들이 지난해 5월 31일 경기 김포시 월곶면 성동리에서 ‘새 전략핵무기 쏘겠다는 김정은’이라는 제목의 대북전단 50만장과 소책자 500권 등을 살포하고 있다. 왼쪽 사진은 김여정 노동당 선전선동부 부부장 모습. 2020.6.1 연합뉴스·자유북한운동연합 제공
차덕철 통일부 부대변인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물체의 표면에 잔존한 바이러스를 통한 코로나 감염은 사실상 불가능하다는 것이 질병관리청 등 관계기관 및 전문가, 그리고 WHO 등 국제기구들의 공통된 견해”라면서 “물자나 우편물 등을 통해 코로나바이러스에 감염되었다고 공식적으로 인증된 사례도 없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했다.
또 탈북민 단체가 대북전단을 보냈다고 주장하는 시기는 4월 말인데 반해 북측은 최촉 접촉 시기를 4월 초로 언급하고 있어 차이가 있는 점도 지적했다. 차 부대변인은 “(북한이) 우리 측에 대한 직접적인 언급이나 비난 등의 표현이 없다”며 “앞으로 북한의 추가적인 입장 표명 등을 보면서 종합적으로 판단하겠다”고 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