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코로나 방역 모습. 2021.07.27. 노동신문 캡처
남북 軍통신선 복원
북 차단 13개월만에 재개통한국의 대화 제의를 무시해오던 북한이 돌연 태도를 바꿔 통신선 복구에 합의했다. 이 배경에는 코로나19로 인한 접경 폐쇄, 식량난 위기 등이 작용하고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국방부는 27일 오전 10시 서해지구 군 통신선이 개통되어, 시험통화 등을 통해 운용에 이상이 없음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이는 북한이 작년 6월 9일부터 군 통신선을 통한 정기 통화에 응답하지 않은 지 13개월 만이다.
특히 이날은 6·25전쟁 정전협정 체결로 서로를 향한 총성을 멈춘 지 68년이 되는 날이라는 점에서 의미를 더한다.
국방부는 “남북 정상의 합의에 따라 군 통신선이 복구되어 정상화됨으로써, 남북 군사 당국간 9·19 군사합의 이행 등 군사적 긴장 완화에 실질적으로 기여하게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평가했다.
앞서 북한은 미국 바이든 행정부 수립 전후 동향을 살피며 신중한 자세를 취해왔다. 우리 측의 대화 제의에는 지속적인 무시로 일관해왔다.
8차 당대회 열병식에 대한 우리측 반응, 현무-4 탄도미사일 개발 동향, 대북전단 재살포 등을 거론하며 비난해왔다.
또 지난 3월 한미 연합 군사 훈련에 항의하며 조국평화통일위원회(조평통)와 금강산국제관광국 등을 해체하겠다고 엄포를 놓기도 했다.
멈춰선 한반도 시계, 2018년 이전으로?
북한은 9일 남북공동연락사무소 업무 개시 통화와 동·서해 군 통신선에 모두 응하지 않았다. 사진은 2018년 1월 3일 판문점 공동경비구역 내 연락사무소에서 남측 연락관이 북측과 통화를 하기 위해 직통전화를 점검하는 모습.
연합뉴스
연합뉴스
실제로 북한은 2년에 걸친 코로나19 봉쇄로 경제난에 시달리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코로나19 확진자 발생 소식은 아직 없지만 북한 내 백신 반입과 접종은 이뤄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차두현 아산정책연구원 수석연구위원은 “북한 역시 국제제재나 코로나19 등 국면에서 자강력만으로는 상황 타개에 한계가 있다는 점을 인식하기 시작했다는 증거”라고 분석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