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웨덴 싱크탱크 스톡홀름국제평화연구소(SIPRI)는 14일 연례보고서를 통해 북한을 비롯해 미국과 러시아, 영국, 프랑스, 중국, 인도, 파키스탄, 이스라엘 등 9개국을 핵보유국으로 분류하면서 북한이 보유한 핵탄두 수는 40~50개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사진은 북한의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EPA 연합뉴스
AFP통신 등에 따르면 스웨덴 싱크탱크 스톡홀름국제평화연구소(SIPRI)는 14일(현지시간) 연례보고서를 통해 북한을 비롯해 미국과 러시아, 영국, 프랑스, 중국, 인도, 파키스탄, 이스라엘 등 9개 국가를 핵보유국으로 분류하면서 북한이 보유한 핵탄두 수는 40~50개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다만 SIPRI는 북한이 핵탄두 보유 관련 어떤 정보도 공개하지 않고 있는 까닭에 ‘핵분열 물질 배출량’을 근거로 추산해 본 불확실한 자료라며 ‘추정치‘라는 단서를 달았다.
이에 따라 전 세계 핵탄두 수에도 북한 보유량은 합산되지 않았다. 그렇지만 북한의 핵개발이 지속되는 건 분명하다는 게 SIPRI의 분석이다. SIPRI는 보고서에서 “북한이 국가 안보 전략의 핵심 요소로서 핵무기 프로그램을 계속 증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북한은 2020년의 경우 핵탄두 폭발 실험이나 장거리 탄도미사일 시험은 하지 않았지만 핵물질 생산과 단거리·장거리 미사일의 개발은 계속 이어갔다”고 덧붙였다.
보고서에 따르면 전 세계 핵탄두 수(올해 1월 기준)는 지난해보다 320개 줄어든 1만 3080개로 파악됐다. 하지만 해체 예정 핵무기를 제외한 실제 핵탄두 수는 9620개로 전년(9380개)보다 소폭 늘어났다. 실전 배치된 핵무기도 3825개로 지난해(3720개)보다 100여개 증가했다. SIPRI는 “(실질적으로) 전체적인 핵탄두 수는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보여 우려된다”며 “1990년대 냉전 종식 이후 계속된 핵무기 축소 추세가 변화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는 지점“이라고 설명했다.
보고서는 이와함께 “세계적으로 핵무기 보유 국가들이 핵 프로그램을 현대화함에 따라, 방위 전략에서 핵이 차지하는 중요성도 점점 커지고 있다”고 부연했다. SIPRI는 이런 현상이 전 세계 핵무기의 90%를 보유 중인 미국과 러시아 양국 모두에서 확인된다면서 “조 바이든 미국 행정부가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 정부와 차별화한 전략을 채택할지 장담하긴 힘들지만, 큰 틀의 기조는 이어갈 가능성이 크다”고 내다봤다.
김규환 선임기자 khkim@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