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싱가포르 합의서 계승·대화 촉구 전망
김여정 정치국 위원 승진 땐 2인자 등극
金, 새해 연하장서 인민에 대한 충심 강조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노동신문 홈페이지 캡처
노동신문 홈페이지 캡처
이번 당대회는 2016년 5월에 열린 7차 당대회에 이어 5년 만으로, 김 위원장 집권 후 두 번째다. 미국의 정권 교체라는 큰 대외 변화와 삼중고(대북제재·코로나·수해)의 내적 어려움 속에서 북한이 어떤 방향을 취할지에 관심이 집중된 가운데 ▲조 바이든 행정부 출범 ▲2인자 김여정 ▲인민제일주의 세 가지가 주목할 요소로 꼽힌다.
우선 북한은 지난해 11월 미 대선에서 조 바이든 당선인의 승리가 확정된 이후 현재까지 아무런 반응도 내놓지 않았다. 따라서 이번 당대회에서 관련 언급과 함께 대미 메시지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최근 북한이 유럽의회와 접촉해 ‘미국과 좋은 관계를 원한다’는 뜻을 밝혔다고 보도하는 등 긍정적 메시지가 나올 것이란 기대도 있다. 양무진 북한대학원대 교수는 “바이든 행정부에 대한 축하와 함께 2018년 6·12 싱가포르 합의서에 대한 계승과 대화를 촉구하는 메시지가 나올 수 있다”며 “남북 관계에 있어서도 연락채널 복원과 함께 대화를 제의할 가능성도 있다”고 전망했다.
두 번째는 집권 2기를 맞아 본격화될 ‘김정은식’ 인적 개편이다. 특히 김 위원장의 여동생이자 최측근인 김여정 당 제1부부장의 지위 격상에 관심이 쏠린다. 2017년 정치국 후보위원에 오른 김 부부장은 남북정상회담과 북미정상회담 과정에서 존재감을 키워 왔으며, 지난해 6월 남북연락사무소 폭파 땐 대남 공세의 선봉에 섰다. 이미 김 위원장에 대한 충성도나 능력 면에서 인정을 받았다는 평가가 주를 이루고 있어 정치국 위원으로 승진하고 주요 보직까지 맡게 될 경우 2인자로 등극하게 된다.
경제 노선은 경제집중노선을 유지하되 인민경제에 더욱 집중할 것으로 분석된다. 앞서 북한은 2018년 핵경제병진노선을 종료한 뒤 경제건설에 총력을 다하는 경제집중노선으로 전환한다고 천명한 바 있다. 제재와 코로나19 속에서 취할 수 있는 방식은 결국 인민의 단결을 통한 자력갱생과 정면돌파뿐이다. 김 위원장은 지난 1일 새해 연하장에서 인민에 대한 충심을 강조했다. 임을출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교수는 당대회의 핵심 단어로 ‘인민대중 제일주의’를 꼽았다.
신융아 기자 yashin@seoul.co.kr
2021-01-04 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