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국 회의에서 1월 초순 결정
개최일 비공개...“의도적 모호성”
전문가 “북미대화 제안 가능성”
‘2인자’ 김여정 위상 강화 관측도
북한의 최대 정치 행사로 꼽히는 당대회 일정이 내년 1월 초순으로 확정됐다. 개회일을 못박지 않고 ‘1월 초순’이라고만 공표한 것은 ‘이벤트 극대화’를 위한 전략으로 풀이된다. 조 바이든 미국 행정부 출범을 앞두고 먼저 열리는 당대회에서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어떤 메시지를 낼 지가 초미의 관심사로 떠올랐다.
조선중앙통신은 30일 “노동당 중앙위원회 제7기 제22차 정치국 회의가 29일 당 중앙위원회 본부청사에서 진행됐다”며 “정치국은 당 제8차 회의를 2021년 1월 초순에 개회하는 결정을 채택했다”고 보도했다. 1월 1일부터 10일 사이에 회의를 열겠다고 했을 뿐, 정확한 개회일은 밝히지 않았다. 양무진 북한대학원대 교수는 “깜짝 대회 시작을 위한 의도적 모호성”이라고 분석했다.
그럼에도 전문가들은 5년 전 열린 7차 당대회와 마찬가지로 3박 4일 일정으로 열린다면 1월 4일부터 7일까지 4일간 열릴 가능성이 크다고 본다. 김정은 위원장 생일(1월 8일)도 감안됐다.
8차 당대회에서는 국가경제발전 5개년 계획을 비롯한 내부 목표와 더불어 대미·대남 정책 방향이 공개될 전망이다. 특히 바이든 미 대통령 당선인에 대해 침묵해 온 북한이 처음으로 메시지를 낼 것으로 보인다.
파격 수준의 제안이 이뤄질 가능성도 있다. 임을출 경남대 교수는 “정치국이 8차 당대회에 상정할 일련의 ‘중대한 문제들’에 대해 검토·결정을 내렸다고 밝혔다”면서 “(미국의 대북 정책 변화에 큰 기대를 하지 않겠지만) 김정은 위원장이 선제적으로 북미 대화를 제안하는 것도 배제할 수 없다”고 내다봤다. ‘선(先) 대화 제안’을 통해 한반도 정세 변화를 주도한다는 지도자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다는 게 임 교수의 설명이다.
당대회 기간 ‘야간 열병식’이 열릴 가능성도 제기되는 상황에서 북한이 어떤 전략무기를 들고 나올 지도 관심사다. 미국을 압박할 수 있는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을 일부러 공개하지 않는다면 이 또한 ‘대화 메시지’로 읽힐 수 있다는 것이다. 양무진 교수는 “북한이 ‘6·12 싱가포르 공동성명’ 이행 의지를 밝힌다면 이 또한 ‘미국도 이행하라’는 촉구 메시지 성격일 것”이라고 전망했다.
김정은 위원장이 남북 대화를 제안할 지 또는 남북간 연락 채널 복원을 지시할 지도 관전 포인트다. 북한의 2인자인 김여정 노동당 제1부부장은 정치국 후보위원에서 북한의 권력 핵심인 정치국 위원으로 위상이 격상될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김헌주 기자 dream@seoul.co.kr
개최일 비공개...“의도적 모호성”
전문가 “북미대화 제안 가능성”
‘2인자’ 김여정 위상 강화 관측도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29일 노동당 중앙위원회 제7기 22차 정치국 회의가 개최됐다고 30일 보도했다. 이 회의는 김정은 위원장이 참석한 가운데 열렸다. 정치국은 회의를 통해 8차 당대회를 내년 1월 초순(1∼10일)에 개회하기로 했다. 2020.12.30
노동신문 홈페이지 캡처
노동신문 홈페이지 캡처
조선중앙통신은 30일 “노동당 중앙위원회 제7기 제22차 정치국 회의가 29일 당 중앙위원회 본부청사에서 진행됐다”며 “정치국은 당 제8차 회의를 2021년 1월 초순에 개회하는 결정을 채택했다”고 보도했다. 1월 1일부터 10일 사이에 회의를 열겠다고 했을 뿐, 정확한 개회일은 밝히지 않았다. 양무진 북한대학원대 교수는 “깜짝 대회 시작을 위한 의도적 모호성”이라고 분석했다.
그럼에도 전문가들은 5년 전 열린 7차 당대회와 마찬가지로 3박 4일 일정으로 열린다면 1월 4일부터 7일까지 4일간 열릴 가능성이 크다고 본다. 김정은 위원장 생일(1월 8일)도 감안됐다.
8차 당대회에서는 국가경제발전 5개년 계획을 비롯한 내부 목표와 더불어 대미·대남 정책 방향이 공개될 전망이다. 특히 바이든 미 대통령 당선인에 대해 침묵해 온 북한이 처음으로 메시지를 낼 것으로 보인다.
파격 수준의 제안이 이뤄질 가능성도 있다. 임을출 경남대 교수는 “정치국이 8차 당대회에 상정할 일련의 ‘중대한 문제들’에 대해 검토·결정을 내렸다고 밝혔다”면서 “(미국의 대북 정책 변화에 큰 기대를 하지 않겠지만) 김정은 위원장이 선제적으로 북미 대화를 제안하는 것도 배제할 수 없다”고 내다봤다. ‘선(先) 대화 제안’을 통해 한반도 정세 변화를 주도한다는 지도자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다는 게 임 교수의 설명이다.
당대회 기간 ‘야간 열병식’이 열릴 가능성도 제기되는 상황에서 북한이 어떤 전략무기를 들고 나올 지도 관심사다. 미국을 압박할 수 있는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을 일부러 공개하지 않는다면 이 또한 ‘대화 메시지’로 읽힐 수 있다는 것이다. 양무진 교수는 “북한이 ‘6·12 싱가포르 공동성명’ 이행 의지를 밝힌다면 이 또한 ‘미국도 이행하라’는 촉구 메시지 성격일 것”이라고 전망했다.
김정은 위원장이 남북 대화를 제안할 지 또는 남북간 연락 채널 복원을 지시할 지도 관전 포인트다. 북한의 2인자인 김여정 노동당 제1부부장은 정치국 후보위원에서 북한의 권력 핵심인 정치국 위원으로 위상이 격상될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김헌주 기자 dream@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