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방사포 3분 간격 발사 기술 진전… 완성도는 한참 떨어져”

“北 방사포 3분 간격 발사 기술 진전… 완성도는 한참 떨어져”

이주원 기자
입력 2019-11-04 01:42
수정 2019-11-04 01:5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집중 분석] 3차 시험사격 ‘초대형 방사포’ 위력의 허와 실

이미지 확대
北 “초대형 방사포 시험사격 성공”
北 “초대형 방사포 시험사격 성공” 북한이 지난달 31일 초대형 방사포의 시험사격을 성공적으로 진행했다고 조선중앙통신이 지난 1일 보도했다. 사진은 함께 공개된 시험사격 장면.
연합뉴스
8월 17분, 9월 19분 비해 간격 크게 줄어
보통 20~30초 고려땐 성공적 평가 어려워
발사대 크게 흔들려 평지 발사 선택한 듯
이동식 이점도 못 살려 전술적 이득 없어
복수의 발사 차량 이용 땐 충분히 위협적


북한이 지난달 31일 발사한 ‘초대형 방사포’의 연발사격 능력은 얼마나 위력적일까. 3일 서울신문 취재 결과 대다수 군사전문가들은 북한이 연속발사 시간을 단축한 것은 기술의 진전을 의미한다면서도 아직 성공적인 연발사격으로 평가하기는 어렵다고 분석했다.

연발사격 능력이 중요한 것은, ‘미사일의 방사포화’로 연결되기 때문이다. 북한은 최근 한 번에 여러 발을 쏠 수 있는 방사포의 특성과 강력한 파괴력 및 유도·기동 능력을 지닌 탄도미사일의 성격을 혼합한 무기를 개발하는 추세다.

북한 조선중앙통신은 지난 1일 “연속사격체계의 안전성 검열을 통해 유일무이한 우리식 초대형 방사포 무기체계의 전투적 성능과 실전능력 완벽성이 확증됐다”며 과거보다 2발을 발사하는 데 소비되는 시간 간격을 3분으로 대폭 줄였다고 밝혔다. 앞서 지난 8월 24일 1차 시험 사격의 간격은 17분, 9월 10일 2차 시험 사격의 간격은 19분이었던 점과 비교하면 크게 줄어든 간격이다.

그러나 일반적인 방사포의 연발 시간이 20~30초 간격임을 고려하면 완성도가 한참 떨어진다는 평가도 나온다. 초대형 방사포의 직경이 600㎜에 달하는 등 지나치게 굵다는 점이 연발사격의 완성도를 떨어뜨린다는 분석이다. 두꺼운 직경만큼 강한 추진력으로 발사대가 크게 흔들리면서 다시 안정성을 되찾기까지 시간이 많이 소비되기 때문이다.

류성엽 21세기군사연구소 정보분석관은 “공개한 발사장면을 보면 지지대를 설치했음에도 불구하고 흔들림 때문에 발사대 차량이 들려 한쪽으로 쏠린 모습을 볼 수 있다”며 “3분의 사격 간격은 방사포로서의 전술적 이득이 전혀 없다”고 했다. 그동안 북한이 알섬 등 특정 목표물에 발사를 감행했던 것과 달리 이번에는 목표물을 정하지 않은 점도 정확성 담보가 어려웠기 때문이었다는 분석도 나온다.

북한이 지난번 발사 때와는 달리 ‘연발사격’이 아닌 ‘연속사격’이라는 표현을 사용한 것도 이런 문제를 의식했다는 평가다. 3분이라는 간격은 연발로 보기 어렵다고 북한군 스스로 인정한 게 아니냐는 것이다. 류 분석관은 “표현이 바뀐 것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지시한 ‘연발사격’을 해결하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했다.

북한의 이번 발사는 평안남도 순천 비행장에서 이뤄진 것으로 분석된다. 흔들림을 최소화하려고 평지를 선택한 것으로 보인다. 때문에 어디서든 발사가 가능한 이동식 발사대(TEL)의 이점을 제대로 살리지 못했다는 평가도 나온다.

신종우 한국국방안보포럼 사무국장은 “지면 파편이 튀기지 않은 것으로 미뤄 이번 발사는 발사대의 흔들림을 최소화하기 위해 평지나 평탄한 활주로에서 이뤄졌을 가능성이 있다”며 “결국 무기체계는 야지(野地)에서 발사했을 때도 제대로 충격을 버텨야 하는데 평지에서만 안정된 연속사격이 가능하다고 하면 무기체계로서의 의미가 없다”고 했다.

반면 3분의 간격이어도 초대형 방사포의 파괴력을 고려하면 충분한 위협이 될 수 있다는 평가도 나온다. 장영근 항공대 교수는 “현재는 시험발사 단계라 북한이 충분한 시간을 두고 발사를 했을 가능성도 열어 둬야 한다”며 “3분 간격이더라도 수대의 발사차량을 이용해 발사한다면 요격이 더욱 쉽지 않다”고 했다.

이주원 기자 starjuwon@seoul.co.kr
2019-11-04 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출산'은 곧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가
모델 문가비가 배우 정우성의 혼외자를 낳은 사실이 알려지면서 사회에 많은 충격을 안겼는데요. 이 두 사람은 앞으로도 결혼계획이 없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출산’은 바로 ‘결혼’으로 이어져야한다는 공식에 대한 갑론을박도 온라인상에서 이어지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출산’은 곧 ‘결혼’이며 가정이 구성되어야 한다.
‘출산’이 꼭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